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화 대화상에서 나타난 ‘맞장구’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화 대화상에 화자가 발화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03647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5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화 대화상에서 나타난 ‘맞장구’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화 대화상에 화자가 발화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인 ...
본고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화 대화상에서 나타난 ‘맞장구’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화 대화상에 화자가 발화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인 청자가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전화상에서 화자가 발화하는 진행 상태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맞장구’를 사용하여 화자의 대화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에 베트남 학습자는 화자가 발화하는 진행 상태에서 ‘맞장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베트남의 전화예절에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본고는 실제로 전화 대화상에서 나타난 베트남 학습자와 한국 모어 화자 간에 ‘맞장구’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같은 아시아권에 속하는 한국과 베트남이지만 ‘맞장구’라는 전화예절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에게 한국사회의 ‘맞장구’라는 전화예절의 특징을 이해하고 익숙해져야 할 부분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use of ‘sympathetic responses’ on the phone by Vietnamese learner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o determine how listeners responded to the speaker on the phone. When the other person was speaking on the phone, th...
This study researched the use of ‘sympathetic responses’ on the phone by Vietnamese learner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o determine how listeners responded to the speaker on the phone. When the other person was speaking on the phone, the Korean native speaker responded at appropriate timing, focusing on the speaker's conversation. However, Vietnamese learner did not respond at appropriate time. Such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telephone manners. Thus, this study determined the use of sympathetic responses by Vietnam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telephone conversations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s perception of telephone manners and sympathetic responses was different between Korea and Vietnam. Therefore, Vietnam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hould understand and be accustomed to telephone manners using sympathetic responses in the Korean society.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심, "예절과 언어행위(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76-77 : 1-23, 1997
2 허철구, "언어예절" 국립국어연구원 (1) : 81-104, 1998
3 허철구, "언어예절"
4 이점숙, "문화와 언어 차이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점" 카톨릭상지전문대학 27 (27): 119-139, 1997
5 황지성,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한국음향학회 31 (31): 63-72, 2012
1 남기심, "예절과 언어행위(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76-77 : 1-23, 1997
2 허철구, "언어예절" 국립국어연구원 (1) : 81-104, 1998
3 허철구, "언어예절"
4 이점숙, "문화와 언어 차이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점" 카톨릭상지전문대학 27 (27): 119-139, 1997
5 황지성,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한국음향학회 31 (31): 63-72, 2012
경남대학교 <독서와 토론>과 ‘글쓰기’의 통합 검토 및 제안
중등 교원 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 연구 - 2014년~2018년의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ㄴ/ 첨가의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해외 한글학교 당면 과제 및 발전 방향 -프랑스 지역 한글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