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의 작품에는 노장 사상의 흔적이 많이 나타난다. 연암은 유가의 잘못된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논거로써 노장의 사유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연암은 위선적인 유자들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08510
2005
Korean
박지원 ; 신선관 ; 노장사상 ; 福地 ; 三神山 ; Park Ji-Won ; the view of the immortals ; the Lao-Chuang ideas ; Bokji ; Mt. Samsi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5-62(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암 박지원의 작품에는 노장 사상의 흔적이 많이 나타난다. 연암은 유가의 잘못된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논거로써 노장의 사유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연암은 위선적인 유자들을...
연암 박지원의 작품에는 노장 사상의 흔적이 많이 나타난다. 연암은 유가의 잘못된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논거로써 노장의 사유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연암은 위선적인 유자들을 비판하기 위해 無用之用의 역설적 사유를 이야기한다. 하찮은 것이 오히려 유용하다는 생각을 보여줌으로써 하층민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나아가 똥이나 거름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노장의 상대주의적 사고와 감각기관의 한계를 이야기한다. 우리의 감각은 한계가 있으므로 대상의 참모습을 바로보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대상을 차별적으로 보지 말고 균등하게 보라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생각은 모두 장자와 맞닿아 있다. 한편 연암은 신선을 하늘에서 땅으로 끌어내렸다. 세속에서 뜻을 얻지 못한 사람이나 가난한 사람이 신선이라고 하여 신비적인 신선을 부정한다. 또 밥이나 인삼이 불사약이라고 하여 매우 현실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신선들이 사는 공간인 福地와 三神山도 현실의 공간에 있다고 주장한다. 연암은 개방적이고 열린 사유를 지향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합리성과 현실성을 강조하는 연암으로써는 신비주의적인 신선 사상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곧 연암은 노장의 사유는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교조화된 유가를 비판했지만 종교로써 도교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18세기 최고의 실학자였던 연암이 도교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갖고 있었으며 노장의 사유를 적극 끌어들였다는 점은 조선후기 노장사상과 도교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음을 말해준다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much vestiges of the Lao-Chuang ideas in the Yeunam(연암) Park Ji-Won's works. Yeunam made his case against the Confucian ideas with the Lao-Chuang ideas. Yeunam stated the paradoxical ideas of the useless and use for criticize canting Co...
There were much vestiges of the Lao-Chuang ideas in the Yeunam(연암) Park Ji-Won's works. Yeunam made his case against the Confucian ideas with the Lao-Chuang ideas. Yeunam stated the paradoxical ideas of the useless and use for criticize canting Confucian scholars. He showed that the bagatelles were rather useful, so he was interested in the life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It informed us that the excrements or mucks were useful.
Meantime, he talked the relativism of the Lao-Chuang ideas and the limits of sense organs. He said that our sense organs had the limits, so it was difficult for looking squarely at the true form of the objects. He argued that we must watch the objects equally not differentially. This is related to the ideas of Chuang-tzu.
And Yeunam thought that the immortals were chracters on earth. He denied the mysterious immortals because the immortals were sinken persons in the world or poor people. The elixer of life were also rice and ginseng. It is his realistic thoughts. In addition to, he insisted that Bokji(福地) and Mt. Samsin(三神山)(the immortals's place of residence) were real places. Yeunam intend to forwad-leaning thinking. Yeunam emphasized on the rationality and reality, so he did not understand mysterious immortal ideas. Yeunam criticized the highbrowish Confucian ideas with the Lao-Chuang ideas, but did not adopt Taoism as a religion.
However, Yeunam, one of the best relaist in 18th century had much knowledges of Taoism and borrow from the Lao-Chuang ideas verifies Taoism spreade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도교문학" 태학사 1999
2 "초월의 상상" 휴머니스트 2002
3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동문선 1997
4 강민경, "조선중기 유선문학 연구" 2004
5 _, "연암소설의 도교철학적 조명" 태학사 1993
6 이가원, "연암소설연구" 을유문화사 1987
7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문예미학 연구" 2000
8 "비슷한 것은 가짜다" 태학사 2000
9 "불사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1995
10 김명호, "박지원 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1 "한국의 도교문학" 태학사 1999
2 "초월의 상상" 휴머니스트 2002
3 徐復觀, "중국예술정신" 동문선 1997
4 강민경, "조선중기 유선문학 연구" 2004
5 _, "연암소설의 도교철학적 조명" 태학사 1993
6 이가원, "연암소설연구" 을유문화사 1987
7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문예미학 연구" 2000
8 "비슷한 것은 가짜다" 태학사 2000
9 "불사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1995
10 김명호, "박지원 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11 文永午, "燕巖 小說의 道敎哲學的 照明" 태학사 1993
12 姜慧仙, "朴趾源 散文의 古文 변용 양상에 대한 硏究" 19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