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 PSD2 시행에 따른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정책의 개인정보보호 강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Privacy Protection in Financial Mydata Policy through Comparison of the EU’s PSD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ability to use data becomes competitive power in the data-driven economy, the effort to create economic value byusing personal data is emphasized as much as to protect personal data. EU’s PSD2(the second Payment Service directive)became the initiative of the Open Banking trends all over the world, as it is the Mydata policy which protects the datasubject’s right by empowering the subject to control over the personal data with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and promotespersonal data usages and transfer. Korean government is now fast adopting EU’s PSD2 in financial sector, but there isgrowing concerns in personal data abuse and misuse, and data breach.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financial Mydata policyin comparison with EU’s PSD2 and focus on Personal information life-cycle risks of financial Mydata policy. Somesuggestions on how to promote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n domestic financial Mydata Policy will be given.
      번역하기

      As the ability to use data becomes competitive power in the data-driven economy, the effort to create economic value byusing personal data is emphasized as much as to protect personal data. EU’s PSD2(the second Payment Service directive)became the i...

      As the ability to use data becomes competitive power in the data-driven economy, the effort to create economic value byusing personal data is emphasized as much as to protect personal data. EU’s PSD2(the second Payment Service directive)became the initiative of the Open Banking trends all over the world, as it is the Mydata policy which protects the datasubject’s right by empowering the subject to control over the personal data with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and promotespersonal data usages and transfer. Korean government is now fast adopting EU’s PSD2 in financial sector, but there isgrowing concerns in personal data abuse and misuse, and data breach.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financial Mydata policyin comparison with EU’s PSD2 and focus on Personal information life-cycle risks of financial Mydata policy. Somesuggestions on how to promote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n domestic financial Mydata Policy will be giv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데이터 기반 경제시대에서 데이터 활용능력이 경쟁력이 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보호와 더불어 개인정보의 활용을통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등장한 EU의 PSD2(the secondPayment Service Directive)는 정보 주체의 ‘정보이동권’을 근거로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면서 데이터의 활용과 유통을 촉진하는 마이데이터 정책으로 전 세계 오픈뱅킹 정책의 시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국내 금융업권별 실정을 반영하여 마이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데이터 정책으로 인해 금융정보의 유통 및 활용 범위가 커진 만큼 개인정보의 유출 및 오남용, 해킹 등 위험도 커진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EU PSD2가 어떻게 국내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정책에 반영되어 추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국내 마이데이터 정책의 개인정보보호 위험 사항을 개인정보 생명 주기별로 나누어 식별한 후 이러한 위험에 대한 법적 기술적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데이터 기반 경제시대에서 데이터 활용능력이 경쟁력이 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보호와 더불어 개인정보의 활용을통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

      데이터 기반 경제시대에서 데이터 활용능력이 경쟁력이 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보호와 더불어 개인정보의 활용을통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등장한 EU의 PSD2(the secondPayment Service Directive)는 정보 주체의 ‘정보이동권’을 근거로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면서 데이터의 활용과 유통을 촉진하는 마이데이터 정책으로 전 세계 오픈뱅킹 정책의 시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국내 금융업권별 실정을 반영하여 마이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데이터 정책으로 인해 금융정보의 유통 및 활용 범위가 커진 만큼 개인정보의 유출 및 오남용, 해킹 등 위험도 커진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EU PSD2가 어떻게 국내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정책에 반영되어 추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국내 마이데이터 정책의 개인정보보호 위험 사항을 개인정보 생명 주기별로 나누어 식별한 후 이러한 위험에 대한 법적 기술적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석, "빅데이터, 오픈데이터, 마이데이터의 비교 연구" 사)한국빅데이터학회 3 (3): 41-46, 2018

      2 김진영, "빅데이터 분야 규제와 개선방안 검토- 신정부의 정책방향과 입법과제 중심으로 -" IT와 법연구소 (15) : 157-191, 2017

      3 윤혜선, "빅데이터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연구-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한계와 리스크규제체제로의전환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71-94, 2018

      4 조수영, "개인정보보호법과 EU의 GDPR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61) : 117-148, 2018

      5 김나루, "‘Privacy by design’의 도입과 그 적용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29 (29): 1-30, 2017

      6 François de Witte, "The new service providers introduced by PSD2, PA Perspectives on Nordic Financial Services"

      7 OBWG, "The Open Banking Standard" 2016

      8 "The Constitutional Court 2005. 5. 26. Sentence 99-hun-ma-513 decision"

      9 European Data Protection Supervisor, "Report of workshop on Privacy, Consumers, Competition and Big Data 2 June" EDPS 2014

      10 European Commision, "Regulatory technical standards (RTS) for strong customer authentication(SCA) and common and secure open standards of communication(CSC)-Regulation(EU)2018/389"

      1 박주석, "빅데이터, 오픈데이터, 마이데이터의 비교 연구" 사)한국빅데이터학회 3 (3): 41-46, 2018

      2 김진영, "빅데이터 분야 규제와 개선방안 검토- 신정부의 정책방향과 입법과제 중심으로 -" IT와 법연구소 (15) : 157-191, 2017

      3 윤혜선, "빅데이터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연구-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한계와 리스크규제체제로의전환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71-94, 2018

      4 조수영, "개인정보보호법과 EU의 GDPR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61) : 117-148, 2018

      5 김나루, "‘Privacy by design’의 도입과 그 적용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29 (29): 1-30, 2017

      6 François de Witte, "The new service providers introduced by PSD2, PA Perspectives on Nordic Financial Services"

      7 OBWG, "The Open Banking Standard" 2016

      8 "The Constitutional Court 2005. 5. 26. Sentence 99-hun-ma-513 decision"

      9 European Data Protection Supervisor, "Report of workshop on Privacy, Consumers, Competition and Big Data 2 June" EDPS 2014

      10 European Commision, "Regulatory technical standards (RTS) for strong customer authentication(SCA) and common and secure open standards of communication(CSC)-Regulation(EU)2018/389"

      11 European Commission, "Payment Services(PDS2) - Directive(EU)2015/2366"

      12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Payment Services Infrastructure Innovation Plan for Fintech and Financial platform development" 2019

      13 Deloitte, "Open banking privacy at the epicentre"

      14 Park, Whon-Il, "Is Data Portability Available in Korea?"

      15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troduction of Mydata Industry in the Financial Sector for Consumer-oriented financial innovation"

      16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EU) 2016/679"

      17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intech Innovation Activation Plan" 2018

      18 Kyu-Sun Choi, "EU PSD2’s Impact on the financial sector" KFTC 2018

      19 Angus McFadyen, "Dutch data watchdog: PSD2 consent must be obtained 'separately'"

      20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Measures in the Financial sector" 2018

      21 Gwon Min-Gyeong,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My Data" Capital Markets Research Institute 2019

      22 European Commision, "Building a European Data Economy(COM(2017) 9final)" 2017

      23 Korea Data Agency, "2018 Data Industry White Paper" Korea Data Agency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