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가족 구성원에 나타난 집필진의 고정 관념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분석 기준은 가족 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07242
2020
Korean
한국어 교재 ; 고정 관념 ; 가족 구성원 ; 시각 자료 ; Korean textbook ; stereotype ; family member ; visual data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9-159(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가족 구성원에 나타난 집필진의 고정 관념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분석 기준은 가족 구성...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가족 구성원에 나타난 집필진의 고정 관념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분석 기준은 가족 구성원에 대한 교재 내용과 시각 자료이다.
분석 결과 초급 교재에서는 교재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국적, 인종, 남녀 직업에 대한 고정 관념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교재 내용과 시각 자료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급 수준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교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사회통합 한국어 교재에서는 성역할에 대한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이 반영되지 않았다. 그러나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는 전통적인 성 역할의 고정 관념이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가 사설 기관의 한국어 교재보다 좀 더 보수적인 면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설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서도 국적에 대한 차별은 나타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ereotypical elements used by authors which appeared in the family members of Korean textbooks. The analysis targets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The analytical standard is the...
This study analyzed the stereotypical elements used by authors which appeared in the family members of Korean textbooks. The analysis targets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The analytical standard is the text and visuals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lementary-level textbooks reflected stereotypes about nationality, race and men’s and women’s occupations, regardless of the type of textbook. This was found in both the text and visuals.
However, intermediate-level Korean textbooks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type. The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and social integration Korean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bout gender roles. However, in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the stereotype of traditional gender roles was very severe.
Other notable points are that the Korean textbooks of university institutions show a more conservative side than those of private institutions. However,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ity was also emerging in Korean textbooks used by private institu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恩英, "한국인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2 김해진, "한국어 교재의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 : 등장인물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박은하, "한국어 교재에 표현된 사회적 차별 요소: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55-83, 2015
4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99-232, 2001
5 권기현,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요소 분석 -세종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7) : 7-36, 2018
6 김종서, "잠재적 교육과정" 익문사 1987
7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한국어 1-1" Epress 2010
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5" 하우 2016
9 송승희,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차별과 차별적 언어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3" 국립국어원 2010
1 金恩英, "한국인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2 김해진, "한국어 교재의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 : 등장인물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박은하, "한국어 교재에 표현된 사회적 차별 요소: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55-83, 2015
4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99-232, 2001
5 권기현,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요소 분석 -세종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7) : 7-36, 2018
6 김종서, "잠재적 교육과정" 익문사 1987
7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한국어 1-1" Epress 2010
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5" 하우 2016
9 송승희,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차별과 차별적 언어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3" 국립국어원 2010
11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2" 국립국어원 2010
12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국립국어원 2010
13 김영규, "안녕하세요 중급한국어 2" 박문각 2009
14 이수미, "성균한국어 1" 하우 2018
15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5A" 문진미디어 2013
16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2B" 문진미디어 2013
1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B" 문진미디어 2013
18 최정순, "서강한국어 1B" 서강대학교한국어교육원 2008
19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새 연세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1-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19
20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위한 한국어 초급 2" 법무부 2010
21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위한 한국어 초급 1" 법무부 2010
22 정희진, "비판적 페더고지이론으로 본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인종차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권선영, "비타민 한국어 : TOPIK 대비 겸용 한국어 교재. 1-6" 다락원 2017
24 성균관어학원, "말하기 쉬운 한국어 6" 성균어학원 한국어교재 편찬위원회 2006
25 박선옥,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분포 연구" 중앙어문학회 55 : 395-420, 2013
26 "네이버 심리학 용어사전"
27 "국립국어원"
28 정가원, "교과서와 ESL 교재 등장인물 분포 연구 : 다문화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9 박민아, "고등학교 영여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0 김중섭, "경희 한국어 쓰기 3" 하우 2014
31 윤경애,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재 분석: 젠더적 관점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2 가나다한국어학원, "New 가나다 Korean for Foreigners 고급 2" 한글파크 2017
33 가나다한국어학원, "New 가나다 Korean for Foreigners 고급 1" 한글파크 2017
3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I Love Korean 6"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5 Easy Korean Academy, "Easy Korean for foreigners 1" 랭기지플러스 2008
36 진승희, "7차 교육과정 영어교과서의 문화교육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한·중 근대시에 나타난 도시/고향 표상 비교 연구 - 자기-정체화, 부성, 모성의 가족적 지향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6-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 전남대 어문논총외국어명 : 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6-10-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Institute -> The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