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원광대학교박물관 ‘무속실’ 개편을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f exhibition design, applying the contextual spatial concept - Focusing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shaman room’ of the Wonkwang Univers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89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시가 가진 정보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시디자인의 역할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 최근 개선을 진행한 대학박물관 사례를 통해 전시디자인 방법론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맥락적(contextual)'이란 용어는 하나의 정보나 대상이 총체적으로 이해되거나 설명되는 상황을 이르는데 이 개념은 전시흐름으로서의 맥락, 콘텐츠적 맥락, 색채·조형적 맥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공간화가 가능하였다. 이렇게 디자인된 전시공간은 개선전의 단순한 유물나열식 전시보다 전시의 메시지 및 콘텐츠의 표현이 풍부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제와 연결하여 일관된 톤을 유지함으로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관람의 몰입분위기를 조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시가 가진 정보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시가 가진 정보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시디자인의 역할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 최근 개선을 진행한 대학박물관 사례를 통해 전시디자인 방법론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맥락적(contextual)'이란 용어는 하나의 정보나 대상이 총체적으로 이해되거나 설명되는 상황을 이르는데 이 개념은 전시흐름으로서의 맥락, 콘텐츠적 맥락, 색채·조형적 맥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공간화가 가능하였다. 이렇게 디자인된 전시공간은 개선전의 단순한 유물나열식 전시보다 전시의 메시지 및 콘텐츠의 표현이 풍부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제와 연결하여 일관된 톤을 유지함으로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관람의 몰입분위기를 조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ch about the role and methodology of the exhibition design is on demand.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utility of design for the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university museum exhibition, which recently employed the contextual spatial concept for its improvement. The spatial application of contextualization concept was possible in three ways: the context of exhibition flow, the contex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color and formative. The exhibition place where such ways are evenly applied appeared to have more plentiful expression of contents and message of the exhibition than previous simple relics-focused exhibitions. Moreover, by keeping the consistently contextualized tone in line with the theme of exhibition, it supported emo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forming immersive atmosphere for watching.
      번역하기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ch about the role and methodology of the exhibition design is on demand.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utility of design for the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university museum exhibition, which recently employed the contextual spatial concept for its improvement. The spatial application of contextualization concept was possible in three ways: the context of exhibition flow, the contex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color and formative. The exhibition place where such ways are evenly applied appeared to have more plentiful expression of contents and message of the exhibition than previous simple relics-focused exhibitions. Moreover, by keeping the consistently contextualized tone in line with the theme of exhibition, it supported emo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forming immersive atmosphere for watch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