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변화가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overnance Change on the Wealth of Stockhol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88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등급의 변화가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을 사건 연구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연구를 통한 분석결과 지배구조 등급변경의 공시 사건일(event window)에 측정한 누적평균초과수익률(CAAR)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배구조등급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시장참여자들에게 해당기업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기업지배구조 등급의 변경을 상향조정과 하향조정으로 구분하여 CAAR을 검증한 결과, 등급의 하향조정시 CAAR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값이 나타났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의 등급 변화가 취약등급에서 보통이상의 등급으로 상향조정된 경우 CAAR 값은 양(+)의 값이 나타났고, 보통 이상의 등급에서 취약등급으로 하향 조정된 경우에는 CAAR 값들은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음(-)의 값이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기업지배구조의 변화가 시장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지배구조등급의 개선이 주주의 부를 높이고 지배구조등급의 악화가 주주의 부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넷째, 기업특성을 통제한 후 지배구조 등급의 변화와 초과수익률(CAR)간의 관계를 살펴본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전체 표본을 이용하였을 때 등급의 상향 변경이 초과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시장참여자들이 지배구조등급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이 나타났다. 또한 지배구조등급이 취약등급에서 보통이상의 등급으로 상향조정되는 경우 CAR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수 값 또한 다른 등급의 조정변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등급을 기준으로 이루어진 지배구조등급의 상하향이 시장에서 더 큰 정보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이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등급의 변화가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을 사건 연구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이 논문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등급의 변화가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을 사건 연구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연구를 통한 분석결과 지배구조 등급변경의 공시 사건일(event window)에 측정한 누적평균초과수익률(CAAR)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배구조등급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시장참여자들에게 해당기업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기업지배구조 등급의 변경을 상향조정과 하향조정으로 구분하여 CAAR을 검증한 결과, 등급의 하향조정시 CAAR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값이 나타났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의 등급 변화가 취약등급에서 보통이상의 등급으로 상향조정된 경우 CAAR 값은 양(+)의 값이 나타났고, 보통 이상의 등급에서 취약등급으로 하향 조정된 경우에는 CAAR 값들은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음(-)의 값이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기업지배구조의 변화가 시장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지배구조등급의 개선이 주주의 부를 높이고 지배구조등급의 악화가 주주의 부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넷째, 기업특성을 통제한 후 지배구조 등급의 변화와 초과수익률(CAR)간의 관계를 살펴본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전체 표본을 이용하였을 때 등급의 상향 변경이 초과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시장참여자들이 지배구조등급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이 나타났다. 또한 지배구조등급이 취약등급에서 보통이상의 등급으로 상향조정되는 경우 CAR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수 값 또한 다른 등급의 조정변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등급을 기준으로 이루어진 지배구조등급의 상하향이 시장에서 더 큰 정보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이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the rating group of the company's governance index on the wealth of stockholders.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nouncement effect of governance index group changes which is measured by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o stockholders of rating group-changed company.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test indicates that on average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AR) is significantly negative in various event window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announcement of governance rating group changes plays as an additional risk factor to stockholders, resulting in a lower return. However, changes in corporate governance ratings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whether the rating change is upgrade on not. While the downgrade of governance rating results in a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to the stockholders, the CAAR is positive when there is an upgrade of governance rating. Further more, if the governance rating falls to the weakest group,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is significantly negative. On the other hand, the upgrade from the weakest group results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AR to the stockholders. Finally, after controlling the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our previous resul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that the good governance practice increases the value of firm.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the rating group of the company's governance index on the wealth of stockholders.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nouncement effect of governance index group changes which is measured by the...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the rating group of the company's governance index on the wealth of stockholders.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nouncement effect of governance index group changes which is measured by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o stockholders of rating group-changed company.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test indicates that on average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AR) is significantly negative in various event window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announcement of governance rating group changes plays as an additional risk factor to stockholders, resulting in a lower return. However, changes in corporate governance ratings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whether the rating change is upgrade on not. While the downgrade of governance rating results in a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to the stockholders, the CAAR is positive when there is an upgrade of governance rating. Further more, if the governance rating falls to the weakest group,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is significantly negative. On the other hand, the upgrade from the weakest group results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AR to the stockholders. Finally, after controlling the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our previous resul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that the good governance practice increases the value of fi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표본과 연구방법론
      • Ⅳ. 실증분석의 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표본과 연구방법론
      • Ⅳ. 실증분석의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진, "한국의 기업지배구조와 주식의 초과 수익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2 황선웅, "주식가치와 기업지배구조간의 상호관련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재무관리학회 13 (13): 19-46, 2007

      3 박경서, "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는 비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와 얼마나 다른가? : 한국 상장기업의 소유구조, 자본구조 및 기업가치에 관한 실증연구" 14 (14): 89-130, 2001

      4 신현한, "외부감시주체와 기업가치" 한국재무학회 17 (17): 41-72, 2004

      5 박경서, "외국인투자자가 한국기업의 경영 및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금융연구원 20 (20): 73-114, 2006

      6 박기성, "소유구조와 기업의 회계적 성과 및 Tobin's Q의 관계에 관한 연구" 297-325, 2002

      7 강철규, "대규모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와 기업성과간의 관계: 민영화된 공기업집단과 재벌기업집단간의 비교"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1011-1040, 2008

      8 박광우,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34 (34): 149-188, 2005

      9 윤봉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한국상장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증권학회 34 (34): 227-263, 2005

      10 박영석,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투자 효율성과 대리인 비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6 (36): 1233-1232, 2007

      1 정혜진, "한국의 기업지배구조와 주식의 초과 수익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2 황선웅, "주식가치와 기업지배구조간의 상호관련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재무관리학회 13 (13): 19-46, 2007

      3 박경서, "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는 비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와 얼마나 다른가? : 한국 상장기업의 소유구조, 자본구조 및 기업가치에 관한 실증연구" 14 (14): 89-130, 2001

      4 신현한, "외부감시주체와 기업가치" 한국재무학회 17 (17): 41-72, 2004

      5 박경서, "외국인투자자가 한국기업의 경영 및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금융연구원 20 (20): 73-114, 2006

      6 박기성, "소유구조와 기업의 회계적 성과 및 Tobin's Q의 관계에 관한 연구" 297-325, 2002

      7 강철규, "대규모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와 기업성과간의 관계: 민영화된 공기업집단과 재벌기업집단간의 비교"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1011-1040, 2008

      8 박광우,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34 (34): 149-188, 2005

      9 윤봉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한국상장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증권학회 34 (34): 227-263, 2005

      10 박영석,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투자 효율성과 대리인 비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6 (36): 1233-1232, 2007

      11 김우찬, "기업지배구조개선은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가?" 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 2003

      12 박경서,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반기업과 금융기관 간 비교 연구"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28-154, 2004

      13 신현열, "기업의 소유지배구조와 경영성과간의 관계" 한국은행 2006

      14 박경서, "기업의 소유지배구조가 주식투자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3

      15 김우택, "기업가치와 소유경영구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6 : 55-75, 1993

      16 Durnev, A., "To Steal or Not to Steal : Firm Attributes, Legal Environment and Valuation" 60 (60): 1461-1494, 2005

      17 Jensen, M., "Theory of the Firm: Managerial Behavior,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3 : 305-360, 1976

      18 Demsetz, H., "The Structure of Ownership and the Theory of the Firm" 26 : 375-390, 1983

      19 Demsetz, H., "The Structure of Corporate Ownership : Causes and Consequences" 93 : 1155-1177, 1985

      20 Black. Bernard S., "The Corporate Governance Behavior and Market Value of Russian Firms" 2 : 89-108, 2001

      21 Pound, P., "Proxy Contests and the Efficiency of Shareholder Oversight" 20 : 237-265, 1988

      22 Jung, "Ownership Structure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Evidence from Korea" KAIST 2001

      23 Stulz, Rene M., "Managerial control of voting rights: Financing policies and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26 (26): 3-27, 1988

      24 Morck, R., "Management Ownership andMarket Valuation: An Empirical Analysis" 20 : 293-315, 1998

      25 La Porta, R., "Legal Determinants of External Finance" 52 : 1131-1149, 1997

      26 La Porta, R., "Investor protection and corporate valuation" 57 (57): 1147-1170, 2002

      27 Black. B., "How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Firm Value: Evidence on Channels from Korea" ECGI 2008

      28 Bauer, R., "Empirical Evidence on Corporate Governance in Europe, The Effect on Stock Returns, Firm Value and Performance" University of Maastricht 2004

      29 Sanjeev Bhojraj,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Bond Ratings and Yields: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Outside Directors" 76 (76): 455-476, 2003

      30 Black B., "Does Corporate Governance Predict Firm's Market Values? Evidence from Korea" 22 : 366-413, 2006

      31 Black. Bernard S., "Does Corporate Governance Matter? A Crude Test using Russian Data" 149 : 1231-2150, 2001

      32 Lynda W. Zhou, "Do Investors Really Value Corporate Governance? Evidence from Hong Kong Market" 2005

      33 Klapper, L., "Corporate Governance, Investor Protection and Performance in Emerging markets" 195-, 2003

      34 Ashbaugh, H.,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University of Wisconsin 2004

      35 Brown, Lawrence D.,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Performance" Georgia State University 2005

      36 Drobetz, W., "Corporate Governance and Expected Stock Return: Evidence from Germany" 10 : 267-293, 2004

      37 Gompers, P., "Corporate Governance and Equity Price" 118 : 107-156, 2003

      38 James S. Ang.,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55 : 81-106, 2000

      39 Fama, E. F., "Agency Problems and the Theory of the Firm" 88 : 288-307, 1980

      40 Fama, E. F., "Agency Problems and Residual Claims" 26 (26): 327-349, 1983

      41 Jensen, M., "Agency Costs of Free Cash Flow, Corporate Finance and Take-over" 76 : 323-329, 1986

      42 Shleifer, A., "A survey of corporate governance" 52 : 737-783, 1997

      43 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02~2006), 기업지배구조지구(CG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