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5개 생활권역의 보행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권역별로 총보행량, 시간대별 보행량, 조사지점 속성에 따른 보행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0125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5-326(12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5개 생활권역의 보행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권역별로 총보행량, 시간대별 보행량, 조사지점 속성에 따른 보행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
본 연구는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5개 생활권역의 보행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권역별로 총보행량, 시간대별 보행량, 조사지점 속성에 따른 보행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평일과 주말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권역에서 중앙선, 버스정류장,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 유동인구가 증가하였으나, 도심권에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모든 권역에서 상업지역은 보행의 유발요인인반면, 경사로는 보행의 방해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통행특성지표, 토지이용지표,사회적지표 및 조사지점 속성이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와 상관성을 보이는 변수는 권역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요인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pedestrian characteristics of 5 urban communities with 2012 Seoulfloating population survey data. First of all, differences in total pedestrian volumes and time distribution of thevolumes are compared across the 5 ...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pedestrian characteristics of 5 urban communities with 2012 Seoulfloating population survey data. First of all, differences in total pedestrian volumes and time distribution of thevolumes are compared across the 5 urban communities and the effects of pedestrian road properties areinvestigated. Then, we conduct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volume according to thetype of urban community and day of week. As results, the urban community had the greatest volume and thevolume increased significantly at lunch time. Center bus lane, bus stop, and crosswalk lead to more trips in theurban community, while opposite patterns occurred in the other communities. Less slopes and commercial regionareas caused more trips in all communitie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variety of variablesincluding demographic indices, land use type and pedestrian road properties differently affect pedestrian volumes inindividual urban communities.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polices for pedestrianenvironment improv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욱,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과 보행량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83-94, 2007
2 이경환,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5-118, 2007
3 이경환, "지역 주민의 보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한건축학회 24 (24): 293-302, 2008
4 박소현, "주거지 보행환경 인지가 생활권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53-261, 2009
5 윤나영,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 환경 요인의 관련성 실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135-150, 2013
6 신기숙, "보행활동에 대한 쇼핑통행행태 선택요인의 구조적 영향 분석과 통근통행행태 분석결과의 비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49-260, 2011
7 변지혜,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57-65, 2010
8 박소현,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61-172, 2008
9 최윤경, "도시 공간구조의 보행자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89-96, 2003
10 성현곤,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보행목적이 보행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울연구원 12 (12): 73-86, 2011
1 김영욱,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과 보행량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83-94, 2007
2 이경환,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5-118, 2007
3 이경환, "지역 주민의 보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한건축학회 24 (24): 293-302, 2008
4 박소현, "주거지 보행환경 인지가 생활권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53-261, 2009
5 윤나영,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 환경 요인의 관련성 실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135-150, 2013
6 신기숙, "보행활동에 대한 쇼핑통행행태 선택요인의 구조적 영향 분석과 통근통행행태 분석결과의 비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49-260, 2011
7 변지혜,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57-65, 2010
8 박소현,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61-172, 2008
9 최윤경, "도시 공간구조의 보행자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89-96, 2003
10 성현곤,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보행목적이 보행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울연구원 12 (12): 73-86, 2011
11 Moudon A. V.,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18 (18): 21-37, 2003
1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rban General Plan in Seoul" 2006
13 Handy S. L., "Urban Form and Pedestrian Choices: Study of Austin Neighborhoo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National Academies 1552 : 135-144, 1996
14 Lee W. D., "Time series of Walking Population Change Correlation Analysis with Land-Use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Autumn) : 2011
15 Miranda-Moreno L. F., "The Link between Built Environment, Pedestrian Activity and Pedestrian-Vehicle Collisin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43 (43): 1624-1634, 2011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2013
17 Lee W. D., "Relationships between Walkability and Land-use: an Analysis of Pedestrian Survey Data in Seoul" (Spring) : 141-145, 2007
18 Kim S. H., "Pedestrian Environment Scaling Analysis by Walkway Type" 38 (38): 2151-2154, 2012
19 Pulugurtha S. S., "Assessment of Models to Measure Pedestrian Activi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2073 : 39-48, 2008
20 Bae I. S., "An Improvement Search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ubway Stations" 24 (24): 173-190, 2000
21 Kim T. H., "A Study on Determining Factors on Pedestrian Volume by Station Area Type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In-vehicle 통합 운전자지원시스템 효과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6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