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경지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요인들의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7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주요 요인들을 파악하고, 암모니아 배출감소를 위한 대책을 설립한다.
      방법 : 농업, 암모니아, 미세먼지 등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학술검색을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문헌에 대하여 토양의 특성이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각 항목별로 정리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암모니아의 대기 중으로 배출은 잠재적으로 농업인의 경제적 수익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PM2.5) 형성에 전구물질로 작용하여 대기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암모니아 주요 배출원 중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8%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은 암모니아 비료의 종류, 토양수분, pH, 온도, 양이온교환용량, 유기물, 토성에 영향을 받는다. 토양수분의 증가는 암모니아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토양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암모니아 배출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7.5 이상에서 크게 증가한다. 토양 온도의 증가는 요소의 가수분해 속도와 암모니아 가스로 전환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암모니아 배출이 증가한다. 양이온교환용량이 큰 토양은 암모늄을 흡착시켜서 암모니아 배출을 감소시킨다. 점토 함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은 토양 pH 변화에 완충성이 커서 암모니아 배출을 감소시킨다.
      결론 :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대한 기작 및 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적의 토양 관리 및 환경 관리를 통해서 대기 중으로의 암모니아 배출을 저감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주요 요인들을 파악하고, 암모니아 배출감소를 위한 대책을 설립한다. 방법 : 농업, 암모니아, 미세먼지 등의 키워...

      목적 :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주요 요인들을 파악하고, 암모니아 배출감소를 위한 대책을 설립한다.
      방법 : 농업, 암모니아, 미세먼지 등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학술검색을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문헌에 대하여 토양의 특성이 암모니아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각 항목별로 정리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암모니아의 대기 중으로 배출은 잠재적으로 농업인의 경제적 수익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PM2.5) 형성에 전구물질로 작용하여 대기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암모니아 주요 배출원 중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8%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은 암모니아 비료의 종류, 토양수분, pH, 온도, 양이온교환용량, 유기물, 토성에 영향을 받는다. 토양수분의 증가는 암모니아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토양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암모니아 배출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7.5 이상에서 크게 증가한다. 토양 온도의 증가는 요소의 가수분해 속도와 암모니아 가스로 전환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암모니아 배출이 증가한다. 양이온교환용량이 큰 토양은 암모늄을 흡착시켜서 암모니아 배출을 감소시킨다. 점토 함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은 토양 pH 변화에 완충성이 커서 암모니아 배출을 감소시킨다.
      결론 :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대한 기작 및 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적의 토양 관리 및 환경 관리를 통해서 대기 중으로의 암모니아 배출을 저감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Major factors affecting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and strategies to reduce ammonia emis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Methods : An academic search was conducted using keywords such as agriculture, ammonia, and fine dust, and the effects of soil characteristics on ammonia emission were summarized for each factor.
      Results and Discussion : Emissions of ammonia into the atmosphere can reduce economic returns for a farmer and negatively impact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y acting as a precursor to PM2.5 formations. It is reported that agriculture accounts for 78% of the total ammonia emission sources in Korea.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is affected by the type of ammonia fertilizer, soil moisture, pH, temperature, cation exchange capacity, organic matter, and soil texture.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increases ammonia emissions. As soil pH increases, ammonia emissions increase, noticeably above 7.5. An increase in soil temperature increases the rate of hydrolysis of urea and the rate of conversion to ammonia gas, resulting in increased ammonia emissions. Soils with high cation exchange capacity adsorb ammonium to reduce ammonia emissions. Soils with a high clay content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re more buffered to changes in soil pH, reducing ammonia emissions.
      Conclusion : Based on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and causes of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it is possible to establish soil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o reduce ammonia emissions into the atmosphere.
      번역하기

      Objectives : Major factors affecting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and strategies to reduce ammonia emis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Methods : An academic search was conducted using keywords such as agriculture, ammonia, and fi...

      Objectives : Major factors affecting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and strategies to reduce ammonia emis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Methods : An academic search was conducted using keywords such as agriculture, ammonia, and fine dust, and the effects of soil characteristics on ammonia emission were summarized for each factor.
      Results and Discussion : Emissions of ammonia into the atmosphere can reduce economic returns for a farmer and negatively impact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y acting as a precursor to PM2.5 formations. It is reported that agriculture accounts for 78% of the total ammonia emission sources in Korea.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is affected by the type of ammonia fertilizer, soil moisture, pH, temperature, cation exchange capacity, organic matter, and soil texture.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increases ammonia emissions. As soil pH increases, ammonia emissions increase, noticeably above 7.5. An increase in soil temperature increases the rate of hydrolysis of urea and the rate of conversion to ammonia gas, resulting in increased ammonia emissions. Soils with high cation exchange capacity adsorb ammonium to reduce ammonia emissions. Soils with a high clay content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re more buffered to changes in soil pH, reducing ammonia emissions.
      Conclusion : Based on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and causes of ammonia emission from the soil, it is possible to establish soil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o reduce ammonia emissions into the atmosphe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비료에서 암모니아 배출 경로
      • 3. 토양의 특성에 따른 암모니아 배출 영향 인자
      • 4. 결론
      • Reference
      • 1. 서론
      • 2. 비료에서 암모니아 배출 경로
      • 3. 토양의 특성에 따른 암모니아 배출 영향 인자
      • 4. 결론
      •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