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간․비인간의 난민화와 레푸기아(Refúgĭa) = Human and Nonhuman Refugeeism and Refúgĭa —The Cases of Nadine Gordimer’s “The Ultimate Safari” and Kruger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2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나딘 고디머의 소설 최고의 사파리 (1991)의 배경이기도 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크루거 국립공원이 인종분리정책의 역사적 장소에서 생태적 장소로 전회하는 것에 주목한다. 주로 갈...

      본고는 나딘 고디머의 소설 최고의 사파리 (1991)의 배경이기도 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크루거 국립공원이 인종분리정책의 역사적 장소에서 생태적 장소로 전회하는 것에 주목한다. 주로 갈등과 내전으로 인해 발생했던 난민은 서식지 파괴와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이며, 이로인해 인간 비인간의 이주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눈에 띨 정도로 동식물종의 이동은 증가하고 있으나 대륙 간의 부동성이 사회문화적으로 정착된 결과로, 이동성은불길하고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또한 국경을 세우고 자민족중심주의와 국민국가를 고수하는 것은 이주를 불안으로 선동하는 정치와 권력관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성별, 인종, 민족, 국적 등이 불균등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인간과 비인간은상상 이상으로 긴 이주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자연의 순환작용이다. 제자리에서 쫓겨나는 박탈의 상황에서 이동 이주를 결심하는 것은 오히려 희망의 신호이다. 여러 생물종들이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폐사하지만 전치를 겪고도 피난처를 찾는 것은 이동역량이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기후변화가 적어 동식물군이 살아남을수 있었던 지역을 가리키는 레푸기아(Refúgĭa)는 인접지역을 소외시키는 동시에 자발적으로 인접지역으로부터 소외되는 인클레이브(enclave)와 달리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레푸기아는 크루거 국립공원을 포함한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정주지를 잃고 난민화 되는 현상 속에 레푸기아로 향한 이동은단지 장소성의 의미로써가 아니라 다중들의 ‘공유’ 경험 간 주요 연결점에 걸쳐 생성되는 논쟁적인 장소의 활성화로 이어져야 하며, 확대 지속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Kruger National Park in South Africa, the background of Nadine Gordimer’s novel “The Ultimate Safari”(1991), and how the park turned from a historical site of Apartheid to an ecological one. Human and non-human migrati...

      This paper focuses on the Kruger National Park in South Africa, the background of Nadine Gordimer’s novel “The Ultimate Safari”(1991), and how the park turned from a historical site of Apartheid to an ecological one.
      Human and non-human migration, once mainly caused by conflicts and civil wars, are increasingly the result of habitat destruc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Although the movement of flora and fauna is noticeable, the constant movement of humans has been neglected. As a result, immobility between continents was taken for granted by society, and the overall human and non-human mobility was interpreted as ominous and negative. Also, the establishment of borders and adherence to ethnocentrism and the nation-state stems from political and power relationships that incite migration with instability. Therefore, gender, race, ethnicity, and nationality work unevenly. However, humans and non-humans have a longer history of migration than imagined, and it is a natural cycle. It is rather a sign of hope to decide to move in a situation of deprivation when being ousted from one’s home. Many species die due to climate change, but finding shelter even after suffering a displacement demonstrates the capacity to move.
      Unlike enclaves, which alienate adjacent regions or are alienated from ones, “Refúgĭa,” refers to regions where elements of modern flora and fauna might have survived glacial periods with greatly reduced numbers and distributions.
      Even now, “Refúgĭa” continues to occur in many places, including Kruger National Park. In the background of losing domicile and increasing refugeeism worldwide, the move to Refúgĭa should not just mean places, but should lead to the act of creating controversial places across major connections between multiple “sharing” experi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역사적 장소의 생태적 전회
      • II. 구성된 (인간 비인간) 타자의 난민화
      • III. 레푸기아와 인클레이브
      • IV. 논쟁적인 장소의 활성화를 위하여
      • 인용문헌
      • I. 들어가며: 역사적 장소의 생태적 전회
      • II. 구성된 (인간 비인간) 타자의 난민화
      • III. 레푸기아와 인클레이브
      • IV. 논쟁적인 장소의 활성화를 위하여
      • 인용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