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민간직업 잠수부의 골괴사에 대한 역학적 조사 및 혈청 표지자 분석 = Epidemiologic Study and Analysis of Serum Markers for Osteonecrosis of Professional Div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93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민간 직업 잠수부의 골괴사에 대한 역학 조사를 통해 골괴사 발생의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골괴사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혈청 표지자 분석을 통하여 이들에서 발생하는 골괴사와 ...

      목적: 민간 직업 잠수부의 골괴사에 대한 역학 조사를 통해 골괴사 발생의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골괴사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혈청 표지자 분석을 통하여 이들에서 발생하는 골괴사와 혈전 기호증 및 저섬유소 용해증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키조개를 채취하는 직업 잠수부중 골괴사가 발생한 10명(제1군)과 발생하지 않은 32명(제2군), 총 42명을 대상으로 잠수경력, 연간 잠수횟수, 하루 평균 잠수횟수, 평균 잠수 시간 및 깊이, 잠수 방식 등을 조사하여 두 군 사이에서 상기 항목들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대상 잠수부 전체에서 고지혈증 표지자, 혈전 기호증 표지자, 저섬유소 용해 표지자 그리고 homocystein 등을 측정하고, 20명의 의사로 이루어진 대조군(제3군)과 비교하여, 이압성 골괴사와 혈청 표지자 사이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제1군과 2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던 항목은 평균 잠수 시간으로 1군은 평균 124분, 2군은 62.1분 이었으며(P<0.05), 나머지 항목들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혈청 표지자 분석에서는 1군과 2군 사이에서는 모든 표지자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3군과 1, 2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1, 2군에서 protein C와 S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Protein C : P<0.05, Protein S : P<0.05),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결론: 민간 직업 잠수부에 대한 조사 결과, 골괴사가 발생한 잠수부들의 평균 잠수 시간이 두 배 이상으로 길었으며, 대조군과의 혈청 표지자 분석에서는 잠수부들에서 protein C와 S의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었고, PAI-1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osteonecrosis in civilian professional divers by an epidemiologic study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steonecrosis in divers and coagulopathy by analysis of serologic markers tha...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osteonecrosis in civilian professional divers by an epidemiologic study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steonecrosis in divers and coagulopathy by analysis of serologic markers that are related to thrombophilia and hypofibrinolysis.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divers, who collected pen shells (Atrina pinnata), and among whom 10 had osteonecrosis (group 1), were compared with 32 divers without osteonecrosis (group 2). Both group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years of diving experience, number of dives per year, mean number of dives per day, mean diving time and depth, and diving methods. We determin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variables. We measured the levels of serologic markers that were related to hyperlipidemia, thrombophilia, and hypofibrinolysis from the divers and a control group of 20 physicians (group 3). The levels of the serologic marker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1 and 2 and between the divers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ologic markers and the development of dysbaric osteonecrosis. Results: None of the variables demonstrat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the mean diving time, in which group 1 had a mean diving time of 124 minutes and group 2 had a mean diving time of 62.1 minutes (P<0.05). In the analysis of the serologic marke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1 and 2;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3, the div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d activity levels of proteins C and S (Protein C: P<0.05; Protein S: P<0.05), and an increase in the levels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P<0.05). Conclusion: The divers with osteonecrosis had a longer mean diving time than did those divers without osteonecrosis. In the serologic marker analysis, the divers with osteonecrosis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d activity levels of Proteins C, S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s of PAI-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고관절학회지 -> Hip and Pelvis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 Hip and Pelvi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5 0.16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