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마을 그린로드 관리실태 및 개선 방안 = Research on the Status of Green-Road Management in Rural Village and Improvement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8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2010, RDA has discovered 30 Green-Road as the way of developing rural area. However, results from conference with expert and village leaders of Green-Road conclud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ittle financial benefits due to mismanagement and need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issue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status, management of Green-Road and its influences on local area. Main purpose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reveal the various obstacles in road management, and to find better ways of road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s with leaders in villages. Particularly, the investigation had focused on the specific management issues suggested by village l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establishing a committee for creating leaders network and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road management and its consequences.
      번역하기

      Since 2010, RDA has discovered 30 Green-Road as the way of developing rural area. However, results from conference with expert and village leaders of Green-Road conclud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ittle financial benefits due to mismanagement ...

      Since 2010, RDA has discovered 30 Green-Road as the way of developing rural area. However, results from conference with expert and village leaders of Green-Road conclud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ittle financial benefits due to mismanagement and need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issue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status, management of Green-Road and its influences on local area. Main purpose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reveal the various obstacles in road management, and to find better ways of road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s with leaders in villages. Particularly, the investigation had focused on the specific management issues suggested by village l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establishing a committee for creating leaders network and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road management and its consequ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촌진흥청, "풍요로운 강변길 그린로드"

      2 강화영, "충남옛길의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패턴디자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25-38, 2011

      3 손은미, "참여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소고" 한국디자인학회 22 (22): 235-244, 2009

      4 박창규,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419-436, 2011

      5 김상범, "지역 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 방안-부처별 길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587-606, 2010

      6 이재준,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9-55, 2003

      7 조은경, "지리산길 조성에 따른 산촌지역 주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3 (13): 1-11, 2009

      8 조은경, "지리산길 이용객의 소비지출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4 (14): 96-99, 2010

      9 박수진, "지리산 둘레길 개통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62-70, 2011

      10 박율진,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관광마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익산시를 중심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4 (14): 1-9, 2010

      1 농촌진흥청, "풍요로운 강변길 그린로드"

      2 강화영, "충남옛길의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패턴디자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25-38, 2011

      3 손은미, "참여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소고" 한국디자인학회 22 (22): 235-244, 2009

      4 박창규,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419-436, 2011

      5 김상범, "지역 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 방안-부처별 길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587-606, 2010

      6 이재준,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9-55, 2003

      7 조은경, "지리산길 조성에 따른 산촌지역 주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3 (13): 1-11, 2009

      8 조은경, "지리산길 이용객의 소비지출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4 (14): 96-99, 2010

      9 박수진, "지리산 둘레길 개통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62-70, 2011

      10 박율진,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관광마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익산시를 중심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4 (14): 1-9, 2010

      11 김은자, "주민참여 마을길, 어떻게 가꿀까" 농촌진흥청 2012

      12 우성호, "주민참여 공공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27-135, 2012

      13 임창수, "장거리 도보여행길과 연계한 강변 그린로드 모형 및 노선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153-170, 2012

      14 손지원,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101 (101): 309-316, 2012

      15 송인주, "서울시 생태관광을 위한 생태탐방로 조성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16 유미나, "생태민감지역 내 트레일 이용객 인식연구 : 평화누리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7 유기준,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113-124, 2012

      18 이상영, "로드 : 여유로운 삶·맛·멋의 길" 농촌진흥청 2009

      19 임창수, "도보여행길과 연계한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제주 올레길 주변 농촌마을 현장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91-107, 2013

      20 박근수, "도보길의 의미와 관광" 27 : 99-111, 2010

      21 임창수, "도보 여행길과 연계한 농촌마을의 활성화 방안 연구; 여주군 가야1리 사례 중심으로" 2012

      22 이성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참여주체간 협력수준과 협력네트워크 구조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97-309, 2011

      23 농촌진흥청, "농촌마을 길, 강변따라 쉬엄쉬엄 걷기 : 그린로드" 2011

      24 소순열, "농촌마을 개발과 주민참여"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13-131, 2010

      25 전인철, "농촌관광사업의 공익적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관광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5

      26 이병원, "농촌관광사업에서 마을주민들이 인식하는 갈등의 원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5 (15): 93-122, 2008

      27 박한식, "농촌관광마을 리더의 역량분석과 역량모델 개발"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239-256, 2008

      28 박덕병, "농촌관광 마을주민 지역사회애착심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247-262, 2009

      29 임창수, "농촌 마을 그린로드 관리 실태 분석" 2012

      30 김보미, "농어촌관광사업 등급제 도입에 관한 연구-농어촌체험지도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동북아관광학회 8 (8): 141-158, 2012

      31 이상영, "길에서 찾는 삶의 여유–그린로드" 농촌진흥청 2011

      32 김은자, "그린로드 조성을 위한 노선설정기준에 관한 연구" 29 : 128-, 2012

      33 김보국, "국토생태탐방로와 전북권역 생태·문화자원간 연계방안연구" 전북발전연구원 2008

      34 정휘, "광역 탐방로 노선설정을 위한 계획요소 연구" 한국조경학회 36 (36): 35-41, 2008

      35 이명구,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갈등 관리 연구: 제주올레길 중심" 7 (7): 143-164, 2010

      36 김성배, "걷는길관련 법제도 정비에 관한 고찰 -걷는길조성지원에 관한 법률안과 보행안전법에 대한 분석-"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5 (15): 37-70, 2012

      37 김도형, "걷는 길 조성사업의 추진 실태와 개선방안" 52 : 2-28, 2012

      38 국토해양부, "개발제한구역 누리길 조성 가이드라인 수립연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농촌계획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5 0.72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