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세안제가 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세안제만을 사용해온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식물성 천연원료로 제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30512
2009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3-152(1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세안제가 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세안제만을 사용해온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식물성 천연원료로 제작...
본 연구는 현대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세안제가 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세안제만을 사용해온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식물성 천연원료로 제작된 천연비누를 대체 세안제로 사용했을 경우 성인 여성의 얼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연구 하였다.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설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세안제의 사용성에 대한 조사결과 대상자중 20대와 30대 주요 사용 연령층으로 나타났으며 피부유형으로는 수분 부족형 지성피부와, 건성피부 형태로 대체로 수분이 부족한 여성이 대부분이었으며, 사용 중인 세안제로는 합성세안제의 사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자의 얼굴 중 이마와 볼 부위의 수분・유분・탄력도에 대한 5주간의 실험 결과로는 이마부위에서 수분의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도에서는 천연비누 적용전에 비해 꾸준하게 향상되어 4주와 5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볼 부위의 수분과 유분은 실험4, 5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도는 천연비누 적용전과 비교하여 꾸준하게 향상되어 4주와 5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 후 천연비누와 합성세안제의 비교 설문 조사에서 거품상태 및 세정효과 면에서 합성 세안제 보다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합성세안제보다 천연비누의 사용감이 양호 하다고 응답 하였다. 또한, 천연비누에 대한 재사용 여부 및 합성세안제와 비교한 종합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대체로 천연비누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을 볼 수 있었다. 개선된 피부상태로는 건조함과 당김이 개선되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이 나타나 기존에 사용하던 세안제가 합성세안제임을 미루어 볼 때 천연비누 사용에 따른 유분량과 수분량의 증가와도 일치된 설문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피부의 수분량, 유분량, 탄력도는 안면 부위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변화도가 1주부터 점차 증가하고 4주경과 후 수분과 탄력도에서는 변화가 많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4주와
5주 사이의 변화량이 거의 없음으로 미루어 보아 피부 각화주기와의 상관관계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실험결과 유분량의 변화에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피부의 특성상 유분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합성세안제를 사용해온 피부상태보다 천연비누를 적용했을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대상자의 주관적인 평가 역시 천연비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천연비누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대한 수분 및 탄력도의 증가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ial cleansing agents which were used everyday by modern women upon their skin, centering on adult women who had only used synthetic facial cleansing agents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ir 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ial cleansing agents which were used everyday by modern women upon their skin, centering on adult women who had only used synthetic facial cleansing agents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ir using natural soap as an alternative ag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emographic features of study subjects and their use of facial cleansing agents, women in their 20s and 30s are major users of facial cleansing agents and their skin type is mostly a moisture insufficient fatty and dry skin type. And they use synthetic facial cleansing agents in general. Second, as for the results of five-week experiment on the moisture, fat, and elasticity in forehead and cheek, moisture in forehead is highly improved. And elasticity in forehead is gradually enhanced comparing to the time when natural soap is not used and the greatest elasticity in forehead is acquired in four or five weeks. Moisture and fat in cheek are highest in four or five weeks. And elasticity in cheek is gradually improved and also highest in four or five weeks when comparing to the time when natural soap is not applied. Third, after experiment,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arried out on the comparison of natural soap and synthetic cleansing agents. They respond that natural soap is better in foam generation and cleansing effect than synthetic cleansing agents. As for the reuse intention of natural soap and comprehensive comparison of it with synthetic cleansing agents, most of them feel satisfied with their use of natural soap. As for the improvement of skin, most of them mention the improvement of dryness and tightness as a positive result of using natural soap. This finding is in accord with natural soap's enhancement of fat and moisture amount.
Although the extent of improvement of moisture, fat and elasticity is varied by facial regions, the changes of moisture and elasticity start in a week and reach its greatest extent in four weeks. And there is nearly no change between four weeks and five weeks. This result reminds us of its correlation with the keratosis cycle of ski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용, "합성세제 및 비누계 세제의 세척률에 대한 비교실험 연구" 건국대 1993
2 하금, "폐유를 이용한 재생비누의 특성 및 피부 자극도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1997
3 황창연, "폐식용유를 이용한 재활용 비누제조" 아주대 1999
4 한경애, "자연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제조 및 약리성 연구" 대구카톨릭대 2005
5 최혜민, "비누의 피부 자극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4
6 Burckhardt. W, "Neu Untersuchungen ϋber die Alkaliempfindlichkeit der Haut" 74-96, 1947
7 Berardesca, E., "Bioengineering of the skin" CRC Rress 53-64, 1995
1 김상용, "합성세제 및 비누계 세제의 세척률에 대한 비교실험 연구" 건국대 1993
2 하금, "폐유를 이용한 재생비누의 특성 및 피부 자극도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1997
3 황창연, "폐식용유를 이용한 재활용 비누제조" 아주대 1999
4 한경애, "자연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제조 및 약리성 연구" 대구카톨릭대 2005
5 최혜민, "비누의 피부 자극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4
6 Burckhardt. W, "Neu Untersuchungen ϋber die Alkaliempfindlichkeit der Haut" 74-96, 1947
7 Berardesca, E., "Bioengineering of the skin" CRC Rress 53-64, 1995
스웨디시 마사지와 고주파요법이 승모근 통증과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
C57BL/6마우스 모델에서 DCS-HT® 발모제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8-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 ![]() |
2016-04-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5 | 0.602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