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자살현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9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을 알아보고, 자살예방대책의 사회현상 반영여부 및 적절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8년까지 8개 중앙지에서 자살을 키워드로 9,142개의 뉴스기사 제목을 수집하였고, 명사를 중심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데이터 정제를 거쳐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기간은 1, 2차 자살예방대책을 기준으로 4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상위 50개의 빈출 주제어와 CONCOR분석을 통해 각 구간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1구간(2000~2003년)은 6개의 군집(군, 인터넷 환경, 경제적 문제, 비관, 학교, 비리), 2구간(2004~2008)은 8개의 군집(사회고위층, 학교, 경제적 문제, 자살시도, 가정문제, 사회적 문제, 군, 책임), 3구간(2009~2013)은 6개 군집(학교,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군, 조사), 4구간(2014~2018)은 8개 군집(군, 자살보험금,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업무스트레스, 연예인, 비리)이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차에 걸쳐 실시된 자살예방대책의 적절성 여부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을 알아보고, 자살예방대책의 사회현상 반영여부 및 적절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을 알아보고, 자살예방대책의 사회현상 반영여부 및 적절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8년까지 8개 중앙지에서 자살을 키워드로 9,142개의 뉴스기사 제목을 수집하였고, 명사를 중심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데이터 정제를 거쳐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기간은 1, 2차 자살예방대책을 기준으로 4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상위 50개의 빈출 주제어와 CONCOR분석을 통해 각 구간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1구간(2000~2003년)은 6개의 군집(군, 인터넷 환경, 경제적 문제, 비관, 학교, 비리), 2구간(2004~2008)은 8개의 군집(사회고위층, 학교, 경제적 문제, 자살시도, 가정문제, 사회적 문제, 군, 책임), 3구간(2009~2013)은 6개 군집(학교,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군, 조사), 4구간(2014~2018)은 8개 군집(군, 자살보험금,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업무스트레스, 연예인, 비리)이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차에 걸쳐 실시된 자살예방대책의 적절성 여부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news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suicide phenomena in Korean society, and to evaluate whethe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reflect social phenomena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9,142 news titles with suicide as the keyword were collected from eight central newspapers between 2000 to 2018. Nouns were extracted, and data was refined for network analysis. The total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based on the 1st and 2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each period were identified through the top 50 frequent main words and the clusters. As a result, period 1 (2000~2003) with 6 clusters (military, internet environment, economic problems, pessimism, school, corruption), period 2 (2004~2008) with 8 clusters (high social class, school, economic problems, suicide attempts, family issues, social problems, military, responsibilities), period 3 (2009~2013) with 6 clusters (school,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military, investigation), and period 4 (2014~2018) with 8 clusters (military, suicide insurance money,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job stress, celebrity, corruption) were identified. Study result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our society. Furth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was discussed.
      번역하기

      Using news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suicide phenomena in Korean society, and to evaluate whethe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reflect social phenomena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9,142 news titles with suicide as the ...

      Using news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suicide phenomena in Korean society, and to evaluate whethe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reflect social phenomena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9,142 news titles with suicide as the keyword were collected from eight central newspapers between 2000 to 2018. Nouns were extracted, and data was refined for network analysis. The total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based on the 1st and 2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each period were identified through the top 50 frequent main words and the clusters. As a result, period 1 (2000~2003) with 6 clusters (military, internet environment, economic problems, pessimism, school, corruption), period 2 (2004~2008) with 8 clusters (high social class, school, economic problems, suicide attempts, family issues, social problems, military, responsibilities), period 3 (2009~2013) with 6 clusters (school,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military, investigation), and period 4 (2014~2018) with 8 clusters (military, suicide insurance money,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job stress, celebrity, corruption) were identified. Study result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our society. Furth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wa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훈,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인스타그램 게시물 분석" 가톨릭대학교 2020

      2 여은경, "청소년 자살에 관한 이론 및 연구 고찰" 11 : 1-16, 2012

      3 박대민, "장기 시계열 내용 분석을 위한뉴스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가능성 : 100만 건 기사의 정보원과 주제로 본 신문 26년" 한국언론학회 60 (60): 353-407, 2016

      4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5 이순성, "자살예방책:그 한계와 대안" 생명문화연구소 18 : 77-110, 2010

      6 원시연, "자살예방대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NARS 2011

      7 안용민,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200) : 2-5, 2013

      8 주지홍, "자살사이트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CLIS Monthly 2003

      9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195-224, 2010

      10 정진욱,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2018

      1 박세훈,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인스타그램 게시물 분석" 가톨릭대학교 2020

      2 여은경, "청소년 자살에 관한 이론 및 연구 고찰" 11 : 1-16, 2012

      3 박대민, "장기 시계열 내용 분석을 위한뉴스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가능성 : 100만 건 기사의 정보원과 주제로 본 신문 26년" 한국언론학회 60 (60): 353-407, 2016

      4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5 이순성, "자살예방책:그 한계와 대안" 생명문화연구소 18 : 77-110, 2010

      6 원시연, "자살예방대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NARS 2011

      7 안용민,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200) : 2-5, 2013

      8 주지홍, "자살사이트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CLIS Monthly 2003

      9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195-224, 2010

      10 정진욱,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2018

      11 이상영, "우리나라 자살예방 대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29) : 34-49, 2015

      12 송태민,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살 검색 예측모형 개발" (202) : 74-86, 2013

      13 송태민, "소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자살검색 요인 다변량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0 (30): 59-73, 2013

      14 박경애, "성과 자살" 1 : 149-172, 1996

      15 K. A. Menninger, "생명을 존중하며 삶을 사랑하는마음" 고려서원 1973

      16 유예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울대학교 2017

      17 이배영, "멋진 편집좋은 신문" 한울아카데미 2001

      18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7

      19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 neral/778902.html"

      20 S. Freu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1917

      21 J. T. Maltsberge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Adults" Plenum Press 1991

      22 UN, "Prevention of Suicide: Guidelines for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strategies"

      23 B. Brooks, "News Reporting and Writing" St. Martin’s Press 2002

      24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자살예방백서"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

      2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26 김정수, "2017년 광역자치단체 자살예방정책: 제3차 국가자살예방기본계획 및 지자체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매뉴얼을 기준으로 한 구성요소 및 세부과제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580-610, 2018

      27 E. Durkheim, "(에밀 뒤르켐의)자살론" 청아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