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방소득세제의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 = Current Issu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Local Income Tax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6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ystematically analyzing issues and challenges of Korea’s local income taxation, this study suggests policy priorities to enhance revenue decentralization and local income taxation. Firstly, we should focus on local income taxation to strengthen fiscal autonomy instead of introducing yet another tax sharing scheme. Secondly, addressing the major concerns and problems of local income tax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raising its share in local finance. Thirdly, regional disparities in terms of fiscal capacity should be reduced by fiscal equalization scheme such as local allocation tax and not by a shared tax. Lastly, pooling central and local income taxes or sharing local income tax revenues with local governments in a different metropolitan area would run counter to fiscal decentralization.
      번역하기

      Systematically analyzing issues and challenges of Korea’s local income taxation, this study suggests policy priorities to enhance revenue decentralization and local income taxation. Firstly, we should focus on local income taxation to strengthen fis...

      Systematically analyzing issues and challenges of Korea’s local income taxation, this study suggests policy priorities to enhance revenue decentralization and local income taxation. Firstly, we should focus on local income taxation to strengthen fiscal autonomy instead of introducing yet another tax sharing scheme. Secondly, addressing the major concerns and problems of local income tax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raising its share in local finance. Thirdly, regional disparities in terms of fiscal capacity should be reduced by fiscal equalization scheme such as local allocation tax and not by a shared tax. Lastly, pooling central and local income taxes or sharing local income tax revenues with local governments in a different metropolitan area would run counter to fiscal decentr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지방소득세제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면서 지방소득세를 양적으로 확대하고 질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소득세 개편이 근본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지방소득세를 지방세답게 설계하는 것이다. 첫째, 세입분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국세 세율과 지방세 표준세율의 동시 조정을 통해 지방소득세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소득세 확대가 타당성을 가지려면 현행 지방소득세제에 내재된 근원적 문제점들의 해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간 재정격차는 지방교부세 및 조정교부금과 같은 재정조정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론적으로 법인지방소득세는 기초보다는 광역자치단체에 귀속시키는 것이 타당하지만, 과세권 조정이 정치적으로 어렵다면 법인지방소득세수를 광역과 기초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끝으로 현행 지방소득세제가 세입분권을 강화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재정조정제도를 함께 개편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행 지방소득세제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면서 지방소득세를 양적으로 확대하고 질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소득세 개편이 근본적으로...

      본 연구는 현행 지방소득세제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면서 지방소득세를 양적으로 확대하고 질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소득세 개편이 근본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지방소득세를 지방세답게 설계하는 것이다. 첫째, 세입분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국세 세율과 지방세 표준세율의 동시 조정을 통해 지방소득세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소득세 확대가 타당성을 가지려면 현행 지방소득세제에 내재된 근원적 문제점들의 해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간 재정격차는 지방교부세 및 조정교부금과 같은 재정조정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론적으로 법인지방소득세는 기초보다는 광역자치단체에 귀속시키는 것이 타당하지만, 과세권 조정이 정치적으로 어렵다면 법인지방소득세수를 광역과 기초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끝으로 현행 지방소득세제가 세입분권을 강화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재정조정제도를 함께 개편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만수, "지방정부의 과세자주권 및 지방세제의 가격기능 강화" 한국재정학회 1 (1): 105-133, 2008

      2 이재은, "지방소득세 도입의 이론적 근거와 구체적인 도입방안" 2006

      3 허등용, "지방소득세 개편대안별 효과분석" 한국지방세연구원 2017

      4 주만수, "지방세의 누진세율체계와 재정력격차"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239-268, 2011

      5 이재은, "지방복지재정 확충을 위한 비례적 지방소득세 도입방안" 272 : 120-123, 2011

      6 최병호, "조세할당 원칙과 지방소득세제의 개편" 2011

      7 하능식, "정액분 지방세 과세체계 개편방안 연구-담배소비세와 주민세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8 남황우, "재정안정화기금 도입방안" (1) : 19-44, 2016

      9 김정훈, "재정분권의 이론과 실제의 괴리: 비판적 평가 및 우리나라 재정분권에 대한 시사점" 한국재정학회 8 (8): 149-191, 2015

      10 이영희, "재정분권과 지방소비・소득세" 박영사 2009

      1 주만수, "지방정부의 과세자주권 및 지방세제의 가격기능 강화" 한국재정학회 1 (1): 105-133, 2008

      2 이재은, "지방소득세 도입의 이론적 근거와 구체적인 도입방안" 2006

      3 허등용, "지방소득세 개편대안별 효과분석" 한국지방세연구원 2017

      4 주만수, "지방세의 누진세율체계와 재정력격차"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239-268, 2011

      5 이재은, "지방복지재정 확충을 위한 비례적 지방소득세 도입방안" 272 : 120-123, 2011

      6 최병호, "조세할당 원칙과 지방소득세제의 개편" 2011

      7 하능식, "정액분 지방세 과세체계 개편방안 연구-담배소비세와 주민세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8 남황우, "재정안정화기금 도입방안" (1) : 19-44, 2016

      9 김정훈, "재정분권의 이론과 실제의 괴리: 비판적 평가 및 우리나라 재정분권에 대한 시사점" 한국재정학회 8 (8): 149-191, 2015

      10 이영희, "재정분권과 지방소비・소득세" 박영사 2009

      11 최병호, "세원할당 원칙과 지방소득세제의 개편" 한국의정연구회 7 (7): 145-174, 2012

      12 이재은, "분권화를 위한 지방세제 개혁" 한국지방재정학회 7 (7): 177-220, 2002

      13 구균철, "법인지방소득세수의 편중성과 변동성 간의 관계"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1-34, 2017

      14 구균철, "기업관련 지방세의 국가・도・시군간 공동세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15 이영희, "국세와 지방세의 합리적 세원조정 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2

      16 구균철, "공동세 제도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7

      17 이준규, "개인지방소득세수의 불균형과 개선방안" 한국세무학회 18 (18): 103-128, 2017

      18 구균철, "개인지방소득세 세율구조의 특징과 개선방향" 한국지방재정학회 21 (21): 1-39, 2016

      19 Cornia, G., "State tax revenue growth and volatility" 6 (6): 23-58, 2010

      20 Young, C., "Millionaire Migration and State Taxation of Top Incomes: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64 (64): 255-284, 2011

      21 Boadway, R., "Fiscal Federalism: Principles and Practice of Multiorder Govern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