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權泰乙 교수의 상주한문학 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이 책의 편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漢文學의 일면을 망라하여 학계에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1248
2015
-
資料 ; 集成 ; 事例 ; 目的 ; 範衛 ; 體制 ; 意義. materials ; collection ; an instance ; object ; a scope ; structure ; significance
810.5
KCI등재
학술저널
5-37(3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權泰乙 교수의 상주한문학 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이 책의 편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漢文學의 일면을 망라하여 학계에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
본고는 權泰乙 교수의 상주한문학 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이 책의 편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漢文學의 일면을 망라하여 학계에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둘째 저자가 尙州漢文學史를 편찬하여 韓國漢文學史의 영역을 넓히고자 하였다. 셋째 지방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그것을 세상이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이 상주한문학 의 범위는 첫째 시대적으로는 신라 이전의 說話文學期로부터 朝鮮末까지 상주에서 창작된 漢文學 전반이다. 둘째 신라와 고려는 설화와 불교문학을 중심으로 편집하였다. 셋째 조선 시대에는 한문학 작가 중심으로 자료를 모았다. 참고한 문집이 240여종, 거론한 작가가 319명이다.
이 책의 체제와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역대의 상주 한문학자와 그들이 남긴 중요한 문학작품을 소개하였다. 둘째 저자가 사용한 漢文學의 의미는 廣義이다. 셋째 時代區分은 필자의 주관에 의하였다. 넷째 人物選定의 원칙은 상주 출신이거나 상주에 살았던 사람들로 하였다. 다섯째 作品選定은 대단히 主觀的이었다.
내용면에서는, 첫째 작자가 살았던 당시 시대상을 개괄적으로 소개하였다. 둘째 이어서 작자의 생평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셋째 번역문과 원문을 동시에 실었다. 넷째 필요에 따라서는 저자가 시 전부와 문 일부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작품에 대하여 저자 나름대로 비평하였다. 여섯째 작자의 작품이 적을 경우는 작품의 출처를 밝혔다.
이 상주한문학 의 의의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상주지역 출신뿐만 아니라 상주를 거쳐 간 학자들 가운데 상주를 제재로 하여 지은 작품도 수록하였다. 둘째 有史 以來 한 지역 한문학을 통시적으로 공시적으로 집대성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나라 최초로 한 지역 한문학 작가를 망라하였다. 넷째 단지 자료를 모으는 데만 치중한 것이 아니라 한 작가
의 대표적인 작품을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다섯째 그가 이 책을 집필하여 韓國漢文學史의 영역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what contemplated of the KownTaeeul’s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The aim of the book of Kown’s several distinguishing mark. Firstly, He hoped to introduce which was collected all of the Korean litera...
This thesis examines what contemplated of the KownTaeeul’s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The aim of the book of Kown’s several distinguishing mark. Firstly, He hoped to introduce which was collected all of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Secondly, He desired to widen the province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irdly, He aspired to tell inform the world with intangible assets of culture.
The extent or structure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has several kinds. Firstly, It include the era of folktale in Silla dynasty. Secondly, It’s edited the era of Silla and Coree was the age of folktale and the literature of Buddhist. Thirdly, He collected the central figure of the stage of Chosun Dynasty with the author as.
The organization of the book has several kinds of distinguishing mark.
Firstly, He introduced the literature work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uccessive generations. Secondly, He used the meaning of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was broad sense. Thirdly, The division of generation was the subjectivity of the author. Fourthly, the criterion of selection of the writter or works were subjectivity of the author.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can be sum up several ways. Firstly, this book was comprehended all of the authors or works. Secondly, It’s edited same or piercing epoch in one
region. Thirdly, It’s translated the works of author’s. Fourthly, For edition of this book, he contributed to be broaden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angju.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權泰乙, "嶺對를 통해 본 嶺南人의 自尊心" 尙州文化硏 究所 6 : 1996
2 權泰乙, "過庵 姜世誾의 農村詩考" 7 : 1997
3 權泰乙, "西下 林椿과 開寧" 2 : 1992
4 權泰乙, "聽竹 成灠의 上流文考察" 尙州文化硏究所 7 : 1997
5 權泰乙, "拙齋 蔡紹權의 花王傳考" 嶺南大國語國文 學科 25 : 1996
6 權泰乙, "息山全書" 驪江出版社 1993
7 權泰乙, "息山 李滿敷의 地行錄硏究" 14 : 1987
8 權泰乙, "息山 李滿敷 文學硏究" 文昌社 1990
9 權泰乙, "尙州의 文化"
10 權泰乙, "尙州誌"
1 權泰乙, "嶺對를 통해 본 嶺南人의 自尊心" 尙州文化硏 究所 6 : 1996
2 權泰乙, "過庵 姜世誾의 農村詩考" 7 : 1997
3 權泰乙, "西下 林椿과 開寧" 2 : 1992
4 權泰乙, "聽竹 成灠의 上流文考察" 尙州文化硏究所 7 : 1997
5 權泰乙, "拙齋 蔡紹權의 花王傳考" 嶺南大國語國文 學科 25 : 1996
6 權泰乙, "息山全書" 驪江出版社 1993
7 權泰乙, "息山 李滿敷의 地行錄硏究" 14 : 1987
8 權泰乙, "息山 李滿敷 文學硏究" 文昌社 1990
9 權泰乙, "尙州의 文化"
10 權泰乙, "尙州誌"
11 權泰乙, "尙州漢文學" 文昌社 2002
12 權泰乙, "尙州文化의 特長" 尙州文化硏究所 9 : 1999
13 權泰乙 外, "尙州史料集" 尙州文化院 1998
14 權泰乙, "尙州 舊 中牟縣 漢文學硏究" 尙州文化硏究所 11 : 2001
15 權泰乙, "國譯聽竹先生遺稿" 文集刊行委員會 1999
16 權相一, "商山誌"
17 李峻, "商山誌"
부산경남고문헌자료의 조사 연구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1 | 1.492 | 0.11 |
Learning Objectives: Self-Assessment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bjectives: Smarter Learning Objectives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bjectives: Sharing your Learning Objectives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bjectives: Sharing Learning Objectives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bjectives: Using Questions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