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전통식문화 팝업 매장 공간디자인 연구 : 감각요소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Traditional F&B Pop-up Store with Experience Marketing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El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시대에서 국가 간의 이동은 그 시작과 끝이 국제공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교통적 장소를 뛰어넘어 각국의 첫인상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콘텐...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시대에서 국가 간의 이동은 그 시작과 끝이 국제공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교통적 장소를 뛰어넘어 각국의 첫인상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콘텐츠를 거대한 산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문화(의.식.주)는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관심의 영역이다. 특히 식문화는 제일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2000년대 이후, 이미 많은 식음 서비스 매장에 차별화와 경쟁력을 위한 방법으로 체험마케팅 프로그램이 반영되고 있고 이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곳에 장소의 특수성을 살려, 문화적 차원에서의 흥미와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체험형마케팅의 전략적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우리의 문화를 알리며 새로운 기념품의 선택도 줄 수 있는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문화 콘텐츠 및 적용 프로그램 개발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체험마케팅 관점에서의 감각요소와 공간 특성을 도출하고, 전통식문화 공간 특성과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이를 모두 종합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도표를 활용하여 공간 유형을 분류하고 각 특성을 반영된 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 평가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이라는 장소적 특성에 맞는 차별화되고 새롭게 분석한 팝업스토어의 적용방안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결과 느린마을, 진로 두꺼비집, 티컬렉티브, 오설록 티스톤 모두 감각요소의 특성은 전반적으로 잘 반영되어 있으며, 시각 > 후각 > 미각의 순으로 특성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대체적으로 퓨전형의 공간들이어서 전통식문화 공간 특성은 약하게 반영되었고, 팝업스토어의 특성에서는 희소성과 문화이벤트성, 체험성이 강하게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4개의 사례 대체적으로 감각요소의 특성 중 시각이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이는 유동인구가 많고 외국 이용객의 비율이 높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한국전통문화센터’에서 주최하는 다른 문화체험들과 잘 어우러지면서 우리의 식문화를 경험하고 구매로 이어지는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식문화 공간의 특성이 더욱 많이 반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의 전통식문화 팝업스토어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흥미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 시각, 후각적 감각 특성과 팝업스토어의 희소성과 체험성 특성이 특히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global era, the movement between countries begins and ends at international airports. Consequently, cultural contents that create first impressions of each country and add high value beyond transportation are being expa...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global era, the movement between countries begins and ends at international airports. Consequently, cultural contents that create first impressions of each country and add high value beyond transportation are being expanded to huge industries. Against this backdrop, Korean culture is an area of interest for foreigners visiting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IA). In particular, food culture has become the most interesting element. Since the 2000s, food and beverage service stores have been using “experience marketing” programs as a way to differentiate and compet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trategic program on hands-on marketing that can draw interest and consumption at the cultural level by utilizing the specificity of the plac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space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 inform on our culture, and provide with new souvenir choic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application programs. (Method)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draws sensory elem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experience marketing perspective,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and pop-up store space, and then, compiles them all together to conduct case analysis. Using the diagram, the space types are classified and evaluated in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reflecting each 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mpany proposes a new and differentiated pop-up store to sui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IA.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low village, Jinro toad house, T-Collective, and Osullok T-stone were well reflected in general and were confirmed to be strong in the order of sight > smell > tast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were reflected weakly as they were fusion-type spaces, whereas those of pop-up stores strongly reflected scarcity, cultural event, and experience. (Conclusion) In the four cases, visuals were the most reflected sensory characteristic, which could be a very important factor at the IIA as it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a high percentage of foreign visito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space should be reflected more, which would blend well with other cultural experiences hosted by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enter" at the IIA; this would pique the interest that leads to our food culture and purchase. Therefore, the IIA’s traditional food pop-up store should reflect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o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scarcity and experience characteristics to rouse the consumers’ intere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아, "한식 레스토랑의 실내 공간 디자인 특성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뉴욕 소재 현대식 고급 한식레스토랑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현정, "체험 마케팅이 적용된 POP-UP Store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77-86, 2012

      3 김사라, "전통공간의 세계화를 위한 브랜드전략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한식당 ‘비비고’를 대상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51-160, 2013

      4 번, 슈미트,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김앤김북스 167-, 2013

      5 김유경, "백화점 팝업스토어의 VMD 특성 연구 - 서울, 부산, 대구, 오사카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4 : 77-90, 2013

      6 양일선, "미국, 중국, 일본 소비자의 해외 한식당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용행태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808-816, 2011

      7 박혜린, "감각마케팅에 대한 최근 연구의 종합적 고찰: 오감(五感)에서 동적감각 및 다(多)감각까지" 한국경영학회 47 (47): 1423-1456, 2018

      8 댄, 힐, "감각 마케팅" 비즈니스북스 52-, 2004

      9 Li, Lingyun, "The Effect of Personal and Shopping Value Factor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pop-up Store" 2020

      10 Krishna, Aradhna, "Sensory Marketing, Embodiment, and Grounded Cognition : A Review and Introduction" 24 (24): 159-168, 2013

      1 김윤아, "한식 레스토랑의 실내 공간 디자인 특성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뉴욕 소재 현대식 고급 한식레스토랑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현정, "체험 마케팅이 적용된 POP-UP Store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77-86, 2012

      3 김사라, "전통공간의 세계화를 위한 브랜드전략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한식당 ‘비비고’를 대상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51-160, 2013

      4 번, 슈미트,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김앤김북스 167-, 2013

      5 김유경, "백화점 팝업스토어의 VMD 특성 연구 - 서울, 부산, 대구, 오사카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4 : 77-90, 2013

      6 양일선, "미국, 중국, 일본 소비자의 해외 한식당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용행태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808-816, 2011

      7 박혜린, "감각마케팅에 대한 최근 연구의 종합적 고찰: 오감(五感)에서 동적감각 및 다(多)감각까지" 한국경영학회 47 (47): 1423-1456, 2018

      8 댄, 힐, "감각 마케팅" 비즈니스북스 52-, 2004

      9 Li, Lingyun, "The Effect of Personal and Shopping Value Factor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pop-up Store" 2020

      10 Krishna, Aradhna, "Sensory Marketing, Embodiment, and Grounded Cognition : A Review and Introduction" 24 (24): 159-168, 2013

      11 Krishna, Arahdna, "Sensory Marketing : Research on the Sensuality of Products" Routledge 2011

      12 Hult‰n, B., "Sensory Marketing" Palgrave Macmillan 2009

      13 Herz, R. S., "Odor memory : Review and analysis" 3 (3): 300-313, 1996

      14 Kim, Hyoseon, "Materialization of The Fluid Space through Temporality" Omnibus of The Interim Space 2010

      15 Kim, Taewoo, "Hotel Sensory Marketing Influencing Brand Personality, Customer Value, and Brand Royalty" 2020

      16 Klatzky, R. L., "Extracting object properties through haptic exploration" 84 : 29-40, 1993

      17 Park, Taejun, "Experiences of sentimental Korean food and Korean culture, based on five senses among stars from Korean Wave" 2006

      18 Kim, Kyoungok,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sensory marketing, emotion, memory, and post-purchase behavior in the hotel industry" 2019

      19 Herz, R. S., "A naturalistic study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evoked by olfactory and visual cues : testing the Proustian hypothesis" 115 (115): 21-32, 2002

      20 Yun, Hyeshin,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Pop Up Store based on Cultural Marketing" 2015

      21 Kim, Misung,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Congrue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Loyalty in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 2004

      22 Kim, Sunyoung, "A Study on Market Research of Apparel Pop-Up Store in Korea and Purchase Behavior of Apparel Pop-Up Store Experienced Consumer" 2011

      23 Lee, Minjung,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in Designing Pop-up Stor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arketing" 2012

      24 Kim, Hyungdae, "A Study for th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 in Interior Design – Focus on Korean Restaurant"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