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선영 초기 시의 피부 감각 = The Sense of Skin in Kim Seon-yeong’s Early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1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김선영 시인은 60년대의 선구적인 여성 시 동인 〈청미〉의 창립동인이며,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60년대는 한국문학 전반의 질적 성숙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전 시기 여성 시의 성취를 딛고 보다 다양하고 개성 있는 여성 시인들의 목소리가 개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글은 김선영 시인의 1960~1970년대 시를 통해 이성 중심, 자아 중심의 남성적 언어와 사고를 넘어선 새로운 주체의 모습을 살피고, 나아가 ‘여성적 글쓰기’의 한 단초를 잡고자 한다.
      김선영 초기 시의 주체는 이성적 언어의 주인이 아니라 ‘벌거벗은 피부’ 그 자체이다. 이 피부의 주체는 대상을 판단하고 정의하기에 앞서 그것을 피부로 경험하고 받아들인다. 주체의 개체성과 타자의 세계로 열린 무한한 공간의 경계에 위치한 피부는 주체성과 타자성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장 직접적인 장소이다. 피부 감각이 전경화 된 김선영의 초기 시는 주체와 세계가 만나 상호 공명하는 현장을 담고 있다. 피부의 경험은 주체와 대상이라는 개별적 구별을 지워버리고 그 둘의 공존 위에 새로운 ‘익명적 실존’의 지평을 열어준다. 김선영 시에서 피부 감각을 통해 타자와 관계하고, 그로 인해 개별성을 벗어나는 주체의 모습은 ‘물’ 또는 ‘흙’의 상징을 입고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물과 흙의 상징은 운동성과 순환성의 의미를 동원하며 김선영 초기 시의 존재론을 요약해낸다.
      이처럼 피부 감각으로 열리는 존재의 새 지평은 거추장스러운 이성의 장막을 걷어내고 우리의 감각적 실존 그 자체를 관찰할 것을 요구한다. 이 관찰 속에서 우리는 뿌리 깊은 이성적 언어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얻게 될 것이다. 김선영의 초기 시가 대표하는 피부감각 위에 성립하는 주체성의 모습은 새로운 글쓰기를 가능케 하는 글쓰기 주체의 자리를 가리켜 보이고 있다.
      번역하기

      김선영 시인은 60년대의 선구적인 여성 시 동인 〈청미〉의 창립동인이며,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60년대는 한국문학 전반의 질적 성숙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지만, 무엇...

      김선영 시인은 60년대의 선구적인 여성 시 동인 〈청미〉의 창립동인이며,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60년대는 한국문학 전반의 질적 성숙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전 시기 여성 시의 성취를 딛고 보다 다양하고 개성 있는 여성 시인들의 목소리가 개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글은 김선영 시인의 1960~1970년대 시를 통해 이성 중심, 자아 중심의 남성적 언어와 사고를 넘어선 새로운 주체의 모습을 살피고, 나아가 ‘여성적 글쓰기’의 한 단초를 잡고자 한다.
      김선영 초기 시의 주체는 이성적 언어의 주인이 아니라 ‘벌거벗은 피부’ 그 자체이다. 이 피부의 주체는 대상을 판단하고 정의하기에 앞서 그것을 피부로 경험하고 받아들인다. 주체의 개체성과 타자의 세계로 열린 무한한 공간의 경계에 위치한 피부는 주체성과 타자성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장 직접적인 장소이다. 피부 감각이 전경화 된 김선영의 초기 시는 주체와 세계가 만나 상호 공명하는 현장을 담고 있다. 피부의 경험은 주체와 대상이라는 개별적 구별을 지워버리고 그 둘의 공존 위에 새로운 ‘익명적 실존’의 지평을 열어준다. 김선영 시에서 피부 감각을 통해 타자와 관계하고, 그로 인해 개별성을 벗어나는 주체의 모습은 ‘물’ 또는 ‘흙’의 상징을 입고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물과 흙의 상징은 운동성과 순환성의 의미를 동원하며 김선영 초기 시의 존재론을 요약해낸다.
      이처럼 피부 감각으로 열리는 존재의 새 지평은 거추장스러운 이성의 장막을 걷어내고 우리의 감각적 실존 그 자체를 관찰할 것을 요구한다. 이 관찰 속에서 우리는 뿌리 깊은 이성적 언어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얻게 될 것이다. 김선영의 초기 시가 대표하는 피부감각 위에 성립하는 주체성의 모습은 새로운 글쓰기를 가능케 하는 글쓰기 주체의 자리를 가리켜 보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Kim Seon-yeong is the founding member of ‘Cheong-mi(靑眉)’, the pioneering women"s poetry group of the 1960s. The 60s was the period of qualitative maturity of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And it is also the period when the voices of the women poets of unique talent have risen from the accomplishment of previous women poems. This essay examines the new subject beyond the male-centered and self-centered language and thought, through her works of the 1960s-1970s. Through this, we will take a step further on "feminine writing".
      Kim Seon-yeong’s subject of early poems is not the master of rational language but "naked skin" itself. This subject experiences and accepts it through the skin before judging and defining the object. The skin is the most direct place for contact with subjectivity and otherness. Kim"s early poems have a scene where the subject and the world meet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The experience of skin erases the individual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opens the horizon of new "anonymous existence" above the coexistence of the two. In her early works, the subject who is related to the other through the skin sensation, and thus deviates from the individuality, often appears as a symbol of "water" or "earth". The symbols of water and earth mobilize the meaning of movement and cyclicity and summarize the ontology of Kim"s poems.
      This new horizon of being awaken by skin sensation requires that we observe our sensual existence itself. In this observation we will get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limits of ‘rational’ language. The aspect of subjectivity, established on the skin sense represented by Kim Seon-yeong"s early works show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of writing which enables new kind of writing.
      번역하기

      Kim Seon-yeong is the founding member of ‘Cheong-mi(靑眉)’, the pioneering women"s poetry group of the 1960s. The 60s was the period of qualitative maturity of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And it is also the period when the voices of the women ...

      Kim Seon-yeong is the founding member of ‘Cheong-mi(靑眉)’, the pioneering women"s poetry group of the 1960s. The 60s was the period of qualitative maturity of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And it is also the period when the voices of the women poets of unique talent have risen from the accomplishment of previous women poems. This essay examines the new subject beyond the male-centered and self-centered language and thought, through her works of the 1960s-1970s. Through this, we will take a step further on "feminine writing".
      Kim Seon-yeong’s subject of early poems is not the master of rational language but "naked skin" itself. This subject experiences and accepts it through the skin before judging and defining the object. The skin is the most direct place for contact with subjectivity and otherness. Kim"s early poems have a scene where the subject and the world meet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The experience of skin erases the individual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opens the horizon of new "anonymous existence" above the coexistence of the two. In her early works, the subject who is related to the other through the skin sensation, and thus deviates from the individuality, often appears as a symbol of "water" or "earth". The symbols of water and earth mobilize the meaning of movement and cyclicity and summarize the ontology of Kim"s poems.
      This new horizon of being awaken by skin sensation requires that we observe our sensual existence itself. In this observation we will get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limits of ‘rational’ language. The aspect of subjectivity, established on the skin sense represented by Kim Seon-yeong"s early works show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of writing which enables new kind of wri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노출된 신체, 진동하는 피부
      • 3. 얼굴 없는 몸, 상호주체성의 지평
      • 4. 타자를 향한 주체
      • 국문 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노출된 신체, 진동하는 피부
      • 3. 얼굴 없는 몸, 상호주체성의 지평
      • 4. 타자를 향한 주체
      • 5. 나가는 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영, "허무의 신발가게" 현대문학사 1972

      2 디디에 앙지외, "피부자아" 인간희극 1-432, 2008

      3 김선영, "풀꽃祭祀" 현대문학사 1976

      4 청미동인회, "청미 50년" 마을 1-413, 2014

      5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1-552, 2004

      6 서동욱, "익명의 밤" 민음사 189-228, 2008

      7 정지은, "세계와의 경계면으로서의 촉각: 자아형성과 관련해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4 (14): 67-86, 2012

      8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이학사 1-453, 2004

      9 박제천, "라일락 나무에 사시는 하느님" 문학세계사 131-138, 1983

      10 유재홍, "글쓰기 주체로서의 내면적 자아 연구*- 계몽주의에서 질 들뢰즈까지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1 : 371-398, 2007

      1 김선영, "허무의 신발가게" 현대문학사 1972

      2 디디에 앙지외, "피부자아" 인간희극 1-432, 2008

      3 김선영, "풀꽃祭祀" 현대문학사 1976

      4 청미동인회, "청미 50년" 마을 1-413, 2014

      5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1-552, 2004

      6 서동욱, "익명의 밤" 민음사 189-228, 2008

      7 정지은, "세계와의 경계면으로서의 촉각: 자아형성과 관련해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4 (14): 67-86, 2012

      8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이학사 1-453, 2004

      9 박제천, "라일락 나무에 사시는 하느님" 문학세계사 131-138, 1983

      10 유재홍, "글쓰기 주체로서의 내면적 자아 연구*- 계몽주의에서 질 들뢰즈까지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1 : 371-398, 2007

      11 김선영, "思歌" 문예사 1968

      12 김선영, "幻想의 문지기" 현대문학사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