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상표군간의 집단유인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Group Attraction Effect among Consideration S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8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케팅 분야에서 선택확률의 연구는 중요한 이슈이며, 현재도 사용되는 소비자 선택모델의 보편적인 가정은 신규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할 때 기존브랜드의 선택확률은 감소하거나 최소한 ...

      마케팅 분야에서 선택확률의 연구는 중요한 이슈이며, 현재도 사용되는 소비자 선택모델의 보편적인 가정은 신규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할 때 기존브랜드의 선택확률은 감소하거나 최소한 증가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연구결과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이러한 가정과 달리 신규브랜드가 진입할 경우에도 기존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증대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인효과의 현실적용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체시장을 복수의 고려상 표군으로 구성된 집합체라고 가정하고 개별 브랜드 2개를 기준으로 연구되었던 유인효과의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시장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수의 브랜드를 고려상표군으로 묶어, 선행연구에서 개별브랜드 간에 유인효과가 발생했던 것과 동일하게 고려상표군 간에도 집단적인 유인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체시장이 몇 개의 고려상표군으로 이루어진다는 가정을 통해, 2개 브랜드를 기준으로 연구된 유인효과가 현실적인 소비자의 구매상황인 다수 브랜드로 구성된 전체시장에서 고려상표군이 형성되고 형성된 고려상표군 간에서도 발생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며 둘째, 개별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고려 상표군 간에도 제품군에 따라 관여도와 친숙도, 정당화에 따른 유인효과의 발생강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장 시사점 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Huber et al.(1982) 이후 지속적으로 확인되어 온 유인효과의 존재를 고려상표군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유인효과의 연구결과를 실제 시장에 적용함에 있어 “제품이 수십 개가 있는 경우에 어떻게 유인효과를 적용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즉 다수의 브랜드를 몇 개의 고려상표군으로 군집화 하여 신규 브랜드 진입 에 따른 소비자의 선호변화와 선택확률 변화를 현실적인 시장상황 하에서도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umer`s choice model and how the introduction of a new brand into a market will be influenced in market share are Important topic of Marketing. Most of consumer choice model is to assume that a new brand will take share from others original sha...

      The consumer`s choice model and how the introduction of a new brand into a market will be influenced in market share are Important topic of Marketing. Most of consumer choice model is to assume that a new brand will take share from others original share. This assumption is incorporated in the Luce(1959) model of consumer choice. However certain types of new brand entry has the ability to induce violation of some basic assumption in choice model, such as the regularity assumption that an inferior new entry should not increase share of an existing brand. The phenomenon that new entry brand increase the original exist brand`s market share which called “attraction effect” (Huber et al., 1982; Huber and Puto, 1983; Simonson, 1989 Lehmann and Pan, 1994) Attraction effect has been studied for 30 years, but till now there are lots of researchers who have suspiciousness about the existence of it (Luce et al.,1998) that`s why the attraction effect was investigated by too simple experimental method and attributes and alternatives. Recently, trying to overcome criticism which is lacking in a practical adaptation, new movement of studying starts among the attraction effect researchers. For example, most of prior studies typically assumed that the market only has 3 alternatives (Target, Competitor, Decoy) and consist of only 2 attributes (e.g., price & durability) but nowadays many researchers increase the number of attributes, alternatives and other limitations in their study to make the condition more realistic. Following new study trend, this research borrowed the concept “consideration set” which came from consumer purchasing process like purchase funnel and tested with multi-alternatives those had been grouped to 3 consideration sets (Target set, Competitor set, Decoy set) which contains 2 ~3 alternatives,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existence of group Attraction/Compromise effect among Consideration Sets and checking the results are supporting previous study (Huber et al., 1982, Huber and Puto, 1983). We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group attraction / compromised effect, 4 experiments (within test) are involving a total of 131 subjects and 4 products provide credible empirical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effects. The result show that entering decoy set makes group attraction and compromised effect and the group attraction effect is stronger than compromised effect in terms of the changing of target set`s preference and share but familiarity and involvement have not impacted on attarction and compromise effect. Finally, “Justifi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group attraction effect but in case of compromise effect wasn`t supported. Of cours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nd employed students in a paper-and-pencil task. In spite of the limitation, this study seems to provide evidence of existence of group attraction / compromised effect and support previous studies. Apparently,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rroborate and refine the concept of group attraction effect and conclus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