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식전 건조시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적, 3차원영상 분석 = THE EFFECT OF EMDOGAINE^(R) APPLICATION IN REPLANTED BEAGLE'S ANTERIOR TEETH : 3-DIMENSIONAL AND HISTOLOGIC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7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재식하였다. 구강외 건조시간은 15(I 군), 30(II 군) 및 60분 (III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은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식 후 염증성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P<0.001).
      2. Emdogain^(R)의 적용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 군과 III 군에서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염증성 흡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며(P<0.01). II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치근의 흡수는 치근단 1/3 부위(절편 16, 15, 14순으로)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P<0.05, 0.001), 또한 치경부 1/3 부위(P<0.05)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4. 치아의 장축에 직각인 절단면에서 관찰된 흡수는 주로 협설측 부위에 주로 발생하였다(P<0.01).
      번역하기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재식하였다. 구강외 건조시간은 15(I 군), 30(II 군) 및 60분 (III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은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식 후 염증성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P<0.001).
      2. Emdogain^(R)의 적용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 군과 III 군에서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염증성 흡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며(P<0.01). II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치근의 흡수는 치근단 1/3 부위(절편 16, 15, 14순으로)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P<0.05, 0.001), 또한 치경부 1/3 부위(P<0.05)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4. 치아의 장축에 직각인 절단면에서 관찰된 흡수는 주로 협설측 부위에 주로 발생하였다(P<0.01).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hree-dimensionally and histologically assessed the effect of Emdogain^(R) on periodontal healing in replanted teeth in three beagle dogs which were 1 to 2 years old. weighing from 10 to 13 kg. Twelv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were intentionally extracted and replanted after 15(Group I). 30(Group II) and 60(Group III) minutes of air dry storage with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Emdogain^(R).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1. Increased incidence of inflammatory healing response in periodontal tissue was proportional to air dry time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P<0.01).
      2. Treatment Group showed lower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especially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in Group I, III(P<0.001, Group II : P=0.093).
      3.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were mainly occurred in apical third(14, 15-16 section)(P<0.05. 0.001), and cervical third(1 section)(P<0.05).
      4. In view of horizontal section of long tooth axis. Main root resorption area were 1, 4, 5 line area(bucco-lingual area)(P<0.01).
      번역하기

      This study three-dimensionally and histologically assessed the effect of Emdogain^(R) on periodontal healing in replanted teeth in three beagle dogs which were 1 to 2 years old. weighing from 10 to 13 kg. Twelv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were ...

      This study three-dimensionally and histologically assessed the effect of Emdogain^(R) on periodontal healing in replanted teeth in three beagle dogs which were 1 to 2 years old. weighing from 10 to 13 kg. Twelv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were intentionally extracted and replanted after 15(Group I). 30(Group II) and 60(Group III) minutes of air dry storage with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Emdogain^(R).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1. Increased incidence of inflammatory healing response in periodontal tissue was proportional to air dry time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P<0.01).
      2. Treatment Group showed lower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especially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in Group I, III(P<0.001, Group II : P=0.093).
      3.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were mainly occurred in apical third(14, 15-16 section)(P<0.05. 0.001), and cervical third(1 section)(P<0.05).
      4. In view of horizontal section of long tooth axis. Main root resorption area were 1, 4, 5 line area(bucco-lingual area)(P<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