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희주,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비교 분석" 부경대학교 2009
2 장복명, "한국과 일본의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2 (2): 278-300, 2001
3 조정림, "한국·중국·일본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구성과 문화내용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4 신찬이, "초등 5, 6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요인 분석 및 문화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도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0 (20): 75-97, 2013
5 이규숙,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연계성 연구 : 문화내용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
6 이해경,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남계령, "제 7차 개정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세계 문화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김승희, "일본 영어 교과서의 문화내용에 대한 분석 연구" 13 (13): 5-19, 2009
9 배두본, "영어 교재론 개관: 이론과 개발" 한국문화사 2010
10 이선정,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주종균, "세계시민양성을 위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가치관 분석 : 중심과 주변의 관계에 따른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최총옥, "다문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경기도다문화교육센터 2009
13 안종협, "국제어로서의 영어(EIL) 교육과 국제이해교육:세계시민성 함량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189-214, 2008
14 민찬규, "교과서 없는 영어 교육은 불가능한가" 11 (11): 89-103, 1995
15 이지인,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문성환,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인종차별 연구 : 크리티컬 페다고지(critical pedagogy)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Bierstedt, R., "The Social Order" McGraw Hill Book Company 1970
18 Finocchiaro, M., "The Foreign Language Learner : A Guide for Teachers" Regents Publishing Company 1973
19 Darder, A., "The Critical Pedagogy Reader" Routledge Falmer 2003
20 Rivers, W. M.,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21 Giroux, H., "Teachers as Intellectuals :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Bergin and Garvey 1988
22 Hammerly, H., "Synthesis in Language Teaching : An Introduction in Linguistics" Second Language Publications 1986
23 Matsuda, A., "Representation of Users and Uses of English in Beginning Japanese EFL Textbooks" 24 (24): 182-200, 2002
24 Wang, X. Y., "Reflection on the Notion of Culture Teaching" 6 (6): 49-53, 2008
25 Brown, D. H.,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Longman 2000
26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Continuum 1970
27 Said, E., "Orientalism" Vintage Books 1994
28 Herskovits, J., "Man and His Works" Alfred, A. Knopf 1948
29 Bae, Gyseon, "Looking Critically at the ESL Classroom: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of Critical Pedagogy" 한국영어교육학회 59 (59): 333-356, 2004
30 Gao, F., "Language is Culture :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5 (5): 58-67, 2006
31 Brooks, N. H., "Language and Language Learning" Harcourt Brace and World 1964
32 Lado, R., "Language Teaching :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1964
33 Byram, M., "Introduction :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15 (15): 193-195, 2002
34 Hendon, U. S., "Introducing Culture in the High School Foreign Language Class" 13 (13): 191-199, 1980
35 Morgan, B., "Handbook of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2" Routledge 817-836, 2011
36 Canagarajah, S., "Handbook of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931-949, 2008
37 Joiner, E. G., "Evaluating the Cultural Content of Foreign Language Texts" 58 (58): 242-244, 1974
38 Malik, A. H., "English as Cultural Capital : EFL Teachers’s Perceptions : A Cross-Cultural Study" 5 (5): 63-74, 2014
39 Chastain, K.,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Rand-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6
40 Cortazzi, M., "Cultur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19, 1999
41 허선민, "Cultural Portrayal in Middle-school English Textbooks: Insights for Critical Multiculturalism"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9 (19): 1-3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