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대도시 외곽지역 주민들의 비통근통행을 위한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곡­화원 구간 연장을 사례로- = Analysis of Citizens' Modal Shift for Non-Work Travel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in Hwawon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1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for non-work travel when the new urban rail transit, which is supposed to introduce in 2016, is provided in Hwawon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the Hwawon area.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mpirical logit models with four alternative destinations for non-work travel are also estima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Finally, signific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arameter estimates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s among the non-work travel models with the different destinations.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ime-saving, cost-saving, change in the number of transfer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for non-work travel when the new urban rail transit, which is supposed to introduce in 2016, is provided in Hwawon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for non-work travel when the new urban rail transit, which is supposed to introduce in 2016, is provided in Hwawon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the Hwawon area.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mpirical logit models with four alternative destinations for non-work travel are also estima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Finally, signific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arameter estimates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s among the non-work travel models with the different destinations.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ime-saving, cost-saving, change in the number of transfer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의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외곽지역 주민들의 비통근통행을 위한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화원읍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들의 도시철도 연장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는 도시철도가 운행되지 않지만 향후 도시철도 연장이 계획되어 공사가 진행 중인 대구광역시 화원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행목적이 비통근통행일 때 대구광역시의 주요 중심지인 서부정류장, 반월당, 동대구역, 사월역을 목적지로 설정한 후 화원읍 주민들을 상대로 RP자료와 SP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비통근통행의 목적지별 도시철도 전환율을 분석하고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철도 연장개통 후의 통행시간 절약, 통행비용 절약, 환승횟수의 변화가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대체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출발지와 목적지 간 거리에 따라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의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외곽지역 주민들의 비통근통행을 위한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화원읍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들의 도시...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의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외곽지역 주민들의 비통근통행을 위한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화원읍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들의 도시철도 연장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는 도시철도가 운행되지 않지만 향후 도시철도 연장이 계획되어 공사가 진행 중인 대구광역시 화원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행목적이 비통근통행일 때 대구광역시의 주요 중심지인 서부정류장, 반월당, 동대구역, 사월역을 목적지로 설정한 후 화원읍 주민들을 상대로 RP자료와 SP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비통근통행의 목적지별 도시철도 전환율을 분석하고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철도 연장개통 후의 통행시간 절약, 통행비용 절약, 환승횟수의 변화가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대체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출발지와 목적지 간 거리에 따라 도시철도 전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헌, "지하철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 모형개발" 33-37, 2003

      2 임삼진, "저비용항공 진입에 따른 항공과 고속철도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6 (26): 51-61, 2008

      3 윤대식,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대도시 주변 위성도시 시민들의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18 (18): 35-46, 2011

      4 윤대식, "대구 도시철도 경산시 연장에 따른 통행수단 변화 분석 - 통행 목적 및 목적지별 변화요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7 (27): 43-62, 2011

      5 정병두, "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전환수요 분석" 대한교통학회 27 (27): 131-140, 2009

      6 윤대식,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2001

      7 박용화,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한 항공수요 변화에 대한 추정" 대한교통학회 22 (22): 47-54, 2004

      8 윤대식, "경부 고속철도 2단계 개통 후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수단 선택행태와 전환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13-127, 2005

      9 Vuk, G., "Transport Impacts of the Copenhagen Metro" 13 : 223-233, 2005

      10 Knowles, R. D., "Transport Impacts of Greater Manchester's Metrolink Light Rail System" 4 (4): 1-14, 1996

      1 이영헌, "지하철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 모형개발" 33-37, 2003

      2 임삼진, "저비용항공 진입에 따른 항공과 고속철도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6 (26): 51-61, 2008

      3 윤대식,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대도시 주변 위성도시 시민들의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18 (18): 35-46, 2011

      4 윤대식, "대구 도시철도 경산시 연장에 따른 통행수단 변화 분석 - 통행 목적 및 목적지별 변화요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7 (27): 43-62, 2011

      5 정병두, "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전환수요 분석" 대한교통학회 27 (27): 131-140, 2009

      6 윤대식,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2001

      7 박용화,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한 항공수요 변화에 대한 추정" 대한교통학회 22 (22): 47-54, 2004

      8 윤대식, "경부 고속철도 2단계 개통 후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수단 선택행태와 전환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13-127, 2005

      9 Vuk, G., "Transport Impacts of the Copenhagen Metro" 13 : 223-233, 2005

      10 Knowles, R. D., "Transport Impacts of Greater Manchester's Metrolink Light Rail System" 4 (4): 1-14, 1996

      11 Dueker K. J., "Light Rail Transit Impacts inPortland: The First Ten Years" 1999

      12 Ben-Akiva, M.,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1985

      13 Golias, J. C., "Analysis of Traffic Corridor Impac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New Athens Metro System" 10 : 91-97,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72 0.92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