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장애는 다양한 임상양상과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약물학적 치료는 매우 복잡하다. 저자들은 2002년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지침서(KMAP-BP 2002)를 발표하였고,2006년에는 한국형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00048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2-153(12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양극성 장애는 다양한 임상양상과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약물학적 치료는 매우 복잡하다. 저자들은 2002년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지침서(KMAP-BP 2002)를 발표하였고,2006년에는 한국형 ...
양극성 장애는 다양한 임상양상과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약물학적 치료는 매우 복잡하다. 저자들은 2002년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지침서(KMAP-BP 2002)를 발표하였고,2006년에는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지침서의 개정판(KMAP-BP 2006)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양극성 장애의 약물치료에 대한 새로운 결과들이 발표되었고, KMAP-BP를 개정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94명의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에 대한 회신을 보낸 65명의 의견을 종합하였다. 설문지는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 대한 40개의큰 항목 이하 1,151개의 개별항목으로 이루어졌으며 KMAPBP 2006을 기본으로 일부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특히 안전성 및 특수 집단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선택항목은 95%신뢰도 구간에 근거하여 1차, 2차, 3차 치료로 구분하였다.
급성기 조증 삽화의 경우 유쾌성, 혼재성 및 정신병적 조증 등 모든 임상 양상에서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선호되는 1차 치료였다. 기분조절제 단독 치료는 경조증 삽화에 대한 1차 선택이었다. 급성기 조증에 사용하는 기분조절제로는 valproic acid와 lithium이 1차 선택약물이었다. 경도-중등도의 양극성 우울증에 1차 전략으로는 기분조절제 단독 치료가 선택되었다. 반면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심한 우울증에서는 기분조절제+비정형 항정신병약물+항우울제의 병합 요법이 1차 선택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 그리고 기분조절제와 항우울제의 병합 역시 1차 선택으로 평가되었다.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심한 우울증의 경우에도 기분조절제+비정형 항정신병약물+항우울제가 가장 높은 점수로 1차 선택 전략이었고, 기분조절제+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항우울제도1차 선택 전략으로 평가되었다. 양극성 우울증 삽화에서 1차로선택되는 기분조절제로는 lithium이 가장 선호되었고, 이어서lamotirgine과 valproic acid 역시 1차 선택으로 평가되었다. 양극성 우울증 삽화에서 선호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quetiapine,olanzapine, aripiprazole이었다. 항우울제를 사용한다면 중등도 우울증에서 bupropion, (es)citalopram이 1차 선택약물로 평가되었고 심한 우울증에서는 (es)citalopram, bupropion,paroxetine이 1차 선택약물로 평가되었다. 급속순환을 보이는경우 현재 삽화의 유형과 상관없이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병합하는 전략이 1차 치료로 평가되었다. 양극성 장애를 치료함에 있어 전문가들의 견해는 2002년, 2006년의 결과에 비하여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여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본치료 지침은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여 국내의 임상 상황에서 양극성 장애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s quite complex because of its clinical features of different episodes and various course. We published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KMAP-BP) in 2002, that app...
Objective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s quite complex because of its clinical features of different episodes and various course. We published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KMAP-BP) in 2002, that appeared to be helpful in clinical situation by feasibility study in 2005, and revised KMAP-BP in 2006. New papers in which some drugs are effective in treating bipolar disorder have been published, and the demand for revision of KMAP-BP are increased.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94 experts, 65 of whom replied. It was composed of 40 questions about clinical situations,and each question includes various sub-items. Based on KMAP-BP 2006 and new data, some questions sub-items are amended. Safety issues and consideration on special populations were added in this revision. Each option was categorized on three parts (the first-line, the second-line, or the third-line) by its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In acute manic episode, even though it is euphoric, mixed, or psychotic, combination of a mood stabilizer (MS) with an atypical antipsychotic (AAP) is recommended as first-line strategy. Mood stabilizer monotherapy is first-line in hypomanic episode. Among the mood stabilizers, valproic acid and lithium are selected as first-line. Monotherapy with mood stabilizer is recommended in mild to moderate bipolar depression. However, triple combination of a mood stabilizer, an atypical antipsychotic and an antidepressant (AD), is the first-line strategy in non-psychotic severe depression. Also combination of MS and AAP (MS+AAP) and combination of MS and AD (MS+AD) are recommended as first-line. In psychotic bipolar depression, combination of MS, AAP, and AD (MS+AAP+AD), combination of MS and AAP (MS+AAP), and combination of AAP and AD (AAP+AD) are first-line strategies. In bipolar depression, lithium, lamotrigine, and valproic acid are selected as first-line mood stabilizer, and quetiapine, olanzapine and aripiprazole are preferred antipsychotics. Bupropion and (es)citalopram are first-line antidepressant in moderated depression, and (es)citalopram, bupropion, and paroxetine are recommended as firstline in severe depression. Preferred strategy for rapid cycling patients is combination of MS with AAP. In maintenance treatment,combination of MS with AAP and monotherapy of MS are recommended as first-line.
Conclusion In treating bipolar disorder, even the first step of treatment, consensus of experts are changed from our studies in 2002 and 2006. This medication algorithm, with some limitations, may reflect the clinical practice and recent researche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Ⅲ):치료반응과 내약성"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92-300, 2005
2 신영철,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Ⅱ):약물의 선택"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85-291, 2005
3 김찬형,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Ⅰ):전반적 평가"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25-233, 2005
4 민경준,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IV) : 삶의 질"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396-405, 2005
5 민경준,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Ⅲ):우울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436-448, 2006
6 윤보현,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V):유지치료"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528-537, 2006
7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V):급속순환형"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449-455, 2006
8 신영철,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I): 조증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362-373, 2006
9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349-361, 2006
10 김대진,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2)-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사업내용과 기본계획, 조직구성, 알고리듬 개발의 기본원칙, 개발방법, 제한점 및 사용 시 주의점 -" 대한정신약물학회 13 (13): 30-36, 2002
1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Ⅲ):치료반응과 내약성"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92-300, 2005
2 신영철,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Ⅱ):약물의 선택"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85-291, 2005
3 김찬형,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Ⅰ):전반적 평가"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225-233, 2005
4 민경준,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적용 가능성(IV) : 삶의 질" 대한정신약물학회 16 (16): 396-405, 2005
5 민경준,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Ⅲ):우울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436-448, 2006
6 윤보현,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V):유지치료"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528-537, 2006
7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V):급속순환형"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449-455, 2006
8 신영철,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I): 조증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362-373, 2006
9 전덕인,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6(I)" 대한정신약물학회 17 (17): 349-361, 2006
10 김대진,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2)-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사업내용과 기본계획, 조직구성, 알고리듬 개발의 기본원칙, 개발방법, 제한점 및 사용 시 주의점 -" 대한정신약물학회 13 (13): 30-36, 2002
11 윤보현, "양극성 장애의 한국형 약물치료 알고리듬(V):다른 치료 지침들과의 비교" 대한정신약물학회 15 (15): 162-174, 2004
12 전덕인, "양극성 장애의 한국형 약물치료 알고리듬(IV) : 급속 순환" 대한정신약물학회 15 (15): 44-50, 2004
13 민경준, "양극성 장애의 한국형 약물치료 알고리듬(III) : 우울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4 (14): 336-346, 2003
14 신영철, "양극성 장애의 한국형 약물치료 알고리듬(II) : 조증 삽화" 대한정신약물학회 14 (14): 223-230, 2003
15 박원명, "양극성 장애의 한국형 약물치료 알고리듬" 대한정신약물학회 13 (13): 205-221, 2002
16 Gonzalez-Pinto A, "Treatment of bipolar I rapid cycling patients during dysphoric mania with olanzapine" 22 : 450-454, 2002
17 Kahn DA,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 series: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57 (57): 1-88, 1996
18 Suppes T, "The Texas implementation of medication algorithms:update to the algorithms for treatment of bipolar I disorder" 66 : 870-886, 2005
19 Sachs GS,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 Series: Medicatio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2000" (Spec) : 1-104, 2000
20 Leverich GS, "Risk of switch in mood polarity to hypomania or mania in patients with bipolar depression during acute and continuation trials of venlafaxine, sertraline, and bupropion as adjuncts to mood stabilizers" 163 : 232-239, 2006
21 Woo YS, "Rash in adult patients receiving lamotrigine to treat bipolar I disorder in Korea: A multicenter, prospective, naturalistic, open-label trial"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THE BOULEVARD, LANGFORD LANE, KIDLINGTON, OXFORD, ENGLAND, OX5 1GB 33 (33): 1147-1152, 200906
22 Woo YS, "Rash in adult patients receiving lamotrigine to treat bipolar I disorder in Korea: A multicenter, prospective, naturalistic, open-label trial"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THE BOULEVARD, LANGFORD LANE, KIDLINGTON, OXFORD, ENGLAND, OX5 1GB 33 (33): 1147-1152, 200906
23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51 (151): 1-36, 1994
24 "Practice guideline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50 (150): 1-26, 1993
25 "Practice guideline for eating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50 : 212-228, 1993
26 Niufan G, "Olanzapine versus lithium in the acute treatment of bipolar mania: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05 : 101-108, 2008
27 Geddes JR, "Lamotrigine for treatment of bipolar depression: independent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five randomised trials" 194 : 4-9, 2009
28 Evidence-Based Medicine Working Group, "Evidence-based medicine. A new approach to teaching the practice of medicine" 268 : 2420-2425, 1992
29 Mukherjee S, "Electroconvulsive therapy of acute manic episodes: a review of 50 years’ experience" 151 : 169-176, 1994
30 Ciapparelli A,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medication-nonresponsive patients with mixed mania and bipolar depression" 62 : 552-555, 2001
31 Langosch JM, "Efficacy of quetiapine monotherapy in rapid-cycling bipolar disorder in comparison with sodium valproate" 28 : 555-560, 2008
32 Thase ME, "Efficacy of quetiapine monotherapy in bipolar I and II depression: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the BOLDER II study)" 26 : 600-609, 2006
33 Vaidya NA,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ECT in treatment-resistant bipolar disorder" 19 : 10-16, 2003
34 Yatham LN, "Canadian Network for Mood and Anxiety Treatments (CANMAT) and International Society for Bipolar Disorders (ISBD) collaborative update of CANMAT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update 2009" 11 : 225-255, 2009
35 Calabrese JR, "Bipolar rapid cycling: focus on depression as its hallmark" 62 (62): 34-41, 2001
36 Thase ME, "Aripiprazole monotherapy in nonpsychotic bipolar I depression: results of 2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ies" 28 : 13-20, 2008
37 Keck PE Jr, "Aripiprazole monotherapy for maintenance therapy in bipolar I disorder: a 100-week, double-blind study versus placebo" 68 : 1480-1491, 2007
38 Ghaemi SN, "Antidepressants in bipolar disorder: the case for caution" 5 : 421-433, 2003
39 Ghaemi SN, "Antidepressants in bipolar disorder: the case for caution" 5 : 421-433, 2003
40 Calabrese J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quetiapine in the treatment of bipolar I or II depression" 162 : 1351-1360, 2005
41 Bowden CL,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efficacy and safety study of quetiapine or lithium as monotherapy for mania in bipolar disorder" 66 : 111-121, 2005
42 Keck PE J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26-week trial of aripiprazole in recently manic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67 : 626-637, 2006
43 McElroy SL,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quetiapine and paroxetine as monotherapy in adults with bipolar depression (EMBOLDENII)" 71 : 163-174, 2010
44 Young AH,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quetiapine and lithium monotherapy in adults in the acute phase of bipolar depression (EMBOLDENI)" 71 : 150-162, 2010
45 Calabrese JR,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outpatients with bipolar I depression. Lamictal 602 Study Group" 60 : 79-88, 1999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자의 화학적 거세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푸마르산 쿠에티아핀 서방정 교체 후의 임상적 이득과 주관적 안녕감 변화: 비중재, 관찰 연구 (CLIMAX Study)
서방형 Bupropion을 과량복용한 후 발생한 일과성 정신병 1예
Quetiapine-Valproate 병용 치료시 발생한 가역적 전신 피부 발진 증례 2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