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급격한 변화에 발맞춰 교육 또한 바뀌어야 한다고 이야기된다. 경남대학교도 K-CESA의 평가에 주목하여 의사소통 영역의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특히 쓰기와 말하기 능력이 미흡한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03646
2018
Korean
독서 ; 토론 ; 글쓰기 ; 말하기 ; 의사소통교육 ; 통합 교과목 ; reading ; discussion ; writing ; speaking ; communication education ; integrated curriculum
KCI등재
학술저널
9-37(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업의 급격한 변화에 발맞춰 교육 또한 바뀌어야 한다고 이야기된다. 경남대학교도 K-CESA의 평가에 주목하여 의사소통 영역의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특히 쓰기와 말하기 능력이 미흡한 것...
산업의 급격한 변화에 발맞춰 교육 또한 바뀌어야 한다고 이야기된다. 경남대학교도 K-CESA의 평가에 주목하여 의사소통 영역의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특히 쓰기와 말하기 능력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나 본 연구자는 이것의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현재 경남대학교의 교양교육은 ‘읽기-말하기-듣기-쓰기의 통합된 의사소통영역교과목’을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4가지 역량을 모듈화하여 능력기반 교양기초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취지이다. 따라서 <독서와 토론> 교과목과 ‘쓰기’ 역량을 통합하는 방안을 점검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먼저 경남대학교 의사소통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살폈다. 이어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의사소통 교육의 9가지 필수 평가요소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 교수자의 특성, 교재의 구성과 수업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경남대학교의 통합교과 실현은 어려운 것으로 논의하였다. 경남대학교의 지역적 특성상 통합보다는 의사소통 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분화된 교수과정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과 교수방법에 대한 고민이 더 시급함을 주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mentioned that education should adapt to rapid changes of the industry. Kyungnam University is paying attention to evaluation of K-CESA and is consider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area.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write and speak was...
It has been mentioned that education should adapt to rapid changes of the industry. Kyungnam University is paying attention to evaluation of K-CESA and is consider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area.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write and speak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Kyungnam University. Countermeasures to this situation should be prepared. At present, the general education in Kyungnam University is pursuing the curriculum called 'Integrated Communication Area of Reading - Speaking - Listening - Writing'. The intention was to strengthen basic general education based on capability by modularizing four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ays to integrate 'reading and discussion' course and 'writing' competency.
First, historical trend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t Kyungnam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Next,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structure of the textbook, and teaching methods were examined using nine essential evaluation factor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Based on results obtained, it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realize the integrated curriculum at Kyungnam University.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is more urgent to adopt differentiated teaching process to enhance each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nsider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to integrate local characteristics of Kyungnam Univers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9-232, 2007
2 이희영, "표현주의와 인지주의 통섭적 글쓰기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3 박영기,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서 세미나와 글쓰기 연계 수업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 95-124, 2015
4 도정일, "실천 인문학의 한 방법-사고와 표현은 왜 중요한가"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5-11, 2007
5 이상원, "성인 대상 독서토론 강좌의 설계, 운영, 그리고 고려점-2014 서울시 시민대학 강좌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189-218, 2015
6 이내관, "배재대학교 교양 글쓰기 과목의 운영 체계와 발전방안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47-676, 2017
7 이은주, "독서토론과 연계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효과 -덕성여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6) : 501-516, 2011
8 조아라,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확대 개편에 따른 운영 및 효율화 방안 - 동국대 경주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43-71, 2016
9 송주현, "대학글쓰기에 대한 반성과 발전적 수업을 위한 제언-‘독서·과정중심·국어국문학 전공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65-293, 2016
10 김화선,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1 (1): 93-114, 2016
1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9-232, 2007
2 이희영, "표현주의와 인지주의 통섭적 글쓰기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3 박영기,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서 세미나와 글쓰기 연계 수업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 95-124, 2015
4 도정일, "실천 인문학의 한 방법-사고와 표현은 왜 중요한가"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5-11, 2007
5 이상원, "성인 대상 독서토론 강좌의 설계, 운영, 그리고 고려점-2014 서울시 시민대학 강좌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189-218, 2015
6 이내관, "배재대학교 교양 글쓰기 과목의 운영 체계와 발전방안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47-676, 2017
7 이은주, "독서토론과 연계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효과 -덕성여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6) : 501-516, 2011
8 조아라,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확대 개편에 따른 운영 및 효율화 방안 - 동국대 경주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43-71, 2016
9 송주현, "대학글쓰기에 대한 반성과 발전적 수업을 위한 제언-‘독서·과정중심·국어국문학 전공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65-293, 2016
10 김화선,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1 (1): 93-114, 2016
11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12 구자황,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어문연구학회 53 : 279-298, 2007
13 신희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문학독서토론> 수업 사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6, 2012
14 경남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독서와 토론 교재편찬위원회, "교양인의 독서카페" 경남대학교출판부 2017
15 홍성기, "교양교육 평가방안 연구 - 교양교육내용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
16 박길희, "<독서와 표현> 영역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 순천대학교 <독서와 표현>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99-734, 2017
전화 대화상의 ‘맞장구’ 사용 양상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
중등 교원 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 연구 - 2014년~2018년의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ㄴ/ 첨가의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해외 한글학교 당면 과제 및 발전 방향 -프랑스 지역 한글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