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은 문화재보호법상의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가적ㆍ민속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학술적ㆍ예술적등의 가치가 큰’ 기념물에 해당하며, 특히 천연기념물(식물)은 26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81598
2016
-
400
01
학술저널
59-60(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천연기념물은 문화재보호법상의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가적ㆍ민속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학술적ㆍ예술적등의 가치가 큰’ 기념물에 해당하며, 특히 천연기념물(식물)은 261...
천연기념물은 문화재보호법상의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가적ㆍ민속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학술적ㆍ예술적등의 가치가 큰’ 기념물에 해당하며, 특히 천연기념물(식물)은 261건(전체 455건, 문화재청 2015. 6. 기준)으로 그 비중이 매우 높고, 그 중에서도 노거수가 169건으로 식물 지정건수의 약 65%에 해당한다. 노거수(老巨樹)는 일반적으로 크고 오래된 나무를 의미하나, 수령이 많고 오래된 나무로서 진귀성, 고유성, 역사성 등의 학술적 가치가 있는 것(정근, 2008; 이은복 등, 2009; 정대영, 2011)으로 자연적 가치와 더불어 문화적 가치가 복합된 우리 민족의 자연유산이다. 하지만 노거수의 자연노화, 기상변화, 개발ㆍ오염에 의한환경훼손, 일부 인위적 관리시설물에 인한 생육환경 악화로 인해 수목의 수세 쇠약 및 고사가 발생되어 왔으며, 이를개선하기 위한 노거수의 생육상태 및 생육환경 실태조사, 피해양상, 개선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노거수 생육환경 연구에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환경 분석을 통한 토양환경 개선 방안 마련(김효정, 2012), 경상남도 지역 노거수를 대상으로 생육상태와 토양환경과의 상관 분석(김효정, 2011), 서울.경기 지역의 노거수 건강도(고사지율, 공동크기).근원부 현황과 토양환경 및 입지환경과의 상관분석(강현경과 이승제, 2005), 전라도지역의 노거수 생육현황 및 생육환경 실태조사를 통안 관리방안 제시(김태식 등,2009) 연구가 있었다. 이러한 추세에서 본 연구는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생육환경을 분석하고, 일부 관리시설물에 따른 수목활력도 차이 분석하였으며, 노거수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는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자료(2008~2011)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노거수 중 지정 건수가 많은 은행나무와 소나무를 중심으로 생육현황, 인위적 관리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층 전기저항 값을 이용하여 인위적 관리에 따른 수목생육(수목활력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문화재청, 2011;2010; 2009; 2008)의 소나무(24건), 은행나무(15건) 등 총39건에 대한 측정 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장조사는 2월 ~10월까지 9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생육현황(제원 및 수형형태, 수목활력도)과 생육환경(토양환경과 인위적 관리시설)으로 구분된다. 노거수의 제원 및 수형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수고는 측고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근원둘레와 흉고둘레, 수관폭(동서, 남북)은 줄자를 이용해 실측하였다. 수목활력도는 휴대용 형성층전기저항 측정기OZ-93(Shigometer)을 사용하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4곳을2회(봄, 여름) 측정하여 그 값의 평균을 노거수의 대표값으로 사용하였다. 인위적 관리시설로는 복토와 석축, 불투수포장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보호책은 수관면적 이하와 이상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표본수가 30이하로 적어 인위적 관리시설물에 따른 수목활력도 차이는 독립표본 비모수 검정으로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노거수의 제원 및 수형조사 결과 소나무의 평균 수고는 14.2m로 6.2~27.4m 범위이며, 수관폭은 동서방향이 평균19.0m, 남북방향은 평균 20.1m 이고, 흉고둘레의 평균은 5.0m, 2~10.8m로서 사이에 분포하였다. 은행나무의 평균수고는 25.9m로 14.0~39.0m에 분포하고 수관폭은 동서방향,남북방향이 평균 약 26m로 각각 19.0~34.0m, 18.5~38.8m사이로 조사되었으며, 흉고둘레와 근원둘레의 평균은 각각11.8m, 13.1m로 나타났다. 수목의 활력도를 알아보기 위해 형성층 전기저항 값을 측정한 결과 소나무 전기저항 값은 평균 14.9㏀이고, 8.5㏀~37.5㏀사이에 분포하였다. 이 중에서 영월 청령포 관음송(제349호)의 전기저항 값이 8.5㏀로 생육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보은 서원리 소나무(제352호)의 전기저항값은 37.5㏀로 가장 높아 생육상태가 상대적으로 가장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은행나무의 형성층 전기저항값은 평균 13.5㏀로, 6.4㏀~40.5㏀사이에 분포하였다. 특히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6.4㏀)와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7.7㏀) 순으로 전기저항 값이 낮았다. 노거수의 인위적 관리시설 현황 분석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모두 과반수 복토된 것으로 나타났고, 소나무(54%)에 비해 은행나무(86%)의 복토 빈도가 특히 높았다. 노거수주변의 석축 유무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 54%, 은행나무53% 등 과반수 노거수가 석축에 둘러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호책의 경우 소나무 41%, 은행나무 33%의 보호책면적이 수관면적 이하로 수관을 보호할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거수의 인위적 관리 따른 형성층 전기저항 값을 비교한결과 석축, 복토, 포장(비포장), 보호책(수관내부, 수관외부)중에서 복토 유무에 따라 수목활력도에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은행나무 모두 복토 된수목의 평균순위가 복토가 되지 않은 수목보다 높게 나타나형성층 전기저항 값이 더 높으며, 생육상태가 상대적으로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뿌리를 보호하기 위해 실시한 복토가 오히려 수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석축의 경우 소나무에서는 석축이있는 노거수의 평균순위가 석축이 없는 노거수에 비해 높아수목활력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지 않았다.
세계유산 등재활성화를 위한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