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세대, 성차별, 권위주의 그리고 미투(#MeToo) : 개방형 문항을 통한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9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방형 문항(open-ended question)을 통하여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잠재적 태도를 식별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구조적 토픽 모형(structural topic model)과 K-평균 군집화(K-means clustering)를 통해 개방형 문항에 대한 답변을 분류하였다.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는 피해 진술 자체와 사회운동에 모두 동의하는 평등주의, 피해 진술은 신뢰하지만 사회운동에는 반대하는 질서주의, 양자 모두에 회의적인 회의주의로 분류된다. 둘째, 낮은 연령은 모든 집단에서 회의주의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모든 집단에서 평등주의적 태도를 매우 강하게 약화시키지만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여성 내에서만 질서주의적 태도를 약화시킨다. 넷째, 우파 권위주의 성향은 모든 집단에서 질서주의를 강화하며 사회지배 성향은 여성 내에서만 질서주의를 강화한다. 종합적으로 연령과 적대적 성차별주의,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가장 강력하고 일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통적인 가부장주의나 권위주의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가정과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경험적 조사 및 분석이 요청된다. 그리고 이 연구가 향후 젠더 관련 가치관을 측정할 때 이론적 전제 및 지표 구성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방형 문항(open-ended question)을 통하여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잠재적 태도를 식별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구조적 토픽 모형(structural topic model)...

      본 연구는 개방형 문항(open-ended question)을 통하여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잠재적 태도를 식별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구조적 토픽 모형(structural topic model)과 K-평균 군집화(K-means clustering)를 통해 개방형 문항에 대한 답변을 분류하였다.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는 피해 진술 자체와 사회운동에 모두 동의하는 평등주의, 피해 진술은 신뢰하지만 사회운동에는 반대하는 질서주의, 양자 모두에 회의적인 회의주의로 분류된다. 둘째, 낮은 연령은 모든 집단에서 회의주의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모든 집단에서 평등주의적 태도를 매우 강하게 약화시키지만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여성 내에서만 질서주의적 태도를 약화시킨다. 넷째, 우파 권위주의 성향은 모든 집단에서 질서주의를 강화하며 사회지배 성향은 여성 내에서만 질서주의를 강화한다. 종합적으로 연령과 적대적 성차별주의,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가장 강력하고 일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통적인 가부장주의나 권위주의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가정과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경험적 조사 및 분석이 요청된다. 그리고 이 연구가 향후 젠더 관련 가치관을 측정할 때 이론적 전제 및 지표 구성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latent attitudes towards the #MeToo movement through an open-ended survey and analyze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latent attitudes. To this end, this study had classified the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s using a Structural Topic Model and K-means clustering. After splitting the samp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it performe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the #MeToo movement classifies its aspects as a) ‘Egalitarianism’ which agrees with both the victim statement itself and the social movement for gender equality; b) ‘Law and Order’ that trusts the victim statement but opposes the social movement, and; c) ‘Skepticism’ that disagrees with both. Second, lower the age, the greater probability to have a skeptical attitudes in all groups. Third, hostile sexism critically weakens the egalitarian attitudes in all groups, but benevolent sexism abates the Law and Order attitude only within women. Fourth, the right-wing authoritarian tendency reinforces Law and Order attitude in all groups, and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tresses Law and Order only within women. Overall, the forcible and most consistent influence on the #MeToo movement are age, hostile sexism, and right-wing authoritarian tendencies. Since these analysi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bout the effects of traditional patriarchal or authoritarianism, additional empir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shall follow in the future.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finement of theoretical premises and indicators when measuring gender-related valu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identifies latent attitudes towards the #MeToo movement through an open-ended survey and analyze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latent attitudes. To this end, this study had classified the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s using a Structur...

      This study identifies latent attitudes towards the #MeToo movement through an open-ended survey and analyze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latent attitudes. To this end, this study had classified the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s using a Structural Topic Model and K-means clustering. After splitting the samp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it performe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the #MeToo movement classifies its aspects as a) ‘Egalitarianism’ which agrees with both the victim statement itself and the social movement for gender equality; b) ‘Law and Order’ that trusts the victim statement but opposes the social movement, and; c) ‘Skepticism’ that disagrees with both. Second, lower the age, the greater probability to have a skeptical attitudes in all groups. Third, hostile sexism critically weakens the egalitarian attitudes in all groups, but benevolent sexism abates the Law and Order attitude only within women. Fourth, the right-wing authoritarian tendency reinforces Law and Order attitude in all groups, and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tresses Law and Order only within women. Overall, the forcible and most consistent influence on the #MeToo movement are age, hostile sexism, and right-wing authoritarian tendencies. Since these analysi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bout the effects of traditional patriarchal or authoritarianism, additional empir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shall follow in the future.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finement of theoretical premises and indicators when measuring gender-related value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이론적 논의 및 가설
      • III. 자료 및 분석방법
      • IV. 분석결과
      • V. 결론
      • I. 들어가는 말
      • II. 이론적 논의 및 가설
      • III. 자료 및 분석방법
      • IV. 분석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백미연, "한국 미투 운동 이후 페미니즘 정치의 전환: ‘연대의 정치’를 향하여" 한국정치사상학회 25 (25): 68-92, 2019

      3 이희은,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20-157, 2018

      4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 운동’의 사회적 의미" (234) : 5-12, 2018

      5 이종임,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99-146, 2019

      6 김가은, "직장인의 미투운동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7 (27): 33-68, 2018

      7 박선경, "젠더 내 세대격차인가, 세대 내 젠더격차인가?: 청년 여성의 자기평가이념과 정책태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19 (19): 5-36, 2020

      8 강신구, "제도와 가치체계의 조응, 그리고 민주주의 만족감" 현대정치연구소 12 (12): 71-106, 2019

      9 하상응,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의 심리적 결정 요인들: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6 (16): 5-37, 2017

      10 윤병해,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1-19, 2006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백미연, "한국 미투 운동 이후 페미니즘 정치의 전환: ‘연대의 정치’를 향하여" 한국정치사상학회 25 (25): 68-92, 2019

      3 이희은,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20-157, 2018

      4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 운동’의 사회적 의미" (234) : 5-12, 2018

      5 이종임,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99-146, 2019

      6 김가은, "직장인의 미투운동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7 (27): 33-68, 2018

      7 박선경, "젠더 내 세대격차인가, 세대 내 젠더격차인가?: 청년 여성의 자기평가이념과 정책태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19 (19): 5-36, 2020

      8 강신구, "제도와 가치체계의 조응, 그리고 민주주의 만족감" 현대정치연구소 12 (12): 71-106, 2019

      9 하상응,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의 심리적 결정 요인들: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6 (16): 5-37, 2017

      10 윤병해,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1-19, 2006

      11 이상신, "소수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결정요인 연구 : 우파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거리감" 아시아여성연구원 8 (8): 39-68, 2015

      12 장다혜, "성폭력에 대한 신화와 대항발화: 미투 운동을 통해 본 성폭력 근절을 위한 대응 방향" 15-20, 2018

      13 김은지,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2 (2): 171-183, 2011

      14 최인숙, "성폭력 통념수용, 대인폭력수용 및 성역할-관련 태도가 공격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277-300, 2015

      15 김보화, "성폭력 상담일지를 통해 본 2018년 한국 미투운동의 의미" 한국여성연구소 19 (19): 3-43, 2019

      16 김기동, "성차별주의의 정치적 및 감정적 효과: 한국 유권자들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사회학회 54 (54): 41-82, 2020

      17 김민영, "사전 정보 없이 판단하는 선거 후보자 인상평가 및 선호도에 있어 평가자 요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3 (33): 23-41, 2019

      18 임수진,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의 성폭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347-361, 2012

      19 주은혜, "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37-65, 2018

      20 권향숙, "미투 운동을 통해 본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소고: 몸-정신 주체, 지각, 타자성, 서(恕)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9 (39): 259-285, 2018

      21 홍주현, "미투 운동에 나타난 방송 보도의 선정성과 방송의 선정성 해결방안 모색" 13-60, 2018

      22 김보명, "미투 운동, 다시 한번 성폭력을 말하기" 21-22, 2018

      23 김세은, "미투 운동(#Metoo) 보도를 통해 본 한국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사 조직 문화: 여성기자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39-88, 2019

      24 백영민, "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차원축소 기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9 (49): 188-210, 2018

      25 이인숙, "대학생들의 인터넷 음란물 추구성과 성폭력(강간) 통념 수용태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852-2861, 2013

      26 진경선,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2 (22): 289-313, 2017

      27 심현정, "국내 미투운동의 형사사법학적 함의" 한국경찰학회 20 (20): 85-108, 2018

      28 이보미, "국가의 시민적 자유 제약에 대한 개인의 태도 결정 요인 연구: 정부 신뢰와 우파 권위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6 (26): 65-106, 2018

      29 전가영, "‘미투’ 운동의 매체 프레임과 변화에 관한 연구: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 보도와 실재의 재구성"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49-101, 2020

      30 최이숙,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언론정보학회 104 : 122-163, 2020

      31 최종숙, "‘20대 남성 현상’ 다시 보기: 20대와 3040세대의 이념성향과 젠더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5) : 189-224, 2020

      32 Geer, John G, "What Do Open-ended Questions Measure?" 52 (52): 365-367, 1988

      33 Hansen, Michael A, "Voter Sex, Party, and Gender-Salient Issues : Attitudes about Sexual Harassment and Brett Kavanaugh in the 2018Elections" 48 (48): 532-542, 2020

      34 Manikonda, Lydia, "Twitter for Sparking a Movement, Reddit for Sharing the Moment: #Metoo through the Lens of Social Media"

      35 Russell, Brenda L., "Tolerance of Sexual Harassment : An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s, Ambivalent Sexism, Social Dominance, and Gender Roles" 50 (50): 565-573, 2004

      36 Times, "Timeline: #MeToo and how the Harvey Weinstein scandal unfolded"

      37 Munsch, Christin L., "The Role of Gender Identity Threat in Perceptions of Date Rape and Sexual Coercion" 18 (18): 1125-1146, 2012

      38 Ford, Carol A.,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Gender in Workers’ Attitudes toward Sexual Harassment" 130 (130): 627-633, 1996

      39 Ho, Arnold K., "The Nature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Theorizing and Measuring Preferences for Intergroup Inequality using the New SDO₇ Scale" 109 (109): 1003-1028, 2015

      40 Adorno, Theodor,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Verso Books 2019

      41 Glick, Peter,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70 (70): 491-512, 1996

      42 Roberts, Margaret E., "Structural Topic Models for Open‐ended Survey Responses" 58 (58): 1064-1082, 2014

      43 Roberts, Margaret E., "Structural Topic Models" Havard University 2014

      44 Pratto, Felici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 Personality Variable Predicting Social and Political Attitudes" 67 (67): 741-763, 1994

      45 Christopher, Andrew 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Sexism, and Prejudice toward Women in the Workforce" 32 (32): 65-73, 2008

      46 Henry, Patrick J.,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uthoritarianism, and Support for Intergroup Violence between the Middle East and America" 26 (26): 569-584, 2005

      47 Sidanius, Ji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ti-egalitarianism and the Political Psychology of Gender : An Extension and Cross-cultural Replication" 30 (30): 41-67, 2000

      48 Sidanius, Ji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the Political Psychology of Gender: A Case of Invariance?" 67 (67): 998-1011, 1994

      49 Giovannelli, Thorayya Said, "Sexual Violence Perceptions among Christian College Students" 16 (16): 254-272, 2013

      50 Foulis, Danielle, "Sexual Harassment: Factors Affect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37 (37): 773-798, 1997

      51 McLaughlin, Heather, "Sexual Harassment, Workplace Authority, and the Paradox of Power" 77 (77): 625-647, 2012

      52 Uggen, Christopher, "Sexual Harassment as a Gendered Expression of Power" 69 (69): 64-92, 2004

      53 Quinn, Beth A, "Sexual Harassment and Masculinity: The Power and Meaning of “Girl Watching”" 16 (16): 386-402, 2002

      54 Whitley Jr, Bernard E, "Right-wing Authoritarianis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Prejudice" 77 (77): 126-134, 1999

      55 Altemeyer, Robert Anthony, "Right-wing Authoritarianism" University of Manitoba Press 1981

      56 Hunsberger, Bruce, "Religious Fundamentalism,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Hostility toward Homosexuals in Non-Christian Religious Groups" 6 (6): 39-49, 1996

      57 Crawford, Jarret T., "Predicting Political Biases Against the Occupy Wall Street and Tea Party Movements" 36 (36): 111-121, 2015

      58 Klandermans, Bert, "Potentials, Networks, Motivations, and Barriers : Steps towards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s" 52 (52): 519-531, 1987

      59 Jost, John T., "Political Ideology : Its Structure, Functions, and Elective Affinities" 60 : 307-337, 2000

      60 Abrams, Dominic, G,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84 (84): 111-125, 2003

      61 Reja, Urša, "Openended vs. Close-ended Questions in Web Questionnaires" 19 (19): 159-177, 2003

      62 Kriesi, Hanspeter, "New Social Movements and the New Class in the Netherlands" 94 (94): 1078-1116, 1989

      63 Nutbeam, Meena, "Negative Attitudes and Beliefs toward the #MeToo Movement on Twitter" 2021

      64 Saguy, Abigail C., "Gender, Power, and Harassment : Sociology in the #MeToo Era" 47 : 417-435, 2021

      65 Welsh, Sandy, "Gender and Sexual Harassment" 25 (25): 169-190, 1999

      66 Iyengar, Shanto, "Framing Responsibility for Political Issues" 546 (546): 59-70, 1996

      67 Altemeyer, Bob, "Enemies of Freedom: Understanding Right-wing Authoritarianism" Jossey-Bass 1988

      68 Duckitt, John, "Differential Effects of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on Outgroup Attitudes and Their Mediation by Threat from and Competitiveness to Outgroups" 32 (32): 684-696, 2006

      69 Hetherington, Marc, "Authoritarianism, Threat, and Americans’Support for the War on Terror" 55 (55): 546-560, 2011

      70 Feild, Hubert S, "Attitudes toward rape :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e, rapists, crisis counselors, and citizens" 36 (36): 156-179, 1978

      71 Skewes, Lea, "Attitudes to Sexism and the #MeToo Movement at a Danish University" 29 (29): 124-139, 2021

      72 Süssenbach, Philipp, "Acceptance of Sexual Aggression Myth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German Residents" 37 (37): 374-385, 2011

      73 Rattazzi, Anna Maria Manganelli, "A Short Version of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Scale" 43 (43): 1223-1234, 2007

      74 Rotundo, Maria, "A Meta-analytic Review of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exual Harassment" 86 (86): 914-922, 2001

      75 허핑턴포스트, "2018년 한국 미투(Me too) 운동의 타임라인을 한눈으로 확인하자"

      76 이미경,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비판사회학회 (120) : 12-35, 2018

      77 PettyJohn, Morgan E., "#HowIWillChange : Engaging men and Boys in the #MeToo Movement" 20 (20): 612-622,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8 1.94 2.506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