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선수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관계자의 인식 연구 = The Cognition for the Sport-Athletes’ Right of Publi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rights by people engaged in sports and laws by using quantitative social research methods after synthesizing and re-interpreting legal principles and law cases on athletes’ publicity at this point when the legislative efforts of publicity rights are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a solution to minimize the conflict due to the different opinion between two groups and to widen the mutual understanding by examining the state of recognition and tendency of the interested parties in both fields objectively and deeply. 216 participants was participated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e usage of athletes identity was decided by the level of the degree of permission of commercial use of athletic records without notice, not appreciation for the economic values, and as for the object of publicity rights, both groups wanted a strong legal regulation as the permission of commercial use without notice is low, regardless of economic evaluation, and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self-regul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rights by people engaged in sports and laws by using quantitative social research methods after synthesizing and re-interpreting legal principles and law cases on athletes’ publicity at this point when the legi...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rights by people engaged in sports and laws by using quantitative social research methods after synthesizing and re-interpreting legal principles and law cases on athletes’ publicity at this point when the legislative efforts of publicity rights are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a solution to minimize the conflict due to the different opinion between two groups and to widen the mutual understanding by examining the state of recognition and tendency of the interested parties in both fields objectively and deeply. 216 participants was participated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e usage of athletes identity was decided by the level of the degree of permission of commercial use of athletic records without notice, not appreciation for the economic values, and as for the object of publicity rights, both groups wanted a strong legal regulation as the permission of commercial use without notice is low, regardless of economic evaluation, and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self-reg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위수, "퍼블리시티권의 침해와 민사책임(상)" (242) : 28-37, 1996

      2 박인수, "퍼블리시티권의 법리와 판례에 관한 연구" 7 (7): 146-178, 2001

      3 박우근, "퍼블리시티권의 도입 및 이전 성에 관한 고찰" 고려대법무대학원 2008

      4 최승재, "퍼블리시티권 침해와 손해배상의 범위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199-218, 2008

      5 "스포츠판타지 게임 퍼블리시티권 침해 ‘논란’"

      6 이형규, "스포츠선수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209-226, 2007

      7 유주선, "스포츠선수와 퍼블리시티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351-369, 2007

      8 남형두, "스포츠경기와 퍼블리시티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197-243, 2007

      9 남형두, "세계시장 관점에서 본 퍼블리시티권 - 한류의 재산권보장으로서의 퍼블리시티권 -" 한국법학원 (86) : 101-121, 2005

      10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4.19. 선고 2005가합80450판결"

      1 한위수, "퍼블리시티권의 침해와 민사책임(상)" (242) : 28-37, 1996

      2 박인수, "퍼블리시티권의 법리와 판례에 관한 연구" 7 (7): 146-178, 2001

      3 박우근, "퍼블리시티권의 도입 및 이전 성에 관한 고찰" 고려대법무대학원 2008

      4 최승재, "퍼블리시티권 침해와 손해배상의 범위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199-218, 2008

      5 "스포츠판타지 게임 퍼블리시티권 침해 ‘논란’"

      6 이형규, "스포츠선수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209-226, 2007

      7 유주선, "스포츠선수와 퍼블리시티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351-369, 2007

      8 남형두, "스포츠경기와 퍼블리시티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197-243, 2007

      9 남형두, "세계시장 관점에서 본 퍼블리시티권 - 한류의 재산권보장으로서의 퍼블리시티권 -" 한국법학원 (86) : 101-121, 2005

      10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4.19. 선고 2005가합80450판결"

      11 유일상, "미디어저작권과 퍼블리시티권. 제3부" 사회평론사 2010

      12 배금자, "미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 (67) : 2-14, 2004

      13 東京地法, "平成 9.9.27. 判決" (1326) : 137-,

      14 하홍준, "個人의 同一性(identity)의 商業的 利用에 대한 보호 법제-퍼블리시티권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567-591, 2005

      15 Terrel, T. P, "licity, Liberty and Intellectual Property: A Conceptual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Inheritability Issue" 34 : 1-, 1985

      16 "Zacchini v. Scripps - Howard Broadcasting Co., 433 U.S.567"

      17 McCarthy, Thomas, "The Right of Publicity"

      18 Nimmer, Melville B., "The Right of Publicity" 19 : 203-, 1954

      19 Posner, R.A., "The Right of Privacy" 393 : 441-, 1978

      20 McKelvey,S, "Sport Celebrities and the Right of Publicity Take a New Twist Sport" 14 (14): 188-190, 2005

      21 Donohue, G. A., "Mass Media and Knowledge Gap" 2 (2): 3-23, 1970

      22 "Haelan Laboratories, Inc. v. Topps Chewing Gum,Inc., 202 F.2d 866(2d Cir.1953)"

      23 McMillen J, "Artist and Athlete: Balancing the First Amendment and the Right of Publicity in Sport Celebrity Portraits" 14 (14): 117-14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