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대학 운동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llegiate Athletes’ Rights to Learn by Using the Q-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7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에 관한 주관적 인지 성향을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 표본 이론에 근거하여 서울, 충북, 강원 소재 대학 운...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에 관한 주관적 인지 성향을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 표본 이론에 근거하여 서울, 충북, 강원 소재 대학 운동선수 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Q표본은 35개의 진술문 중 전문가 회의를 거쳐 최종 25문항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Q분류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QUANL 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Ⅰ유형(적극적 학업참여형)은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데 있어, 일반 학생과의 교류 및 교우관계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강의시간 운영, 강좌개설(특기자), 그리고 전공분야의 다양한 교과과정 교육을 통한 사회진출의 기반을 다지고, 향후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Ⅱ유형(학업부담가중형)은 학습권보장제도에 있어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Ⅲ유형(학업증진 노력형)은 수업병행 시 학점이수에 대한 스트레스, 운동집중력 분산 등 부담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일반 학생과의 교류와 교우관계를 통해 전공분야(이론 및 실기)의 능력향상을 위한 대체유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운동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은 전공분야의 다양한 교육과정 교육을 통해 사회진출 시 기반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강의시간의 효율성 운영, 스트레스 해소 등을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스케줄 변화에 따른 부상위험성 증가, 학습습관 미 정착으로 인해 학업성취의 어려움과 학습도 운동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cognitive propensity of university athletes to guarantee their learning rights through 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36 university athletes located in Seoul, Ch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cognitive propensity of university athletes to guarantee their learning rights through 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36 university athletes located in Seoul, Chungbuk, and Gangwon based on the small sample theory, and the Q sample was extracted from the 35 statements through expert meetings to extract the final 25 statements. The data collected by Q classification were subjected to major factor classification using the QUANL 1.2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ypeⅠ(active academic participation type) is based on exchanges and companionships between general students, effective lecture time management, lecture opening, and various curriculums in the field of study in parallel with study and sports. It was found that the emphasis was placed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advancement through education and reinforcing expertise in the future. Type II(academic burden-weighted type) was found to be a type that felt burdened by the right to study. Type Ⅲ(academic promotion effort type) is recognized as a burden on credit points, dispersion of exercise concentration, etc., when concurrently with classes, but the ability of the major field through exchange between general students and companionship It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type for improve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study for university athletes is not only based on the various curriculum education in the major field, but also important to operate the efficiency of lecture hours and relieve stress, that the difficul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hange in collegiate athletes that learning is as important as exercise due to increased risk of injury due to schedule changes and failure to establish learning habits were insuffici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학습권 보장을 위한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 방안 발표" 교육부 2017

      2 김학수,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법정소송을 통해 본 미국대학 스포츠" 스포츠둥지

      3 김상겸, "학생선수의 인권과 일반학생의 학습권보장에 관한 연구 - 스포츠교육의 정상화 관점에서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11-36, 2009

      4 김옥천, "학생선수 학습권 보장을 위한 e-school 운영의 실상과 금후과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9 (29): 41-65, 2016

      5 안민석, "학생들도 공부하고 싶다: 학교운동부실태에 대한 최초의 종합 보고서" 국정감사 2006

      6 김홍석, "학생 선수에서 운동부 학생 되기: 고등학교 검도선수의 운동과 학업병행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145-157, 2009

      7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체육진흥법 하위 법령제정 관련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8 박위진, "학교발전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의역할과 기능" 1 : 51-59, 2010

      9 김홍규, "텔레비전 뉴스 수용자의 유형에 관한 연구" 3 : 5-36, 1998

      10 김상우, "체육특기자의 대학생활에 대한 또래 대학생의 인식 이해" 한국스포츠학회 16 (16): 719-728, 2018

      1 교육부, "학습권 보장을 위한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 방안 발표" 교육부 2017

      2 김학수,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법정소송을 통해 본 미국대학 스포츠" 스포츠둥지

      3 김상겸, "학생선수의 인권과 일반학생의 학습권보장에 관한 연구 - 스포츠교육의 정상화 관점에서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11-36, 2009

      4 김옥천, "학생선수 학습권 보장을 위한 e-school 운영의 실상과 금후과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9 (29): 41-65, 2016

      5 안민석, "학생들도 공부하고 싶다: 학교운동부실태에 대한 최초의 종합 보고서" 국정감사 2006

      6 김홍석, "학생 선수에서 운동부 학생 되기: 고등학교 검도선수의 운동과 학업병행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145-157, 2009

      7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체육진흥법 하위 법령제정 관련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8 박위진, "학교발전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의역할과 기능" 1 : 51-59, 2010

      9 김홍규, "텔레비전 뉴스 수용자의 유형에 관한 연구" 3 : 5-36, 1998

      10 김상우, "체육특기자의 대학생활에 대한 또래 대학생의 인식 이해" 한국스포츠학회 16 (16): 719-728, 2018

      11 박창완, "체육 특기자 교육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63-75, 2009

      12 신정욱, "중도탈락 대학운동선수의 학교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김흥규, "주관성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11, 1992

      14 주성택, "일본의 대학운동부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14 (14): 93-106, 2016

      15 남동윤, "은퇴는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이제는 공부하는 학생선수"

      16 이송이, "유학생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41) : 5-28, 2018

      17 서창환, "운동선수는 공부 안 해도 된다? 영국에선 그렇지 않았다"

      18 윤은자,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5) : 21-34, 2012

      19 김경원, "스포츠에 대한 정체성 발달과 정의 이론적 고찰: 교육적, 발달심리적관점을 중심으로" 37 (37): 131-141, 1998

      20 정용철, "스포츠 인권을 만나다" 나녹 2016

      21 윤용필, "모바일 N스크린 수용자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5) : 95-119, 2012

      22 김현우, "대학운동선수의 수업참여실태 조사 및 학습권보장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 24 (24): 155-171, 2020

      23 남종헌, "대학운동선수들의 학습실태에 관한조사연구 : 개인경기와 단체경기를 중심으로" 17 (17): 61-70, 1978

      24 신영균, "대학운동선수들의 학습권 침해 인식과 개선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161-177, 2010

      25 이용식, "대학운동부 학습권 보장 및 학업증진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1-15, 2015

      26 권민혁, "대학운동부 운영체계 개선방안, 대학스포츠 선진화를 위한 전략적 과제" 2009

      27 이택균, "대학에서 학생운동선수의 삶을 위한 방향" 31 (31): 111-122, 2014

      28 이옥진, "대학 축구선수의 선수생활 및 학업수행 실태와 학생 운동선수의 학습권에 관한 인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455-470, 2010

      29 정순복, "대학 운동부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학업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65-177, 2017

      30 김기형, "대학 운동부 선수의 학업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적용과 효과 탐색: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87-107, 2009

      31 김병민, "대학 골프선수의 학습권 보장에 관한 고찰" 한국골프학회 13 (13): 177-192, 2019

      32 김동환, "공부하는 학생선수의 대학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학회 53 (53): 329-340, 2014

      33 Combes, H. G., "Using Q-methodology to involv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evaluating person-centered planning" 17 : 149-159, 2004

      34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35 한봉숙, "Q방법론의 적용과 사례" 푸른사상 2014

      36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7 김흥규, "Q방법론 연구의 실행: 이론, 방법, 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1990

      38 Brown, S. R., "Political subject: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39 김호정, "C제로룰, 의도치 않은 양날의 검"

      40 Schlinger, W. K., "Cues on Q-technique" 9 (9): 53-60, 1969

      41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2020 대학운동부 평가 및 지원 사업 집행 및 정산 핵심 가이드"

      42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2016 KUSF 대학스포츠운영규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