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parents’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rearing at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1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s lonel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rear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3 children who are 4 and 5 years ol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Incheon and Daegu, and their 103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4 and 5 year old children have some levels of feeling of lonelines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tend to have affectional attitude rather than rejective attitude in child rearing. In addition, the average level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re w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in th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고...

      본 연구는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인천, 대구 지역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48명, 만 5세 55명 등 유아 총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각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외로움은 면담을 통해, 부모 양육태도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 5세 유아들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어머니와 아버지는 모두 자녀 양육에 있어서 거부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높았다.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애정적-자율적 태도 유형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로움은 어머니의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 양육태도와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앞으로 유아의 외로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의 안정적 정서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태도와 그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미경, "아동의 또래 괴롭힘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133-145, 2006

      1 최미경, "아동의 또래 괴롭힘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133-14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for Infants and Children ->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