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敍述名詞의 論項의 格 실현 양상 - 自動性 機能動詞를 중심으로 - = Predicative Nouns, Arguments and their case assign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자동성 동사 ‘나다/들다’, ‘가다/오다’, ‘있다/없다’를 구성요소로 하는 이른바 기능동사 구문에서, 서술명사들의 특성과 의미부류에 따라 그것이 지배하는 논항들의 격 실현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자동성 기능동사 구문은 서술명사에 주격조사 ‘이/가’가 결합한다. 가령, ‘겁(이) 나다’에서 ‘나다’를 자동사로 보게 되면 서술명사 ‘겁(이)’가 이 자동사의 주어로 실현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는데, ‘주어+자동사’의 문장 구성으로 본다는 것은 ‘겁(이) 나다’ 같은 연어 구성이 되고, 더 나아가 ‘겁나다’와 같은 합성동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게 된다. 그 이유는 ‘겁(이) 나다’는 다른 논항을 요구하고 그것이 실현되어야 완벽한 단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능동사 구문 중에서 ‘나다/들다’, ‘가다/오다’, ‘있다/없다’ 기능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항의 격 실현 양상과 더불어 주어 분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자동성 동사 ‘나다/들다’, ‘가다/오다’, ‘있다/없다’를 구성요소로 하는 이른바 기능동사 구문에서, 서술명사들의 특성과 의미부류에 따라 그것이 지배하는 논항들의 ...

      이 글의 목적은 자동성 동사 ‘나다/들다’, ‘가다/오다’, ‘있다/없다’를 구성요소로 하는 이른바 기능동사 구문에서, 서술명사들의 특성과 의미부류에 따라 그것이 지배하는 논항들의 격 실현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자동성 기능동사 구문은 서술명사에 주격조사 ‘이/가’가 결합한다. 가령, ‘겁(이) 나다’에서 ‘나다’를 자동사로 보게 되면 서술명사 ‘겁(이)’가 이 자동사의 주어로 실현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는데, ‘주어+자동사’의 문장 구성으로 본다는 것은 ‘겁(이) 나다’ 같은 연어 구성이 되고, 더 나아가 ‘겁나다’와 같은 합성동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게 된다. 그 이유는 ‘겁(이) 나다’는 다른 논항을 요구하고 그것이 실현되어야 완벽한 단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능동사 구문 중에서 ‘나다/들다’, ‘가다/오다’, ‘있다/없다’ 기능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항의 격 실현 양상과 더불어 주어 분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mantic properties of noun predicates affect case marking and argument realization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of which an intransitive verb such as ‘나다/들다,’ ‘가다/오다,’ and ‘있다/없다’ is a constituent.
      In contrast to transitive support verb constructions, the predicative noun in intransitive support verb constructions combines with the nominative particle ‘이/가.’ One example is ‘겁(이) 나다.’ In this construction, one might consider ‘나다’ simply an intransitive verb, which means that ‘겁(이)’ is realized as the subject of ‘나다.’ But this approach cannot explain the collocation of ‘겁(이)’ and ‘나다,’ neither the fact that they can combine to form a compound verb, ‘겁나다.’ This is because ‘겁(이) 나다’ requires another argument to be a perfect simple sentence.
      Since the syntactic analysis of support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language has proposed various issues such as subjecthood judgement, the discussion of case marking and argument realization of support verbs ‘나다/들다’, ‘가다/오다’, and ‘있다/없다’ should provide a meaningful insight int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pport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mantic properties of noun predicates affect case marking and argument realization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of which an intransitive verb such as ‘나다/들다,’ ‘가다/오다,’ and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mantic properties of noun predicates affect case marking and argument realization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of which an intransitive verb such as ‘나다/들다,’ ‘가다/오다,’ and ‘있다/없다’ is a constituent.
      In contrast to transitive support verb constructions, the predicative noun in intransitive support verb constructions combines with the nominative particle ‘이/가.’ One example is ‘겁(이) 나다.’ In this construction, one might consider ‘나다’ simply an intransitive verb, which means that ‘겁(이)’ is realized as the subject of ‘나다.’ But this approach cannot explain the collocation of ‘겁(이)’ and ‘나다,’ neither the fact that they can combine to form a compound verb, ‘겁나다.’ This is because ‘겁(이) 나다’ requires another argument to be a perfect simple sentence.
      Since the syntactic analysis of support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language has proposed various issues such as subjecthood judgement, the discussion of case marking and argument realization of support verbs ‘나다/들다’, ‘가다/오다’, and ‘있다/없다’ should provide a meaningful insight int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pport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 만, "현대 한국어 복합동사 –‘나다/내다’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고찰" 한국언어학회 4 : 69-92, 1979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3 이윤미, "한국어의 비주격 주어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4 목정수, "한국어의 두 종류의 타동 구문 –유형론적 관점에 조사 ‘가’와 ‘를’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산동대 한국학원 2016

      5 목정수,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70) : 71-116, 2015

      6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표지 연구" 연세대학교 2016

      7 박철우, "한국어 용언 사전 기술을 위한 의미역 설정의 기본 문제들" 언어교육원 41 (41): 543-568, 2005

      8 이병규,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한국문화사 2009

      9 목정수, "한국어 서술절 비판 -통사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현대문법학회 (76) : 101-126, 2014

      10 연재훈, "타동성의 정의를 위한 원형이론적 접근" 한국언어학회 22 (22): 107-132, 1997

      1 오 만, "현대 한국어 복합동사 –‘나다/내다’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고찰" 한국언어학회 4 : 69-92, 1979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3 이윤미, "한국어의 비주격 주어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4 목정수, "한국어의 두 종류의 타동 구문 –유형론적 관점에 조사 ‘가’와 ‘를’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산동대 한국학원 2016

      5 목정수,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70) : 71-116, 2015

      6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표지 연구" 연세대학교 2016

      7 박철우, "한국어 용언 사전 기술을 위한 의미역 설정의 기본 문제들" 언어교육원 41 (41): 543-568, 2005

      8 이병규,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한국문화사 2009

      9 목정수, "한국어 서술절 비판 -통사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현대문법학회 (76) : 101-126, 2014

      10 연재훈, "타동성의 정의를 위한 원형이론적 접근" 한국언어학회 22 (22): 107-132, 1997

      11 홍재성, "자동사적 기능동사의 통사․의미적 분석"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7 : 265-283, 2004

      12 최형강, "연어의 논항과 의미역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57 : 357-382, 2012

      13 목정수, "알타이제어의 구문 유형론적 친연성 연구 - 한국어의 타동 구문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07) : 75-124, 2015

      14 이호승,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범위" 어문연구학회 55 : 51-72, 2007

      15 목정수, "문두여격어 구문의 정체 - 여격주어 설정은 타당한가? -" 형태론 18 (18): 216-240, 2016

      16 한정한, "명사 논항의 자릿수와 이중주어 구문의 주어" 한국어학회 61 : 369-402, 2013

      17 박융배, "동사 ‘나다’의 선행 명사 분석 - 서술성 판별을 중심으로 -" 형태론 17 (17): 42-68, 2015

      18 남승호, "기점과 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한국언어학회 34 (34): 473-527, 2009

      19 목정수, "기능동사 구문의 제2논항의 격 실현 양상: 자동성 기능동사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101-117, 2016

      20 홍재성, "기능동사 구문 연구의 한 시각: 어휘적 접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41 : 135-173, 1999

      21 연재훈, "국어 여격주어 구문에 대한 범언어적 관점의 연구" 국어학회 28 : 241-275, 1996

      22 이호승, "국어 복합서술어 연구: [명사+조사+동사] 구성의 경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3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월인 2005

      24 이선웅, "국어 명사구의 유형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56 : 33-59, 2008

      25 목정수, "記述動詞와 主觀動詞 앞의 ‘가形 成分’의 통사적 기능-單一主語說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37-62, 2004

      26 홍달오, "動詞 ‘들다/나다’의 意味에 대한 認知言語學的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131-153, 2010

      27 남승호, "‘오다’와 ‘가다’의 직시적 비대칭성: 서술 명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28 박융배, "‘나다’ 기능동사 구문의 통사와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2016

      29 Næss, Åshild, "Prototypical Transitivit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7

      30 홍재성,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