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카(短歌)로 보는 재조일본인의 삶과 조선표상―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1935)』을 중심으로 ― = The Life of Japanese in Chosun and Representation of Chosun in Japanese Poem(Tanka): Focusing on 『朝鮮風土歌集』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1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は20世紀に入ってから本格的に研究されている在朝日本人の文学、つまり'外地日本語文学'研究の一つである。今まで植民地朝鮮に於ける<日本語文学>研究は小説を始めとする散文ジャンルが主に研究されているが、実際に当時の日本語雑誌や刊行物を調査してみると、短歌と俳句のような日本の伝統韻文ジャンルが時期的にも量的にも長期間、そして多数を占めていることが分かる。つまり、植民地朝鮮で行われた在朝日本人の文学の中、最も長期間、安定的に持続されながら、在朝日本人の'自己表現の場'と彼らの'結束の場'として機能していた伝統韻文ジャンルには散文文学とは異なる側面が存在し、多数の資料の発掘を通じて一つの談論が発見できる領域でもある。従って、本稿では在朝日本人の文学研究において、ジャンルの拡大と分析の多様な観点という側面から短歌というジャンルに注目して研究した。朝鮮半島で刊行された短歌関連の刊行物は約22券に至るが、その中でも本稿では1935年市山盛雄によって刊行された 『朝鮮風土歌集』を対象として、短歌に表れた朝鮮表象と在朝日本人の生活について分析した。その結果、在朝日本人の朝鮮での生活と朝鮮文化についての表象は同化と排除という二重的な視線で発見されたが、彼らの肯定的な心想と朝鮮文化について愛着を詠んだ句を通じて、一般的な植民地イデオロギーから離れた個人の眞率な生活と朝鮮に対するイメージを詠むことができた。
      번역하기

      本稿は20世紀に入ってから本格的に研究されている在朝日本人の文学、つまり'外地日本語文学'研究の一つである。今まで植民地朝鮮に於ける<日本語文学>研究は小説を始めとする散...

      本稿は20世紀に入ってから本格的に研究されている在朝日本人の文学、つまり'外地日本語文学'研究の一つである。今まで植民地朝鮮に於ける<日本語文学>研究は小説を始めとする散文ジャンルが主に研究されているが、実際に当時の日本語雑誌や刊行物を調査してみると、短歌と俳句のような日本の伝統韻文ジャンルが時期的にも量的にも長期間、そして多数を占めていることが分かる。つまり、植民地朝鮮で行われた在朝日本人の文学の中、最も長期間、安定的に持続されながら、在朝日本人の'自己表現の場'と彼らの'結束の場'として機能していた伝統韻文ジャンルには散文文学とは異なる側面が存在し、多数の資料の発掘を通じて一つの談論が発見できる領域でもある。従って、本稿では在朝日本人の文学研究において、ジャンルの拡大と分析の多様な観点という側面から短歌というジャンルに注目して研究した。朝鮮半島で刊行された短歌関連の刊行物は約22券に至るが、その中でも本稿では1935年市山盛雄によって刊行された 『朝鮮風土歌集』を対象として、短歌に表れた朝鮮表象と在朝日本人の生活について分析した。その結果、在朝日本人の朝鮮での生活と朝鮮文化についての表象は同化と排除という二重的な視線で発見されたが、彼らの肯定的な心想と朝鮮文化について愛着を詠んだ句を通じて、一般的な植民地イデオロギーから離れた個人の眞率な生活と朝鮮に対するイメージを詠むことができた。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석, "해외이주 일본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에 대한 연구  이주지에서의 일본어신문 발행과 국민적 아이덴티티 유지를 중심으로: 해외이주 일본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에 대한 연구" 862-866, 2006

      2 정병호,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전통시가 문헌의 조사연구 ― 단카(短歌)․하이쿠(俳句) 관련 일본어 문학잡지 및 작품집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4) : 93-110, 2013

      3 정병호, "한반도 식민지 <일본어 문학>의 연구와 과제" 한국일본학회 (85) : 109-124, 2010

      4 허석, "한말 한국이주 일본인과 문학" 경인출판사 19-76, 2012

      5 나카네 다카유키, "조선 시가(朝鮮詠)의 하이쿠 권역(俳域) - 박노식(朴魯植)에서 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로" 일본연구센터 (16) : 27-56, 2011

      6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산 77-110, 1997

      7 정병호, "러일전쟁 전후 한반도의 일본어잡지와 일본어 문학의 성립―『한국교통회지(韓國交通會誌)』(1902~03)와『한반도(韓半島)』(1903~06)의 문예물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92) : 175-194, 2012

      8 구인모, "단카(短歌)로 그린 朝鮮의 風俗誌 - 市山盛雄 編, 朝鮮風土歌集 (1935)에 對하여"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창간) : 215-236, 2006

      9 정병호,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14 (14): 387-412, 2010

      10 高崎宗司, "植民地朝鮮の日本人" 岩波新書 1-236, 2002

      1 허석, "해외이주 일본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에 대한 연구  이주지에서의 일본어신문 발행과 국민적 아이덴티티 유지를 중심으로: 해외이주 일본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에 대한 연구" 862-866, 2006

      2 정병호,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전통시가 문헌의 조사연구 ― 단카(短歌)․하이쿠(俳句) 관련 일본어 문학잡지 및 작품집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4) : 93-110, 2013

      3 정병호, "한반도 식민지 <일본어 문학>의 연구와 과제" 한국일본학회 (85) : 109-124, 2010

      4 허석, "한말 한국이주 일본인과 문학" 경인출판사 19-76, 2012

      5 나카네 다카유키, "조선 시가(朝鮮詠)의 하이쿠 권역(俳域) - 박노식(朴魯植)에서 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로" 일본연구센터 (16) : 27-56, 2011

      6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산 77-110, 1997

      7 정병호, "러일전쟁 전후 한반도의 일본어잡지와 일본어 문학의 성립―『한국교통회지(韓國交通會誌)』(1902~03)와『한반도(韓半島)』(1903~06)의 문예물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92) : 175-194, 2012

      8 구인모, "단카(短歌)로 그린 朝鮮의 風俗誌 - 市山盛雄 編, 朝鮮風土歌集 (1935)에 對하여"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창간) : 215-236, 2006

      9 정병호,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14 (14): 387-412, 2010

      10 高崎宗司, "植民地朝鮮の日本人" 岩波新書 1-236, 2002

      11 楠井清文,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人移住者の文学ー文学コミユニテイの形成と 「朝鮮色」 「地方性」ー" 立命館大学アート·リサーチセンター 31-43, 2010

      12 市山盛雄, "朝鮮風土歌集" 東京眞人社 1935

      13 송미정, "『조선공론』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 재조 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14 가미야 다다타카, "<식민지> 일본어 문학론" 도서출판 문 1-24, 2010

      15 엄인경, "20세기초 재조일본인의 문학결사와 일본전통 운문작품 연구 - 일본어잡지 『조선지실업(朝鮮之實業)』(1905~1907)의 <문원(文苑)>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55) : 381-404, 2011

      16 정병호, "20세기 초기 일본의 제국주의와 한국 내 <일본어문학>의 형성 연구 ―잡지『조선』(朝鮮, 1908-11)의「문예」란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409-425, 2008

      17 조은애, "1920년대 초반 『조선공론』 문예란의 재편과 식민의 ‘조선문단’ 구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9) : 235-256, 2010

      18 박광현, "1910년대 『조선』(『조선급만주』)의 문예면과 ‘식민 문단’의 형성" 한국비교문학회 (52) : 25-56,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4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