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격적 비교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이 브랜드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Unfavorableness of the Aggressively Comparative Advertising on Consumers' Intention of Brand Swit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8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arative advertising may get consumers more attention to their message because of a unique exciting. Late-mover brands could intend to show their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pioneering brand through comparative advertising. Recent research, however, direct and explicit comparative advertising may cause unfavorable attitudes of consumer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direct comparative ad on consumers' unfavorableness. Experiment 1 investigated the type of comparative ad which was intended to snatch users from her competitor brand. That is, the messages of "if switch then more gain" or "if stay then more loss" were explored. In results, promotion-focused consumers showed less unfavorable to the comparative ad of "switching and gain" and displayed more switching intention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action and gain." Consumers showed high unfavorableness and low switching intention when other comparative ad conditions.
      Experiment 2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ad which was intended to hold their customers from the attacks of competitor. Prevention-focused consumers showed less unfavorableness to the ad of "if switch then loss message" and more holding intention because of their vigilance for loss aversion.
      Concludingly, this research showed the regulatory fit in context of comparative ad. Also, we suggested that consumers' unfavorableness to the comparative ad might mediate the effects of the ad on the brand switching intentions.
      번역하기

      Comparative advertising may get consumers more attention to their message because of a unique exciting. Late-mover brands could intend to show their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pioneering brand through comparative advertising. Recent research, howev...

      Comparative advertising may get consumers more attention to their message because of a unique exciting. Late-mover brands could intend to show their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pioneering brand through comparative advertising. Recent research, however, direct and explicit comparative advertising may cause unfavorable attitudes of consumer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direct comparative ad on consumers' unfavorableness. Experiment 1 investigated the type of comparative ad which was intended to snatch users from her competitor brand. That is, the messages of "if switch then more gain" or "if stay then more loss" were explored. In results, promotion-focused consumers showed less unfavorable to the comparative ad of "switching and gain" and displayed more switching intention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action and gain." Consumers showed high unfavorableness and low switching intention when other comparative ad conditions.
      Experiment 2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ad which was intended to hold their customers from the attacks of competitor. Prevention-focused consumers showed less unfavorableness to the ad of "if switch then loss message" and more holding intention because of their vigilance for loss aversion.
      Concludingly, this research showed the regulatory fit in context of comparative ad. Also, we suggested that consumers' unfavorableness to the comparative ad might mediate the effects of the ad on the brand switching inten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비교광고는 특유의 흥미로움 때문에 광고의 주목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비교광고는 후발브랜드가 선발브랜드와의 속성비교를 통해 자사브랜드의 우위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격적이고 노골적인 형태의 비교광고는 소비자에게 공감보다는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적인 비교광고가 소비자의 거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쟁브랜드로부터 고객을 빼앗아오려는 목적의 비교광고, 또는 경쟁브랜드의 공격으로부터 기존고객을 지키려는 목적의 비교광고에서 소비자의 거부감 정도를 살펴보고, 브랜드전환(유지)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경쟁브랜드로부터 고객을 빼앗아오려는 비교광고를 살펴보았다. 즉 “우리 브랜드로 바꾸면 더 이익” 또는 “기존 브랜드에 머물면 더 손해”라는 형태의 비교광고에 대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는 전환시 이득강조 메시지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향상초점 소비자는 행동시 이득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른 비교광고 조건에서 광고거부감이 심했고, 광고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 경쟁브랜드의 공격으로부터 고객을 유지하려는 목적의 비교광고를 살펴보았다. 즉 “타사 브랜드로 바꾸면 더 손해” 또는 “우리 브랜드에 머물면 더 이익”이라는 형태의 비교광고에 대하여, 방어초점 소비자는 전환시 손실강조 메시지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방어초점 소비자는 행동시 손실가능성에 민감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광고 맥락에서 조절적합효과(regulatory fit)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비교광고의 효과는 소비자의 거부감이 중요한 매개효과를 발휘한다는 것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비교광고는 특유의 흥미로움 때문에 광고의 주목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비교광고는 후발브랜드가 선발브랜드와의 속성비교를 통해 자사브랜드의 우위를 객관적으로 전달하...

      비교광고는 특유의 흥미로움 때문에 광고의 주목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비교광고는 후발브랜드가 선발브랜드와의 속성비교를 통해 자사브랜드의 우위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격적이고 노골적인 형태의 비교광고는 소비자에게 공감보다는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적인 비교광고가 소비자의 거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쟁브랜드로부터 고객을 빼앗아오려는 목적의 비교광고, 또는 경쟁브랜드의 공격으로부터 기존고객을 지키려는 목적의 비교광고에서 소비자의 거부감 정도를 살펴보고, 브랜드전환(유지)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경쟁브랜드로부터 고객을 빼앗아오려는 비교광고를 살펴보았다. 즉 “우리 브랜드로 바꾸면 더 이익” 또는 “기존 브랜드에 머물면 더 손해”라는 형태의 비교광고에 대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는 전환시 이득강조 메시지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향상초점 소비자는 행동시 이득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른 비교광고 조건에서 광고거부감이 심했고, 광고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 경쟁브랜드의 공격으로부터 고객을 유지하려는 목적의 비교광고를 살펴보았다. 즉 “타사 브랜드로 바꾸면 더 손해” 또는 “우리 브랜드에 머물면 더 이익”이라는 형태의 비교광고에 대하여, 방어초점 소비자는 전환시 손실강조 메시지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방어초점 소비자는 행동시 손실가능성에 민감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광고 맥락에서 조절적합효과(regulatory fit)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비교광고의 효과는 소비자의 거부감이 중요한 매개효과를 발휘한다는 것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관호, "자극에 근거한 구매와 기억에 근거한 구매 상황에서의 비교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9 (19): 181-201, 2008

      2 김경진,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이 외재적 속성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8 (28): 103-116, 2010

      3 나준희, "소비자의 조절적 동기와 광고의 제시유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263-283, 2005

      4 나준희, "소비자의 조절적 동기가 구매후 후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3-3, 2004

      5 박유식, "비교광고가 시장전체의 광고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20 (20): 1-19, 2008

      6 이철선, "브랜드 전형성과 혁신성이 비교광고에 미치는 영향:비교대상과 비교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5 (15): 227-260, 2004

      7 여준상, "규범초점이 브랜드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95-108, 2004

      8 권익현, "광고메세지의 긍정적,부정적 프레이밍에 관한 연구" 12 (12): 209-222, 2001

      9 Kirmani, Amina, "Vigilant Against Manipulation: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Use of Persuasion Knowledge" 44 : 688-701, 2007

      10 Sengupta, Jaideep, "Understanding Impulsive Eaters' Choice Behaviors: The Motivational Influences of Regulatory Focus" 44 : 297-308, 2007

      1 석관호, "자극에 근거한 구매와 기억에 근거한 구매 상황에서의 비교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9 (19): 181-201, 2008

      2 김경진,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이 외재적 속성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8 (28): 103-116, 2010

      3 나준희, "소비자의 조절적 동기와 광고의 제시유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263-283, 2005

      4 나준희, "소비자의 조절적 동기가 구매후 후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3-3, 2004

      5 박유식, "비교광고가 시장전체의 광고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20 (20): 1-19, 2008

      6 이철선, "브랜드 전형성과 혁신성이 비교광고에 미치는 영향:비교대상과 비교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5 (15): 227-260, 2004

      7 여준상, "규범초점이 브랜드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95-108, 2004

      8 권익현, "광고메세지의 긍정적,부정적 프레이밍에 관한 연구" 12 (12): 209-222, 2001

      9 Kirmani, Amina, "Vigilant Against Manipulation: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Use of Persuasion Knowledge" 44 : 688-701, 2007

      10 Sengupta, Jaideep, "Understanding Impulsive Eaters' Choice Behaviors: The Motivational Influences of Regulatory Focus" 44 : 297-308, 2007

      11 Higgins, E. Tory, "Transfer of Value from Fit" 84 (84): 1140-1153, 2003

      12 Muthukrishnan, A. V, "The Piecemeal Approach to Comparative Advertising" 12 (12): 63-73, 2001

      13 Dehaene, Stanislas, "The Neural Basis of the Weber-Fechner Law: A Logarithmic Mental Number Line" 7 : 145-147, 2003

      14 Baron, Reuben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15 Zhao, Guangzhi, "The Impact of Regulatory Focus on Adolescents' Responses to Antismoking Advertising Campaigns" 44 : 688-701, 2007

      16 Soscia, Isabella,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on Consumer Perceptions: Similarity or Differentiation?" 25 (25): 109-118, 2010

      17 Fujita, Kentaro, "Spatial Distance and Mental Construal of Social Event" 17 (17): 278-282, 2006

      18 Zhou, Rongrong, "Promotion and Prevention Across Mental Accounts: When Financial Products Dictate Consumers' Investment Goals" 31 : 125-135, 2004

      19 Crowe, Ellen, "Inclinations: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Making" 69 (69): 117-132, 1997

      20 Pham, Michael T, "Ideals and Oughts and the Reliance on Affect Versus Substance" 30 (30): 503-518, 2004

      21 Pillai, Kishore G, "How Brand Attribute Typicality and Consumer Commitment Moderate the Influence of Comparative Advertising" 61 (61): 933-941, 2008

      22 Chernev, Alexander, "Goal Orientation and Consumer Preference for the Status Quo" 31 (31): 557-565, 2005

      23 Higgins, E. Tory, "Emotional Responses to Goal Attainment: Strength of Regulatory Focus as a Moderator" 72 : 515-525, 1997

      24 Jeon, Jung O, "Comparative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Different National Cultures" 55 (55): 907-913,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Journal of Product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3 0.78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