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교원 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 연구 - 2014년~2018년의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 Grammar ques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 2014~2018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중등 교원 임용 시험이 객관식 문항을 지양하기 시작한 이후,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으로 문항 형식을 변경한 2014년도부터 2018년도 현재까지 츨제된 중등 교원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법 문항영역의 하위 영역을 기존의 방식보다 좀 더 세분화하여 그동안 출제된 문법 문항의 하위영역별 분포를 전반적으로 재정리하고 현대 이전 국어 문법을 다룬 문항과 현대 국어문법을 다룬 문항이 출제 문항의 분포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 양상과 그 배경을 살펴본다. 또 최근 바뀐 제도 하 문법 문항의 내용과 형식을 중심으로, 문항에서 묻고 있는 문법 관련 지식의 종류, 범위를 검토하고 문항을 수업 상황의 도입 여부, 텍스트 자료의 포함 양상, 작성 방법 및 조건의 유형 등에 주목해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중등임용 고시 문법 영역 출제 문항의 궁극적인 지향점을 생각하는 데 기초적 자료 제공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중등 교원 임용 시험이 객관식 문항을 지양하기 시작한 이후,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으로 문항 형식을 변경한 2014년도부터 2018년도 현재까지 츨제된 중등 교원임용 시험 문법 영...

      본고에서는 중등 교원 임용 시험이 객관식 문항을 지양하기 시작한 이후,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으로 문항 형식을 변경한 2014년도부터 2018년도 현재까지 츨제된 중등 교원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법 문항영역의 하위 영역을 기존의 방식보다 좀 더 세분화하여 그동안 출제된 문법 문항의 하위영역별 분포를 전반적으로 재정리하고 현대 이전 국어 문법을 다룬 문항과 현대 국어문법을 다룬 문항이 출제 문항의 분포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 양상과 그 배경을 살펴본다. 또 최근 바뀐 제도 하 문법 문항의 내용과 형식을 중심으로, 문항에서 묻고 있는 문법 관련 지식의 종류, 범위를 검토하고 문항을 수업 상황의 도입 여부, 텍스트 자료의 포함 양상, 작성 방법 및 조건의 유형 등에 주목해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중등임용 고시 문법 영역 출제 문항의 궁극적인 지향점을 생각하는 데 기초적 자료 제공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grammar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had changed their format, contents, and distribution since 2014 when its multiple-choice question format was stopped to achieve its evaluation goal. In this study, the grammar domain was subdivided for the test to examine how grammar questions of each domain had been distributed in tests.
      This study laid out what kind of grammar contents had been selected and how they had been arranged in the test. What kind of the format every grammar question had been taken to realize its evaluation goal in terms of text types and writing guidelines included for appropriate answer for each question was also determined. The outcome of this analysis will contribute to upcoming maintena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how grammar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had changed their format, contents, and distribution since 2014 when its multiple-choice question format was stopped to achieve its evaluation goal. In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how grammar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had changed their format, contents, and distribution since 2014 when its multiple-choice question format was stopped to achieve its evaluation goal. In this study, the grammar domain was subdivided for the test to examine how grammar questions of each domain had been distributed in tests.
      This study laid out what kind of grammar contents had been selected and how they had been arranged in the test. What kind of the format every grammar question had been taken to realize its evaluation goal in terms of text types and writing guidelines included for appropriate answer for each question was also determined. The outcome of this analysis will contribute to upcoming maintena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tes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동, "한국 근현대사 과목의 문항 난이도 특성 분석 - 전국 연합학력평가(10월) 채점 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9) : 29-56, 2011

      2 이도영, "초등학교 국어과 임용후보자 경쟁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52 (52): 27-46, 2017

      3 이남호, "중등교사 임용시험 국어 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19) : 187-227, 2006

      4 이상일, "중등 국어과 교원 임용시험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64 : 2017

      5 임지룡, "문법교육론" 역락 2010

      6 이은희, "문법 평가의 현황과 과제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1-29, 2011

      7 구본관,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7) : 185-218, 2010

      8 유영복, "국어과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문항 연구 : 1997학년도부터 2013학년도 문법 문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최미숙,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검토와 방향 -새로운 임용시험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1) : 35-67, 2008

      10 박정은, "국어과 교사 선발 문항과 학생 선발 문항 연구 : 문법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1 박진동, "한국 근현대사 과목의 문항 난이도 특성 분석 - 전국 연합학력평가(10월) 채점 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9) : 29-56, 2011

      2 이도영, "초등학교 국어과 임용후보자 경쟁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52 (52): 27-46, 2017

      3 이남호, "중등교사 임용시험 국어 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19) : 187-227, 2006

      4 이상일, "중등 국어과 교원 임용시험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64 : 2017

      5 임지룡, "문법교육론" 역락 2010

      6 이은희, "문법 평가의 현황과 과제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1-29, 2011

      7 구본관,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7) : 185-218, 2010

      8 유영복, "국어과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문항 연구 : 1997학년도부터 2013학년도 문법 문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최미숙,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검토와 방향 -새로운 임용시험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1) : 35-67, 2008

      10 박정은, "국어과 교사 선발 문항과 학생 선발 문항 연구 : 문법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11 윤여탁, "국어 교사 임용 시험의 실태와 비판 : 중등학교 임용 시험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2 : 135-153, 2000

      12 강이철, "Vygotsky의 중재전략을 반영한 수업사상별 비계활용 방안" 한국교육공학회 20 (20): 19-49, 2004

      13 Gess-Newsome, Julie,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17, 2010

      14 Stubbs Micheal, "Dicourse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7,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