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의 서사적 재현과 대응 양상 연구 - 넷플릭스 K-좀비드라마 <킹덤> 시리즈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disasters and responses: Focusing on the Netflix K-zombie drama series <Kingd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8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시대는 ‘항구적 위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기 상황이 끊임없이 닥쳐오고 있다. 21세기 들어 좀비 장르는 시대 상황을 반영한 재난의 풍광을 묘사하면서 대중적 장르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에서도 <부산행>(2016)의 성공과 함께 좀비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특히 K-좀비 열풍은 전 세계 좀비 장르의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그 중심에 <킹덤> 시리즈가 있다. <킹덤> 시리즈는 서사가 진행됨에 따라 좀비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킹덤: 아신전>은 봉합되지 않는 파국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다른 좀비서사와 변별된다.
      일반적인 좀비서사에서 좀비의 기원은 언급되지 않거나, 모호하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이는 좀비서사의 목적이 사태의 해결이나 원인 분석이 아니라 재난으로 인한 스펙터클과 파국의 풍광을 그리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킹덤> 시리즈는 ‘생사초’라는 분명한 기원을 제시하고 있다. 좀비는 불가피하거나 거스를 수 없는 재난이 아니라 막을 수 있었던 재난으로 그려진다. 일반적인 좀비서사가 좀비를 무차별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괴물로 그려내는 데 비해, <킹덤> 시리즈는 좀비를 ‘통제 가능한 괴물’로 그려낸다. <킹덤> 시리즈의 등장인물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좀비를 활용하고 재난을 통제한다. 이로써 <킹덤> 시리즈는 재난 자체보다는 재난을 초래한 근본 원인을 찾고자 한다. 재난의 궁극적 원인은 부패하고 망가진 정치로 제시된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킹덤> 시즌 1, 2와 <킹덤: 아신전>은 다른 길을 걷는다. <킹덤> 시즌 1, 2는 ‘이창’이라는 신화적 영웅의 분투로 사태가 해결된다. 이창이 내세우는 해결책은 ‘올바른 통치로의 복귀’다. 이창은 특정한 세력과 부패한 정치인이 제거되면 바람직한 세상이 올 거라 믿는다. 반면 <킹덤: 아신전>의 아신은 가장 주변화된 인물로, 국가 자체로부터 배제당하고 착취당한 타자다. 그런 아신에게 국가란 부패하고 추악한 집단이며, 철저히 전복되고 파괴되어야 하는 부정적 권력에 불과하다. 아신이 선택하는 해결책은 일괄적이고 보편적인 파국의 도래다.
      번역하기

      현시대는 ‘항구적 위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기 상황이 끊임없이 닥쳐오고 있다. 21세기 들어 좀비 장르는 시대 상황을 반영한 재난의 풍광을 묘사하면...

      현시대는 ‘항구적 위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기 상황이 끊임없이 닥쳐오고 있다. 21세기 들어 좀비 장르는 시대 상황을 반영한 재난의 풍광을 묘사하면서 대중적 장르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에서도 <부산행>(2016)의 성공과 함께 좀비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특히 K-좀비 열풍은 전 세계 좀비 장르의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그 중심에 <킹덤> 시리즈가 있다. <킹덤> 시리즈는 서사가 진행됨에 따라 좀비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킹덤: 아신전>은 봉합되지 않는 파국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다른 좀비서사와 변별된다.
      일반적인 좀비서사에서 좀비의 기원은 언급되지 않거나, 모호하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이는 좀비서사의 목적이 사태의 해결이나 원인 분석이 아니라 재난으로 인한 스펙터클과 파국의 풍광을 그리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킹덤> 시리즈는 ‘생사초’라는 분명한 기원을 제시하고 있다. 좀비는 불가피하거나 거스를 수 없는 재난이 아니라 막을 수 있었던 재난으로 그려진다. 일반적인 좀비서사가 좀비를 무차별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괴물로 그려내는 데 비해, <킹덤> 시리즈는 좀비를 ‘통제 가능한 괴물’로 그려낸다. <킹덤> 시리즈의 등장인물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좀비를 활용하고 재난을 통제한다. 이로써 <킹덤> 시리즈는 재난 자체보다는 재난을 초래한 근본 원인을 찾고자 한다. 재난의 궁극적 원인은 부패하고 망가진 정치로 제시된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킹덤> 시즌 1, 2와 <킹덤: 아신전>은 다른 길을 걷는다. <킹덤> 시즌 1, 2는 ‘이창’이라는 신화적 영웅의 분투로 사태가 해결된다. 이창이 내세우는 해결책은 ‘올바른 통치로의 복귀’다. 이창은 특정한 세력과 부패한 정치인이 제거되면 바람직한 세상이 올 거라 믿는다. 반면 <킹덤: 아신전>의 아신은 가장 주변화된 인물로, 국가 자체로부터 배제당하고 착취당한 타자다. 그런 아신에게 국가란 부패하고 추악한 집단이며, 철저히 전복되고 파괴되어야 하는 부정적 권력에 불과하다. 아신이 선택하는 해결책은 일괄적이고 보편적인 파국의 도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are currently in a state of perpetual crisis, with not only the coronavirus pandemic but also various other crises. In the 21st century, the zombie genre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depicting disaster landscapes that reflect the current times. In Korea, the zombie craze was at its peak with the success of <Train to Busan> (2016), and the K-zombie craze is now leading the global zombie genre trend. At the center of this trend is the <Kingdom> series, which deals with zomb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the narrative progresses. In particular, <Kingdom: Ashin of the North> is different from other zombie narratives in that it depicts an unstoppable catastrophe.
      In typical zombie narratives, the origins of zombies are either not mentioned or dealt with in a vague and indirect way.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a zombie narrative is not to resolve the situation or analyze the cause, but to create a spectacle and a landscape of catastrophe. The <Kingdom> series, however, presents a clear origin of "Saengsacho (Life and Death Plant)." The zombies are not portrayed as inevitable or irresistible, but as a disaster that could have been prevented.
      While the typical K-zombie narrative portrays zombies as indiscriminate and uncontrollable monsters, the <Kingdom> series portrays them as somewhat 'controllable.' The characters in the series utilize zombies to achieve their own goals and control the disaster. By doing so, the series seeks to find the root cause of the disaster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disaster itself. This is suggested to be due to corrupt and broken politics.
      However, <Kingdom> seasons 1 and 2, and <Kingdom: Ashin of the North> diverge in their themes and solutions presen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sons of <Kingdom>, the situation is resolved through the struggle of a mythical hero named Lee Chang, who believes that the return of righteous rule is the solution. He believes that if certain forces and corrupt politicians are eliminated, a better world can come into existence. On the other hand, Ashin in <Kingdom: Ashin of the North> is a peripheral character who is excluded and exploited by the power of the state itself. For her, the state is the most corrupt and ugly entity, a negative power that must be overthrown and destroyed. Ashin's solution is collective catastrophe.
      번역하기

      We are currently in a state of perpetual crisis, with not only the coronavirus pandemic but also various other crises. In the 21st century, the zombie genre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depicting disaster landscapes that reflect the current times....

      We are currently in a state of perpetual crisis, with not only the coronavirus pandemic but also various other crises. In the 21st century, the zombie genre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depicting disaster landscapes that reflect the current times. In Korea, the zombie craze was at its peak with the success of <Train to Busan> (2016), and the K-zombie craze is now leading the global zombie genre trend. At the center of this trend is the <Kingdom> series, which deals with zomb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the narrative progresses. In particular, <Kingdom: Ashin of the North> is different from other zombie narratives in that it depicts an unstoppable catastrophe.
      In typical zombie narratives, the origins of zombies are either not mentioned or dealt with in a vague and indirect way.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a zombie narrative is not to resolve the situation or analyze the cause, but to create a spectacle and a landscape of catastrophe. The <Kingdom> series, however, presents a clear origin of "Saengsacho (Life and Death Plant)." The zombies are not portrayed as inevitable or irresistible, but as a disaster that could have been prevented.
      While the typical K-zombie narrative portrays zombies as indiscriminate and uncontrollable monsters, the <Kingdom> series portrays them as somewhat 'controllable.' The characters in the series utilize zombies to achieve their own goals and control the disaster. By doing so, the series seeks to find the root cause of the disaster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disaster itself. This is suggested to be due to corrupt and broken politics.
      However, <Kingdom> seasons 1 and 2, and <Kingdom: Ashin of the North> diverge in their themes and solutions presen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sons of <Kingdom>, the situation is resolved through the struggle of a mythical hero named Lee Chang, who believes that the return of righteous rule is the solution. He believes that if certain forces and corrupt politicians are eliminated, a better world can come into existence. On the other hand, Ashin in <Kingdom: Ashin of the North> is a peripheral character who is excluded and exploited by the power of the state itself. For her, the state is the most corrupt and ugly entity, a negative power that must be overthrown and destroyed. Ashin's solution is collective catastroph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