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령 심부전증 환자에서 Carvedilol의 좌심실 기능에 대한 효과 = Effects of Carvedilol on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7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nd and objectives:Neurohormonal compens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physiologic aspect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There is recent clinical evidence that beta blocker is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beta blocker o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26 patients of CHF under stable condition by conventional management were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two age subgroup. Group 1 were more than 65 years (n=12) and group 2 were less than 65 years (n=14). From 12.5 to 25 mg/day of carvedilol was given according to the clinical condition. The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dimension (LVEDD),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dimension (LVESD), left ventricular volume index (LVVI), ejection fraction (LVEF), E/A ratio and E wave deceleration time (EwDT) of mitral inflow doppler velocity were measured by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before and 3 months after carvedilol trial. Six-minute walk distance were also measured.

      Results:
      Between before and after carvedilol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LVVI and significant increase of EF in group Ⅰ and group Ⅱ. The EwDT and 6 minute walk distance of both group wer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arvedilol trial. The delta EF of group Ⅰ is smaller than group Ⅱ (4.1±5.7 vs 9.7±10.0, p<0.05).

      Conclusion:When compared to younger patients with CHF, the efficacy of carvedilol on LV function in aged patients was evident. Improved clinical conditions would be expected by using carvedilol in elderly patients with CHF.
      번역하기

      Backgrond and objectives:Neurohormonal compens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physiologic aspect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There is recent clinical evidence that beta blocker is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However, there is ...

      Backgrond and objectives:Neurohormonal compens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physiologic aspect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There is recent clinical evidence that beta blocker is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beta blocker o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26 patients of CHF under stable condition by conventional management were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two age subgroup. Group 1 were more than 65 years (n=12) and group 2 were less than 65 years (n=14). From 12.5 to 25 mg/day of carvedilol was given according to the clinical condition. The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dimension (LVEDD),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dimension (LVESD), left ventricular volume index (LVVI), ejection fraction (LVEF), E/A ratio and E wave deceleration time (EwDT) of mitral inflow doppler velocity were measured by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before and 3 months after carvedilol trial. Six-minute walk distance were also measured.

      Results:
      Between before and after carvedilol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LVVI and significant increase of EF in group Ⅰ and group Ⅱ. The EwDT and 6 minute walk distance of both group wer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arvedilol trial. The delta EF of group Ⅰ is smaller than group Ⅱ (4.1±5.7 vs 9.7±10.0, p<0.05).

      Conclusion:When compared to younger patients with CHF, the efficacy of carvedilol on LV function in aged patients was evident. Improved clinical conditions would be expected by using carvedilol in elderly patients with CH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심부전증에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변화의 하나로 이 질환의 경과와 예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신경 호르몬 활성화 (neurohormonal activation)가 심부전증의 병태생리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베타 차단제는 매우 효과적인 심부전증 치료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고연령층에서는 심근의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그 발생 기전과 병태생리가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심부전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저자들은 고전적 치료로 안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고령 심부전증 환자에서 carvedilol의 추가적인 투여가 좌심실의 수축기 및 이완기 기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3월부터 2001년 1월까지 건국대학교 의료원 민중병원 내과에서 심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수축제, 이뇨제, 혈관 확장제, ACE inhibitor등의 치료로 안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2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고연령층을 1군(12예), 그 이하의 중장년층을 2군(14예)으로 구분하였다. 저용량의 carvedilol로 시작하였으며 4주 후 약물의 부작용이 없으면 증량하여 3개월 이상 투여하였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심근 수축제, 이뇨제, 혈관 확장제 등은 가능한 계속 사용하였다. 심초음파 검사는 흉골연장축 단면도에서 수축기말 및 확장기말의 좌심실 내경을 측정하였고, 심첨 4방도에서 승모판륜부터 심첨부까지의 거리와 좌심실 유두근 부위의 흉골연 단축 단면도로부터 cylinder hemiellipsoid model을 이용하여 좌심실의 수축기 말 및 확장기 말 용적, 좌심실 구혈률을 계산하였다. 심첨 4방도에서 승모판 유입 혈류속도를 측정하여 E/A ratio와 Ewave deceleration time을 구하였다. 50미터의 직선 복도를 가능한 빠르게 왕복하면서 6분간 걷도록 하여 6분 보행거리를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carvedilol 투여 전과 3개월 후에 각각 시행하여 그 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1군에서 carvedilol투여 전후의 좌심실 확장기말 내경과 수축기말 내경은 차이가 없었고, 2군에서는 확장기말 내경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축기말 내경은 carvedilol 투여 후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Carvedilol 투여 전후의 좌심실 용적지수는 1, 2군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좌심실 구혈율은 양군에서 모두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E/A ratio는 양군 모두carvedilol 투여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 wave deceleration time은 양군 모두에서 투여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6분 보행거리는 양군 모두에서 carvedilol투여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좌심실 용적지수 변화는 1군과 2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좌심실 구혈율 변화는 2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어있었다. 6분 보행거리 변화는 양군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고령 심부전증 환자에서 carvedilol 투여는 중장년 층에 비해 좌심실 구혈율 증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다소 감소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좌심실 기능을 호전시키고 양호한 임상적 경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 심부전증에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변화의 하나로 이 질환의 경과와 예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신경 호르몬 활성화 (neurohormonal activation...

      연구배경 :
      심부전증에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변화의 하나로 이 질환의 경과와 예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신경 호르몬 활성화 (neurohormonal activation)가 심부전증의 병태생리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베타 차단제는 매우 효과적인 심부전증 치료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고연령층에서는 심근의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그 발생 기전과 병태생리가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심부전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저자들은 고전적 치료로 안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고령 심부전증 환자에서 carvedilol의 추가적인 투여가 좌심실의 수축기 및 이완기 기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3월부터 2001년 1월까지 건국대학교 의료원 민중병원 내과에서 심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수축제, 이뇨제, 혈관 확장제, ACE inhibitor등의 치료로 안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2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고연령층을 1군(12예), 그 이하의 중장년층을 2군(14예)으로 구분하였다. 저용량의 carvedilol로 시작하였으며 4주 후 약물의 부작용이 없으면 증량하여 3개월 이상 투여하였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심근 수축제, 이뇨제, 혈관 확장제 등은 가능한 계속 사용하였다. 심초음파 검사는 흉골연장축 단면도에서 수축기말 및 확장기말의 좌심실 내경을 측정하였고, 심첨 4방도에서 승모판륜부터 심첨부까지의 거리와 좌심실 유두근 부위의 흉골연 단축 단면도로부터 cylinder hemiellipsoid model을 이용하여 좌심실의 수축기 말 및 확장기 말 용적, 좌심실 구혈률을 계산하였다. 심첨 4방도에서 승모판 유입 혈류속도를 측정하여 E/A ratio와 Ewave deceleration time을 구하였다. 50미터의 직선 복도를 가능한 빠르게 왕복하면서 6분간 걷도록 하여 6분 보행거리를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carvedilol 투여 전과 3개월 후에 각각 시행하여 그 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1군에서 carvedilol투여 전후의 좌심실 확장기말 내경과 수축기말 내경은 차이가 없었고, 2군에서는 확장기말 내경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축기말 내경은 carvedilol 투여 후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Carvedilol 투여 전후의 좌심실 용적지수는 1, 2군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좌심실 구혈율은 양군에서 모두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E/A ratio는 양군 모두carvedilol 투여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 wave deceleration time은 양군 모두에서 투여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6분 보행거리는 양군 모두에서 carvedilol투여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좌심실 용적지수 변화는 1군과 2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좌심실 구혈율 변화는 2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어있었다. 6분 보행거리 변화는 양군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고령 심부전증 환자에서 carvedilol 투여는 중장년 층에 비해 좌심실 구혈율 증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다소 감소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좌심실 기능을 호전시키고 양호한 임상적 경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8-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외국어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4 0.2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