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연주, "한대 소부의 기능과 변화 : 황제 '私'와 국가 '公'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택민, "천성령 역주" 혜안 2013
3 갈계용, "신출토 入唐 고구려인 <高乙德墓誌>와 고구려 말기의 내정 및 외교" 한국고대사학회 (79) : 303-343, 2015
4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2005
5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6 林起煥,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문기, "고구려 중리제의 구조와 그 변화" 대구사학회 71 : 75-135, 2003
8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9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10 이성제, "高句麗·百濟遺民 墓誌의 出自 기록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학회 (75) : 139-172, 2014
1 김연주, "한대 소부의 기능과 변화 : 황제 '私'와 국가 '公'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택민, "천성령 역주" 혜안 2013
3 갈계용, "신출토 入唐 고구려인 <高乙德墓誌>와 고구려 말기의 내정 및 외교" 한국고대사학회 (79) : 303-343, 2015
4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2005
5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6 林起煥,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문기, "고구려 중리제의 구조와 그 변화" 대구사학회 71 : 75-135, 2003
8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9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10 이성제, "高句麗·百濟遺民 墓誌의 出自 기록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학회 (75) : 139-172, 2014
11 이문기, "高句麗 滅亡期 政治運營의 變化와 滅亡의 內因" 한국고대사학회 (50) : 51-102, 2008
12 劉天琪, "試論隋唐墓誌蓋題銘“字体染糅”現象及相關問題" 17 : 2011
13 "臺灣敎育部 異體字字典"
14 毛遠明, "漢魏六朝碑刻校注" 紙裝書局 2008
15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1994
16 朴漢濟, "泉男生 墓誌銘" 1992
17 武田幸男,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4" 學生社 1980
18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70
19 山尾幸久, "朝鮮三國の軍區組織-コホリのミヤケ硏究序說-" 1974
20 정병준, "唐朝의 高句麗人軍事集團" 동북아역사재단 (24) : 177-206, 2009
21 王連龍, "唐代高麗移民高乙德墓誌及相關問題硏究" 4 : 2015
22 이기천, "唐代 高句麗·百濟系 蕃將의 존재양태" 한국고대사학회 (75) : 219-264, 2014
23 김정식, "唐 前期 厚葬文化와 官人 喪葬制度" 2015
24 김진우, "古代中國 皇帝權力의 ‘私’와 皇帝의 財庫 ― 御府의 존재양태와 변화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7) : 63-103, 2012
25 周紹良, "全唐文新編" 吉林文史出版社 2000
26 增淵龍夫, "中國古代の社會と文化-その地域別硏究-"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