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Competency for Oversea Mission of Laity in Korean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0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reality that the missionary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ctual missionary support are decreasing, and to propo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overseas mission capacity of the laymen to continue the Korean church to participate in missions. To do this, first, it is knowledge of mission. This is a basic knowledge of laity’s mission knowledge, a reason for their interest in laity’s mission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ission in church and the proportion of laity feelings, and a deep study of the mission knowledge of laity. Second, missio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bstract A Study on the Competency for Oversea Mission of Laity in Korean Church Ku, Seong Mo (Sungkyul University, Missiology) 구성모,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l 83 are the will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the trust of the church’s mission policy. Third, a survey on the future development for missions shows that there is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the church, the necessity of a mission agency in the church, and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agency for short-term missions.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mobile ph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25,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depth in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Second, there wa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missionaries and laity for missions. There is also a research project that laity have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s. ① It is clear that laity should be engaged in missions,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is different. Why? ② Laity need to see more accurately about the extent and depth of the mission. ③ When we look at the practice of lait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ought and practice. It is still necessary to study whether missions are expanding to Korean churches. ④ Why can’t we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ity on missions by region? ⑤ Missionaries need to share and activate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ey gain from the mission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figuring the network for this purpos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reality that the missionary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ctual missionary support are decreasing, and to propo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overseas mission capacity of t...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reality that the missionary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ctual missionary support are decreasing, and to propo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overseas mission capacity of the laymen to continue the Korean church to participate in missions. To do this, first, it is knowledge of mission. This is a basic knowledge of laity’s mission knowledge, a reason for their interest in laity’s mission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ission in church and the proportion of laity feelings, and a deep study of the mission knowledge of laity. Second, missio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bstract A Study on the Competency for Oversea Mission of Laity in Korean Church Ku, Seong Mo (Sungkyul University, Missiology) 구성모,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l 83 are the will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the trust of the church’s mission policy. Third, a survey on the future development for missions shows that there is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the church, the necessity of a mission agency in the church, and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agency for short-term missions.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mobile ph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25,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depth in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Second, there wa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missionaries and laity for missions. There is also a research project that laity have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s. ① It is clear that laity should be engaged in missions,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is different. Why? ② Laity need to see more accurately about the extent and depth of the mission. ③ When we look at the practice of lait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ought and practice. It is still necessary to study whether missions are expanding to Korean churches. ④ Why can’t we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ity on missions by region? ⑤ Missionaries need to share and activate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ey gain from the mission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figuring the network for this purp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교회의 선교사 자원과 실제 선교사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선교에 계속적으로참여하도록 평신도를 대상으로 해외 선교 역량을 조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교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평신도들의 선교 지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정도,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선교가 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성도들이 직접 느끼는 비중의 차이, 성도들이 가지고 있는 선교에대한 지식의 깊이 조사이다. 둘째로 선교 동원 및 동참이다. 이는소속 교회의 상황 분석 평신도들의 선교 참여에 대한 의지, 교회의선교 정책에 대한 신뢰 등이다. 셋째로 선교를 위한 미래적 발전에대하여 설문조사다. 이는 출석하는 교회의 선교 기관 설립에 대한『복음과 선교』제46집 43-84 http://dx.doi.org/10.20326/KEMS.46.2.43 한국 교회 평신도의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구성모(성결대학교, 선교학) 44 l 복음과 선교 제46집교회의 계획 유무, 교회내 선교 담당 기관의 필요성, 단기 선교의기획 및 준비 기관 등이다. 설문 방법은 모바일 폰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 17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이해도는 부분적으로만 인지하고깊이가 부족하였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선교사와 평신도 간에 소통이 부족하였다. 또한 평신도들이 선교의 발전을 위하여 풀어야할 연구 과제도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① 평신도들은 선교를 해야한다는 점은 분명히 알지만 실제적으로 동참하는 비율이 다르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② 평신도들이 실제적으로 선교에 대한 범위와 깊이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③ 평신도들이 선교를 실천하는 것을 보면, 생각과 차이가 생긴다. 이는 아직 선교가 한국 교회에 저변화 되고 있는가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④ 지역별로 선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⑤ 선교사들이 선교 현장에서 얻는 지식, 정보, 및 전략들을 공유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 교회의 선교사 자원과 실제 선교사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선교에 계속적으로참여하도록 평신도를 대상으로 해외 선교 역량을 조사하여 지...

      본고는 한국 교회의 선교사 자원과 실제 선교사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선교에 계속적으로참여하도록 평신도를 대상으로 해외 선교 역량을 조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교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평신도들의 선교 지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정도,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선교가 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성도들이 직접 느끼는 비중의 차이, 성도들이 가지고 있는 선교에대한 지식의 깊이 조사이다. 둘째로 선교 동원 및 동참이다. 이는소속 교회의 상황 분석 평신도들의 선교 참여에 대한 의지, 교회의선교 정책에 대한 신뢰 등이다. 셋째로 선교를 위한 미래적 발전에대하여 설문조사다. 이는 출석하는 교회의 선교 기관 설립에 대한『복음과 선교』제46집 43-84 http://dx.doi.org/10.20326/KEMS.46.2.43 한국 교회 평신도의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구성모(성결대학교, 선교학) 44 l 복음과 선교 제46집교회의 계획 유무, 교회내 선교 담당 기관의 필요성, 단기 선교의기획 및 준비 기관 등이다. 설문 방법은 모바일 폰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 17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이해도는 부분적으로만 인지하고깊이가 부족하였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선교사와 평신도 간에 소통이 부족하였다. 또한 평신도들이 선교의 발전을 위하여 풀어야할 연구 과제도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① 평신도들은 선교를 해야한다는 점은 분명히 알지만 실제적으로 동참하는 비율이 다르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② 평신도들이 실제적으로 선교에 대한 범위와 깊이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③ 평신도들이 선교를 실천하는 것을 보면, 생각과 차이가 생긴다. 이는 아직 선교가 한국 교회에 저변화 되고 있는가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④ 지역별로 선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⑤ 선교사들이 선교 현장에서 얻는 지식, 정보, 및 전략들을 공유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용근, "한소망교회 특강: 감사특밤, 2018년 11월 6일"

      2 김정한, "한국선교의 반성과 혁신" 예영B&P 2015

      3 장훈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역사와 미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45 (45): 81-120, 2019

      4 이성구,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18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URD 2018

      5 정경호, "한국교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선교적 교회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3 (33): 173-211, 2016

      6 엄재환, "한국교회내의 평신도 사역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의식구조 연구 : 총신, 합신, 장신, 칼빈 신학대학원 학생들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0

      7 이상덕, "지역교회에서 파송 선교사의 사역에 대한 인식 연구 : 서울 성진교회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0

      8 심명선, "지역교회 교인들의 선교사역 인식도가 선교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1

      9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제9회 한국선교지도자포럼 자료집"

      10 최원진, "세계선교 현황과 한국교회의 선교를 위한 전략적 제안"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0 (30): 229-268, 2015

      1 지용근, "한소망교회 특강: 감사특밤, 2018년 11월 6일"

      2 김정한, "한국선교의 반성과 혁신" 예영B&P 2015

      3 장훈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역사와 미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45 (45): 81-120, 2019

      4 이성구,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18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URD 2018

      5 정경호, "한국교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선교적 교회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3 (33): 173-211, 2016

      6 엄재환, "한국교회내의 평신도 사역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의식구조 연구 : 총신, 합신, 장신, 칼빈 신학대학원 학생들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0

      7 이상덕, "지역교회에서 파송 선교사의 사역에 대한 인식 연구 : 서울 성진교회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0

      8 심명선, "지역교회 교인들의 선교사역 인식도가 선교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1

      9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제9회 한국선교지도자포럼 자료집"

      10 최원진, "세계선교 현황과 한국교회의 선교를 위한 전략적 제안"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0 (30): 229-268, 2015

      11 김기호, "성도들의 선교의식 조사와 선교 동원 방안 : 지동교회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3

      12 신경림, "선교한국 긴급 점검" 홍성사 2017

      13 먼로 브로흐, "교회에서의 선교사 훈련" 5 : 49-51, 1994

      14 곽선희, "교회 성장과 선교" 1 : 33-47, 1985

      15 조명순, "「한국선교 KMQ」 69(2019-1)"

      16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17 한국세계선교협의회, "NCOWE VII 포스터"

      18 한국세계선교협의회, "NCOWE VI 자료집"

      19 한국세계선교협의회, "NCOWE IV 자료집"

      20 홍문수, "Mobilization of the Local Church for World Mission: Missions Program at Shin Banpo Presbyterian Church"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1999

      21 Kim, Seong Hwan, "Missionaries who loved Korea" Ro-dem Book 2015

      22 황영국, "GBF’라는 선교동원 사역을 통한 지역 교회의 선교 활성화:수원형제침례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7

      23 한국세계선교협의회, "2013-2016 한국선교 백서" 서울 한국세계선교협의회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1 0.44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