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색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 赤色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search Methods of Traditional Color-Focused on 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5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traditional color -after KIST’s research between 1972 and 1973- has been done for 40 years until now.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performer, subject,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it has drawn different results in the studied . Such results of research are being copied and circulated on the internet, and they are even being quoted in school’s textbooks, scholarly books, academic theses and dissertations without proper verification procedures.
      Henc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foundational study to propose research methodology to help getting the righ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colors. For that, we chose Red as a representative subject and made a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its preceding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traditional color Red’s research was done through various ways like measuring colors of relic·object·light source, studying based on the meaning of the words, measuring color after reproducing color formation by following literature research,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such methods combined and so on. I also have found out th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uld onl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we analyzed the pros and cons and problems of each methods.
      The major problem is subjective interpretation about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rew a very natural conclusion that the traditional colors research requires characteristics of systematic colors, traditional colors, object's colors, light-source colors, ect and needs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in selecting relics for color measurement, in reproducing traditional color formation and in many other situations. The research has a limitation that it was performed with only "Red" as a subject - among many fundamental colors of traditional colors. From now on research with extended scope and research with all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tegrated should be performed.
      번역하기

      The study of traditional color -after KIST’s research between 1972 and 1973- has been done for 40 years until now.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performer, subject,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it has drawn...

      The study of traditional color -after KIST’s research between 1972 and 1973- has been done for 40 years until now.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performer, subject,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it has drawn different results in the studied . Such results of research are being copied and circulated on the internet, and they are even being quoted in school’s textbooks, scholarly books, academic theses and dissertations without proper verification procedures.
      Henc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foundational study to propose research methodology to help getting the righ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colors. For that, we chose Red as a representative subject and made a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its preceding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traditional color Red’s research was done through various ways like measuring colors of relic·object·light source, studying based on the meaning of the words, measuring color after reproducing color formation by following literature research,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such methods combined and so on. I also have found out th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uld onl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we analyzed the pros and cons and problems of each methods.
      The major problem is subjective interpretation about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rew a very natural conclusion that the traditional colors research requires characteristics of systematic colors, traditional colors, object's colors, light-source colors, ect and needs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in selecting relics for color measurement, in reproducing traditional color formation and in many other situations. The research has a limitation that it was performed with only "Red" as a subject - among many fundamental colors of traditional colors. From now on research with extended scope and research with all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tegrated should be perfo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전통색에 관한 연구는 1972-1973년 KIST의 연구 이래 40여년에 이른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도출된 서로 다른 연구결과물들은 명확한 검증절차 없이 인터넷은 교과서, 학술서적, 학위·학술논문에 인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대표적 사례로 적색(赤色)을 선정,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적색의 연구방법은 측색, 문자적 의미, 문헌·고증에 따른 재현, 정량·정성조사, 앞의 방법들을 혼용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당연히 연구결과 역시 각기 다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전통색에 대한 주관적 해석이 문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색 연구는 계통색·관용색, 물체색, 광원색 등 각 색의 특성과 측색을 위한 유물 선정방법, 전통색의 발색 재현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색의 기본색 중 적색만을 중심으로 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범위를 확대한 연구와 현재까지의 선행연구결과를 통합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번역하기

      한국의 전통색에 관한 연구는 1972-1973년 KIST의 연구 이래 40여년에 이른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도출된 서로 다른 연구결과...

      한국의 전통색에 관한 연구는 1972-1973년 KIST의 연구 이래 40여년에 이른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도출된 서로 다른 연구결과물들은 명확한 검증절차 없이 인터넷은 교과서, 학술서적, 학위·학술논문에 인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대표적 사례로 적색(赤色)을 선정,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적색의 연구방법은 측색, 문자적 의미, 문헌·고증에 따른 재현, 정량·정성조사, 앞의 방법들을 혼용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당연히 연구결과 역시 각기 다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전통색에 대한 주관적 해석이 문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색 연구는 계통색·관용색, 물체색, 광원색 등 각 색의 특성과 측색을 위한 유물 선정방법, 전통색의 발색 재현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색의 기본색 중 적색만을 중심으로 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범위를 확대한 연구와 현재까지의 선행연구결과를 통합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1, 2차 보고서" 국립현대미술관 1991

      2 문은배, "한국전통색의 상생간색과 상극간색에 관한 연구 - 이수신편과 규합총서를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 26 (26): 25-32, 2012

      3 문은배, "한국의 전통색" 안그라픽스 2012

      4 이재만, "한국의 전통색" 일진사 2011

      5 황런다, "중국의 색" 도서출판사 예경 2013

      6 "조선왕조실록, 태종 21권"

      7 김순영,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적색계 색명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유근향, "오정색과 오간색의 전통색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과학학회 6 (6): 2003

      9 김철희, "성호사설 제5권" 한국고전번역원 1976

      10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 예림 2007

      1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1, 2차 보고서" 국립현대미술관 1991

      2 문은배, "한국전통색의 상생간색과 상극간색에 관한 연구 - 이수신편과 규합총서를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 26 (26): 25-32, 2012

      3 문은배, "한국의 전통색" 안그라픽스 2012

      4 이재만, "한국의 전통색" 일진사 2011

      5 황런다, "중국의 색" 도서출판사 예경 2013

      6 "조선왕조실록, 태종 21권"

      7 김순영,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적색계 색명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유근향, "오정색과 오간색의 전통색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과학학회 6 (6): 2003

      9 김철희, "성호사설 제5권" 한국고전번역원 1976

      10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 예림 2007

      11 프랑크 H. 만케,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도서출판국제 1997

      12 김은선, "민족 문화 상징에 표출된 한국인의 색채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13 정계옥,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14 "동아일보"

      15 "다음 백과사전-브리태니커"

      16 "네이버 한자사전"

      17 "네이버 지식백과-미술대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1998

      18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죽산마竹散馬)"

      19 채훈관, "傳統建築丹靑의 中心的意識體系에 관한 연구" 5 (5): 2003

      20 "http://www.tibetan-museum.org/coding/sub5/sub2.asp?bseq=16&cat=-1&sk=&sv=&page=1&mode=view&aseq=6969#.U8uD8Lflq70"

      21 "http://www.dic-costumekorea.org/"

      22 "http://www.designdb.com/zine/20020506_48.asp"

      23 "http://www.designdb.com/zine/20020506_16.asp"

      24 "http://news.donga.com/fbin/moeum?n=dstory$j_210&a=v&l=42&id=200509210013"

      25 "http://nanofriends.ibizonoff.com/catchnano/culture/pdf/4"

      26 "http://laigun.tistory.com/71"

      27 "http://ja.wikipedia.org/wiki/%E8%B5%A4"

      28 "http://images.gg-art.com/dictionary/dcontent.php?word=%B3%E0&sub1.x=36&sub1.y=11"

      29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30 "http://culturecontent.com/"

      31 "http://blog.daum.net/cow0625/3"

      32 "Designdb 잡지, 179호, 2002.05+06, vol.179"

      33 최완수, "Asiana Culture"

      34 송은화, "21세기 색채연구의 효용성과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적 색채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9) : 269-287,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