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어 청자존대법 쟁점의 회고와 전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7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까지의 청자 존대 사용 양상을 살피는 한편으로, 이에 대한 그동안의 견해들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청자존대법 연구는 사회언어학 관점과 규범 중심의 관점이 양립되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규범 중심의 관점은 문법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필요가 없는 비교적 안정된 존대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 비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언어의 본질과 언중들의 사용 양상을 문법 범위로 수용하지 않음으로써 문법만을 위한 문법, 언어 사회와 유리된 문법으로 될 간주될 여지가 있는 단점을 지닌 것으로 파악하였다. 반면 사회언어학 관점은 언중들의 언어 사용 양상을 문법 체계에서 민감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대 별 혹은 성별에 따른 다양한 존대 체계를 구성하게 됨으로써 표준 문법을 설정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규범 중심의 관점에서 청자 존대 체계를 수립한 후에,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기능으로 설명할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까지의 청자 존대 사용 양상을 살피는 한편으로, 이에 대한 그동안의 견해들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청자존대법 연구는 사회언어학 관점과 규범 중심의 ...

      본고는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까지의 청자 존대 사용 양상을 살피는 한편으로, 이에 대한 그동안의 견해들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청자존대법 연구는 사회언어학 관점과 규범 중심의 관점이 양립되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규범 중심의 관점은 문법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필요가 없는 비교적 안정된 존대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 비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언어의 본질과 언중들의 사용 양상을 문법 범위로 수용하지 않음으로써 문법만을 위한 문법, 언어 사회와 유리된 문법으로 될 간주될 여지가 있는 단점을 지닌 것으로 파악하였다. 반면 사회언어학 관점은 언중들의 언어 사용 양상을 문법 체계에서 민감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대 별 혹은 성별에 따른 다양한 존대 체계를 구성하게 됨으로써 표준 문법을 설정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규범 중심의 관점에서 청자 존대 체계를 수립한 후에,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기능으로 설명할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Korean aural honorifics from Middle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and review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m. In the process,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at the study of Korean hearer honorifics has been divided into two different views: that is, the sociolinguistic standpoint and the norm-centered perspective.
      The linguistic norm-centered standpoin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construct a relatively stable honorific system which is not affected by extra-grammatical factors. There is, however, the danger of being alienated from the linguistic society and therefore being regarded as grammar for grammar’s sake, since it does not accept constantly changing public usage of the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sociolinguistic view has its strength in accepting public language usage sensitively in the grammar system, but there still is a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set grammatical norms as it constructs various honorific systems according to both age and sex.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Korean aural honorifics from Middle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and review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m. In the process,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at the study of Korean hearer honorifics has been ...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Korean aural honorifics from Middle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and review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m. In the process,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at the study of Korean hearer honorifics has been divided into two different views: that is, the sociolinguistic standpoint and the norm-centered perspective.
      The linguistic norm-centered standpoin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construct a relatively stable honorific system which is not affected by extra-grammatical factors. There is, however, the danger of being alienated from the linguistic society and therefore being regarded as grammar for grammar’s sake, since it does not accept constantly changing public usage of the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sociolinguistic view has its strength in accepting public language usage sensitively in the grammar system, but there still is a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set grammatical norms as it constructs various honorific systems according to both age and se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청자존대법 쟁점
      • Ⅲ. 청자존대법의 두 가지 논의 방향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청자존대법 쟁점
      • Ⅲ. 청자존대법의 두 가지 논의 방향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66-91, 1974

      2 최명옥, "현대국어의 의문법 연구" 대한민국 학술원 15 : 1976

      3 서정수,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8 (8): 78-99, 1972

      4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5 나동숙, "현대 한국어의 ‘하오체’와 ‘하게체’ 사용 양상 고찰과 교재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성 향상을 위하여-" 언어정보연구소 27 : 61-86, 2016

      6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7 성기철, "현대 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1985

      8 황적륜, "한국어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기술 –그 형식화의 가능성 기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4 : 115-124, 1976

      9 박지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 20, 30대 화자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3) : 119-154, 2016

      10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66-91, 1974

      2 최명옥, "현대국어의 의문법 연구" 대한민국 학술원 15 : 1976

      3 서정수,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8 (8): 78-99, 1972

      4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5 나동숙, "현대 한국어의 ‘하오체’와 ‘하게체’ 사용 양상 고찰과 교재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성 향상을 위하여-" 언어정보연구소 27 : 61-86, 2016

      6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7 성기철, "현대 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1985

      8 황적륜, "한국어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기술 –그 형식화의 가능성 기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4 : 115-124, 1976

      9 박지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 20, 30대 화자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3) : 119-154, 2016

      10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11 이정복,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소통 2012

      12 임지룡,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69) : 360-398, 2015

      13 윤천탁, "학교 문법의 상대 높임법 기술 내용 제고" 청람어문교육학회 (29) : 385-406, 2004

      14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2

      15 양영희, "중세국어 존대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10

      16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17 최재웅, "존대 현시에 의한 공손법 - 한국어 존대법의 역동성 -" 언어정보연구원 45 : 161-182, 2018

      18 이정택, "우리말 존대법의 성격 변화 - 압존법 변화와 관련해서 -" 한국문법교육학회 28 : 165-181, 2016

      19 이기갑, "우리말 상대높임 등급체계의 변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79

      2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21 이정택, "우리말 높임법의 본질과 상대 높임법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24 : 145-160, 2015

      22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95

      23 박지순, "상대높임법 교육 관점 비교 연구" 문법교육학회 128-143, 2014

      24 최윤지, "상대높임 등급 혼용 현상에 대한 일고찰: 텔레비전 뉴스에 나타나는 해요체의 분석을 바탕으로" 언어정보연구소 37 : 139-180, 2019

      25 조용준, "대학생 연령층의 상대높임법 화계 연구" 국제어문학회 (74) : 291-314, 2017

      26 남미정, "근대국어 청자경어법의 형태 원리와 체계" 시학과 언어학회 14 : 153-189, 2007

      27 이승희,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8 신창순, "국어문법연구" 박영사 1984

      29 홍종선, "국어과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설정과, 구어 현실" 국어교육학회 51 (51): 47-68, 2016

      30 양영희, "국어 청자 존대 등급의 분화 과정 고찰―15세기부터 20세기 초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286) : 5-36, 2009

      31 유송영, "국어 청자 대우법에서의 힘(power)과 유대(solidarity) (Ⅰ)" 국어학회 24 : 291-317, 1994

      32 서정수, "국어 문법" 뿌리깊은나무 1994

      33 성기철, "국어 대우법 연구" 충북대학교 4 : 35-58, 1970

      34 김정호, "국어 높임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언어학적 접근" 겨레어문학회 33 : 31-53, 2004

      35 이은희, "국어 높임법 표현의 발달" 박문사 203-234, 2009

      36 이숭녕, "겸양법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5 : 133-184, 1962

      37 안병희, "十五世紀國語恭遜法의 한 硏究 : 二人稱代名詞그듸 와 關聯하여" 국어국문학회 28 : 117-126, 1965

      38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2000

      39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 문화사 1999

      40 김병건, "20·30대 상대높임법 체계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1-32, 2012

      41 유현경, "2015 표준 국어 문법 개발" 국립국어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 전남대 어문논총
      외국어명 : 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Institute -> The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