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physics area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To this end, the 2015 revised 『Physics I』 and the 2022 revised 『Ph...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physics area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To this end, the 2015 revised 『Physics I』 and the 2022 revised 『Ph...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physics area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To this end, the 2015 revised 『Physics I』 and the 2022 revised 『Physics』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mpared, and the 2015 revised 『Physics II』, the 2022 revised 『Mechanics and energy』, and 『Electromagnetism and quant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ll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physics are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form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 conceptual knowledge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In the 2022 revised physics domain, metacognitive knowledg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ing’ was the most common in all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The introduction of ‘evalu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can be seen as a positive change. When designing textbook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reflect various level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참고문헌 (Reference)
1 D. R. Krathwohl, 41 : 212-, 2002
2 H. Cho, 9 : 29-, 1984
3 나지연 ; 윤혜경 ; 김미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4 (34): 183-193, 2015
4 최원호,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화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171-197, 2009
5 이혜숙 ; 김영신, "제 7차 초·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52-62, 2008
6 김세영, "미국의 Core Knowledge Sequence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69-95, 2013
7 동효관 ; 김용진 ; 하소현, "미국 차세대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와 한국과학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64 : 95-125, 2015
8 이근영 ; 전제응,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4) : 259-282, 2022
9 백남진,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01-131, 2014
10 C. J. Kim,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Bookshill 1999
1 D. R. Krathwohl, 41 : 212-, 2002
2 H. Cho, 9 : 29-, 1984
3 나지연 ; 윤혜경 ; 김미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4 (34): 183-193, 2015
4 최원호,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화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171-197, 2009
5 이혜숙 ; 김영신, "제 7차 초·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52-62, 2008
6 김세영, "미국의 Core Knowledge Sequence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69-95, 2013
7 동효관 ; 김용진 ; 하소현, "미국 차세대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와 한국과학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64 : 95-125, 2015
8 이근영 ; 전제응,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4) : 259-282, 2022
9 백남진,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01-131, 2014
10 C. J. Kim,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Bookshill 1999
11 Ministry of Education, "The Science Curriculum, Statute Notice of Ministry of Education No. 2022-33"
12 Ministry of Education, "The Science Curriculum, Statute Notice of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13 B. S. Bloom, "Taxa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 cation of educational goals, by a committee of college and university ex-aminer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Longman 1956
14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Statute No-tice of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15 M. Forehand, "Emerging Perspectives on Learning, Teaching, and Technology" The Jacobs Foundation 2005
16 R. J. Marzano, "Design-ning & Assessing Educational Objectives: Applying the New Taxonomy" Ky-oyookgwahaksa 2008
17 최정인 ; 백성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277-288, 2015
18 이봉석 ; 강경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에 따른 2015개정 교육과정 물리학Ⅰ성취기준과 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한국물리학회 69 (69): 1177-1184, 2019
19 김형미 ; 강경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I』 성취기준과 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438-447, 2019
20 위수민 ; 김보경 ; 조현준 ; 손정주 ; 오창호,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10-21, 2011
21 이혜숙 ; 서유선 ; 박경숙 ; 김영신,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틀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의 목표 분류"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365-376, 2006
22 김영신 ; 이혜숙 ; 신애경,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70-579, 2007
23 이현숙 ; 강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05-325, 2013
24 김윤희 ; 윤기순 ; 권덕기,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64-174, 2010
25 L. W. Anderson,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2001
26 정윤우,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진술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71-91, 2019
27 이재호 ; 박기범, "2015 교육과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학습 목표 분석 -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1) : 305-331, 2021
28 이상원 ; 남일균 ; 임성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물리 교과 성취기준과의 관계성" 한국물리학회 68 (68): 1081-1095, 2018
29 손준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방법의 제안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40 (40): 163-175, 2020
30 김은주 ; 이진숙 ; 이훤 ; 김대현,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911-923, 2016
졸-겔 법으로 합성된 ZnCdO 박막의 카드뮴 몰분율에 따른 특성 연구
ChatGPT를 활용한 하브루타학습에서 나타난 중등 물리영재의 질문 수준과 유형 분석
Phase Shift Analysis of 386 MeV Alpha Particle Elastic Scattering on Tin Isotopes
VPython으로 구현한 블로흐 구의 온라인 3차원 시뮬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