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전통회화 전시에 관한 연구 -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 사례를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f National Museum of Korea painting exhibition design - Focusing on the special exhibition “Art in the City, City in the Ar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89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물관·미술관에서 회화는 시대, 장르에 따라 구분되어 조각·각종 공예·건축과 함께 미술의 한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회화는 조각이나 공예 또는 건축 등의 입체적인 미술과는 달리 일정한 평면에 자연경관이나 사물의 실체 또는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므로 나름대로의 독특한 표현방법과 기법을 지니게 되어 여타의 다른 미술과는 구분되는 특수성을 지닌다. 박물관 전통회화전시는 시각적인 감상전시이자 그 시대의 문화사를 읽어내 볼 수 있는 전시로,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방법에 대한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전통회화전시실을 대상으로 필요조건을 분석하고, 2016년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미술” 전시를 통해 어떻게 전통회화전시를 풀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로는 전통회화 전시의 기본지침(동선, 조도, 전시환경 등)을 준수하고, 전시장 바닥/벽/천정에 대해서도 초기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전시의 사례를 통해 진열장 설계시 초기부터 검토가 필요하며, 같은 형태의 전시가 지루해지지 않도록 공간, 규모, 빛, 색, 강도, 움직임 등의 관람요소들을 사용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에서 공간구성의 중요성과 전통회화 전시디자인 역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디자인 방법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전시의 질적 개선에 대한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번역하기

      박물관·미술관에서 회화는 시대, 장르에 따라 구분되어 조각·각종 공예·건축과 함께 미술의 한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회화는 조각이나 공예 또는 건축 등의 입체적인 미술과는 달리 일정�...

      박물관·미술관에서 회화는 시대, 장르에 따라 구분되어 조각·각종 공예·건축과 함께 미술의 한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회화는 조각이나 공예 또는 건축 등의 입체적인 미술과는 달리 일정한 평면에 자연경관이나 사물의 실체 또는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므로 나름대로의 독특한 표현방법과 기법을 지니게 되어 여타의 다른 미술과는 구분되는 특수성을 지닌다. 박물관 전통회화전시는 시각적인 감상전시이자 그 시대의 문화사를 읽어내 볼 수 있는 전시로,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방법에 대한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전통회화전시실을 대상으로 필요조건을 분석하고, 2016년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미술” 전시를 통해 어떻게 전통회화전시를 풀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로는 전통회화 전시의 기본지침(동선, 조도, 전시환경 등)을 준수하고, 전시장 바닥/벽/천정에 대해서도 초기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전시의 사례를 통해 진열장 설계시 초기부터 검토가 필요하며, 같은 형태의 전시가 지루해지지 않도록 공간, 규모, 빛, 색, 강도, 움직임 등의 관람요소들을 사용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에서 공간구성의 중요성과 전통회화 전시디자인 역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디자인 방법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전시의 질적 개선에 대한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intings, along with sculptures, crafts, and architecture, form a major part of museum collections. Unlike three-dimensional arts, painting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at shapes and thoughts are expressed on a plane. Exhibitions on paintings are frequently organized for an appreciation or for the study of cultural history. Despite the demand, exhibition systems for paintings are not yet well established. In this article, research was conducted on required condition of displaying painting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further, on how the design concept was realized in the exhibitions. As a case study,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temporary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recentl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resenting meticulous planning of space organization, lighting and color variation relieves the tedium of viewing the same format in flat surface, the article aims to provide inspir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exhibition.
      번역하기

      Paintings, along with sculptures, crafts, and architecture, form a major part of museum collections. Unlike three-dimensional arts, painting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at shapes and thoughts are expressed on a plane. Exhibitions on paintin...

      Paintings, along with sculptures, crafts, and architecture, form a major part of museum collections. Unlike three-dimensional arts, painting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at shapes and thoughts are expressed on a plane. Exhibitions on paintings are frequently organized for an appreciation or for the study of cultural history. Despite the demand, exhibition systems for paintings are not yet well established. In this article, research was conducted on required condition of displaying painting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further, on how the design concept was realized in the exhibitions. As a case study,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temporary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recentl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resenting meticulous planning of space organization, lighting and color variation relieves the tedium of viewing the same format in flat surface, the article aims to provide inspir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exhibi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