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에 대한 학부모 요구 분석 : 강원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Parent Demands on Elementary Care Classroom: Focusing on the Case of Gangw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4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friendly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aring democracy and publicity. In order to achieve to the purpose, survey of ...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friendly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aring democracy and publicity. In order to achieve to the purpose, survey of 531 elementary school parents was taken in the population of Gangwon-do having clear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data,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for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were found to be high trust in institutions,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and improve sociality and peer relations, and parents' emphasis was on available time, safety, and convenience of movement between homes and care institutions. Second, dissatisfaction factors are insufficient number of care institutions and care gap time. Third, parent demands for improving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Gangwon-do are to take care all day long, the publicity of care subjects, professionalism of daycare teachers, and the low teacher-children ratio.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Specifically, this study confirms that expanding elementary care classroom from a parent-friendly perspective,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 local education government, and school, enhancing capability of daycare teachers, and establishing systematic recruiting processes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돌봄민주주의와 공공성의 관점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돌봄교실 운영의 개선 방안을 수요자 중심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지리�...

      본 연구는 돌봄민주주의와 공공성의 관점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돌봄교실 운영의 개선 방안을 수요자 중심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지리적·환경적 특성이 뚜렷한 강원도 지역을 모집단으로 하여 초등학교 학부모 531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이유는 기관에 대한 높은 신뢰도, 사교육비 부담 완화, 사회성 및 또래관계 향상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중시하는 부분은 이용 가능 시간, 집과 돌봄기관 간의 이동에 대한 안전 및 편의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불만족 요인으로는 돌봄기관 수의 불충분, 돌봄 공백 시간대 발생 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강원도 초등돌봄교실 개선을 위한 학부모들의 요구사항으로는 온종일 돌봄, 돌봄 주체의 공공성, 돌봄 전담인력의 전문성, 돌봄교실의 낮은 아동 비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 지역 초등돌봄교실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학부모 친화적 관점에서의 초등돌봄교실의 양적 확대 및 운영시간 개선, 지자체·교육청·학교의 협조체계 구축, 돌봄전담사 역량 제고 및 체계적 선발 제도 확립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동 ; 양애경,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실과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의 비교 분석과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실에 주는 시사점" 한국일본교육학회 18 (18): 41-60, 2014

      2 김수동 ; 정영모, "한국과 일본의 초등 돌봄 정책 부처 간 연계방식 비교와 초등돌봄교실에 주는 시사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79-288, 2016

      3 노컷뉴스, "학부모가 반한 서울 중구 '직영 초등돌봄교실' 8개교로 확대"

      4 장지은 ; 이성회, "학부모 요구의 관점에서 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방향" 한국학부모학회 8 (8): 25-44, 2021

      5 임혜정,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과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37-169, 2017

      6 김대석 ; 성정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프로그램 개선 방안: 교육복지 선진국의 문화․예술․체육 돌봄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75-384, 2016

      7 이재희, "초등자녀 양육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8 정영모, "초등돌봄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252 : 13-18, 2019

      9 노성향,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21-40, 2012

      10 이종근, "초등돌봄 운영 실태 및 내실화 방안 : 대구광역시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21

      1 김수동 ; 양애경,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실과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의 비교 분석과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실에 주는 시사점" 한국일본교육학회 18 (18): 41-60, 2014

      2 김수동 ; 정영모, "한국과 일본의 초등 돌봄 정책 부처 간 연계방식 비교와 초등돌봄교실에 주는 시사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79-288, 2016

      3 노컷뉴스, "학부모가 반한 서울 중구 '직영 초등돌봄교실' 8개교로 확대"

      4 장지은 ; 이성회, "학부모 요구의 관점에서 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방향" 한국학부모학회 8 (8): 25-44, 2021

      5 임혜정,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과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37-169, 2017

      6 김대석 ; 성정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프로그램 개선 방안: 교육복지 선진국의 문화․예술․체육 돌봄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75-384, 2016

      7 이재희, "초등자녀 양육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8 정영모, "초등돌봄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252 : 13-18, 2019

      9 노성향,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21-40, 2012

      10 이종근, "초등돌봄 운영 실태 및 내실화 방안 : 대구광역시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21

      11 장수정,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분석 -돌봄 민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7 (67): 125-152, 2020

      12 김은정 ; 장수정, "초등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이용 분석 -보편적 서비스 관점에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7 (67): 31-59, 2020

      13 심정미 ; 채현탁, "지역아동센터와 초등돌봄교실의 협력에 관한 쟁점 고찰"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13-328, 2015

      14 김은정 ; 홍진주 ; 정세미 ; 김현진, "지역사회 기반 초등돌봄 사업의 현황과 과제: 온종일 돌봄 생태계구축 선도사업 참여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 (12): 139-154, 2021

      15 중앙일보, "중산층 키워야 나라가 큰다"

      16 정영모, "정부 부처 ‘간’ 온종일 돌봄 정책 비교 및 시설 연계 강화 방안"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91-703, 2021

      17 전미양, "온종일 돌봄을 위한 ‘키움센터’ 운영 매뉴얼(안)개발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8

      18 강지원, "아동청소년 돌봄 정책 현황 분석" 225 (225): 60-70, 2015

      19 이향란, "아동을 위한 사회적 돌봄 서비스 간 협력 방안 연구 : 학교 돌봄교실과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13 (13): 1-33, 2016

      20 이혜숙, "서울시 방과후돌봄 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 2019

      21 김종호 ; 심영미, "방과 후 돌봄서비스 실태 및 만족도 비교 연구: 의정부시, 고양시, 연천군의 초등돌봄교실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399-419, 2015

      22 Kittay, Eva Feder, "돌봄: 나랑의 노동" 박영사 2016

      23 한점기, "농어촌과 도시지역의 초등돌봄교실 운영실태 비교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7

      24 조무현, "강원도 초등돌봄업무 운영 현황과 과제"

      25 전현수, "강원도 초등돌봄 실태 및 지역협력형 모형 개발"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2021

      26 England, Paula, "Wages of Virtue" 49 (49): 455-473, 2002

      27 Drudy, S., "Gender Balance/Gender Bias :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Impact of Feminisation" 20 (20): 309-323, 2008

      28 Tronto, C. J.,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y, and Justic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3

      29 Fraser, N., "After the Family Wage, Justice Interuptus" Routledge 41-66, 1997

      30 강원도교육청, "2022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31 강원도, "2021년 지역협력형 초등돌봄 시범사업 시행"

      32 임성택, "2020 강원교육 정책조사 분석 보고서" 강원도교육청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