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28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 natural materials, in oral health material. With this aim in mind,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LC-bioautograph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real-time qPCR were perform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D.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KCTC3065 was confirmed in an n-hexane fraction with low polarit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ntibacterial compound was estimated to be 188 by ESI-MS analysis.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on biofilm formation and gene expression related to biofilm formation of S. mutans were determined by SEM and real-time PCR analysis. The extract inhibited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s at D. malabarica stem extract concentrations of 1 mg/ml, as shown by SEM. The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gtfC gene, which is associated with biofilm form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 malabarica stem extracts, a natural materials, can be used in oral health products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biofilms by inhibiting tooth adhesion of S. mutans, a causative agent of dental cari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 natural materials, in oral health material. With this aim in mind,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LC-bioautograph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 natural materials, in oral health material. With this aim in mind,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LC-bioautograph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real-time qPCR were perform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D.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KCTC3065 was confirmed in an n-hexane fraction with low polarit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ntibacterial compound was estimated to be 188 by ESI-MS analysis.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on biofilm formation and gene expression related to biofilm formation of S. mutans were determined by SEM and real-time PCR analysis. The extract inhibited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s at D. malabarica stem extract concentrations of 1 mg/ml, as shown by SEM. The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gtfC gene, which is associated with biofilm form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 malabarica stem extracts, a natural materials, can be used in oral health products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biofilms by inhibiting tooth adhesion of S. mutans, a causative agent of dental ca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경, "치태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Armoracia rusticana) 뿌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대한소아치과학회 35 (35): 225-234, 2008

      2 김혜수,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이 구강미생물의 생육과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8 (28): 110-115, 2018

      3 허만규, "연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치위생학회 14 (14): 117-122, 2014

      4 임성훈,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작용" 대한치과교정학회 33 (33): 381-389, 2003

      5 이선영,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6 (36): 1-11, 2009

      6 Takenaka, S., "Vizantin inhibits bacterial adhesion without affecting bacterial growth and causes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to detach by altering its internal architecture" 480 : 173-179, 2016

      7 Zhiyan, H., "Use of the quorum sensing inhibitor furanone C-30 to interfere with biofilm form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and its luxS mutant strain" 40 : 30-35, 2012

      8 Ebisu, S., "The structure of water-insoluble glucans of cariogenic Streptococcus mutans, formed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dextranase" 38 : 374-381, 1974

      9 Davies, A, "The mode of action of chlorhexidine" 8 : 68-75, 1973

      10 Bergstorm, J., "The effect of chlorhexidine emulsion on plaque, An infra individual study of local application" 66 : 461-465, 1973

      1 김혜경, "치태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Armoracia rusticana) 뿌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대한소아치과학회 35 (35): 225-234, 2008

      2 김혜수,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이 구강미생물의 생육과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8 (28): 110-115, 2018

      3 허만규, "연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치위생학회 14 (14): 117-122, 2014

      4 임성훈,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작용" 대한치과교정학회 33 (33): 381-389, 2003

      5 이선영,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6 (36): 1-11, 2009

      6 Takenaka, S., "Vizantin inhibits bacterial adhesion without affecting bacterial growth and causes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to detach by altering its internal architecture" 480 : 173-179, 2016

      7 Zhiyan, H., "Use of the quorum sensing inhibitor furanone C-30 to interfere with biofilm form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and its luxS mutant strain" 40 : 30-35, 2012

      8 Ebisu, S., "The structure of water-insoluble glucans of cariogenic Streptococcus mutans, formed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dextranase" 38 : 374-381, 1974

      9 Davies, A, "The mode of action of chlorhexidine" 8 : 68-75, 1973

      10 Bergstorm, J., "The effect of chlorhexidine emulsion on plaque, An infra individual study of local application" 66 : 461-465, 1973

      11 Iniue, M., "Synthesis of adherent insoluble glucan by the concerted action of the two glucosyltransferase components of Streptococcus mutans" 143 : 101-104, 1982

      12 신애리, "Streptococcus mutans 를 억제하는 오배자 구성물질의 분리 및 정제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40 (40): 3-8, 2016

      13 유정헌, "Streptococcus mutans 균에 의해 형성된 바이오필름에 대한 Glycyrrhetinic acid의 불안정화 효과"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40 (40): 38-42, 2016

      14 Hennessey, T. S, "Som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hlorhexidine" 8 : 61-67, 1973

      15 Pranjal, S.,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and Diospyros malabarica kostel" 5 : 199-204, 2014

      16 Kolenbrander, P. E., "Oral multispecies biofilm development and the key role of cell-cell distance" 8 : 471-480, 2010

      17 Zijnge, V., "Oral biofilm architecture on natural teeth" 5 : e9321-, 2010

      18 Davidson, P. M.,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43 : 148-152, 1989

      19 Kumar, S.,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 prospects for India" 19 : 361-365, 1997

      20 Kuramitsu, H. K., "Interspecies interactions within oral microbial communities" 71 : 653-670, 2007

      21 Wenham, D. G., "Insoluble glucan synthesis by mutansucrase as determinant of the car iogenicity of Streptococcus mutans" 127 : 407-415, 1981

      22 Ramsewak, R. S., "In vitro antagonistic activity of monoterpenes and their mixtures against ‘toe nail fungus’ pathogens" 17 : 376-379, 2003

      23 Choi, H. J., "Hypoglycemic effect of GE974 isolated from Gyrophora esculenta in normal and diabetic mice" 31 : 268-272, 2000

      24 Rode, M. S., "Evaluation of anti-diarrheal activity of Diospyros malabarica bark extract" 8 : 49-53, 2013

      25 Hassan, S., "Efficacy of E. officinalis on the cariogenic properties of Streptococcus mutans a novel and alternative approach to suppress quorum sensing mechanism" 7 : e40319-, 2012

      26 Schaupp, H., "Disturbance of taste from oral disinfectants" 26 : 335-341, 1973

      27 Fujiwara, T., "Differential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mRNA expression of glucosyltransferases from Streptococcus mutans MT8148" 81 : 109-113, 2002

      28 Rosan, B., "Dental plaque formation" 2 : 1599-1607, 2000

      29 Marsh, P. D, "Dental plaque as a microbial biofilm" 38 : 204-211, 2001

      30 Whiley, R. A., "Current classification of the oral streptococci" 13 : 195-216, 1998

      31 Poureslami, H., "Contemporary Approach to Dental Caries" In Tech 396-402, 2012

      32 Budtz-Jorgensen, E., "Chlorhexidine as a denture disinfectant in the treatment of denture stomatitis" 80 : 457-464, 1972

      33 Choma, I. M., "Bioautography detection in thin-layer chromatography" 1218 : 2684-2691, 2010

      34 Dewanjee, S., "Bioautography and its scope in the field of natural product chemistry" 5 : 75-84, 2015

      35 Costerton, J. W., "Bacterial biofilms : A common cause of persistent infections" 60 : 756-762, 1999

      36 Paula, V.,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chlorhexidine and xylitol" 209 : 19-23, 2010

      37 Park, S. N., "Antimicrobial effect of linalool and α-terpineol against periodontopathic and cariogenic bacteria" 18 : 369-37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