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부사 ‘다’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6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da ‘all’ in spoken discourse of Korean. To achieve this, The Sejong Spoken Corpus was used to search for the tokens of da. The adverb realizes quantification meaning in Korean. The research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and properties of the adverb da.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frequency of realization of the adverb da as a whole and the type.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and the realization of the adverb da.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provided.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sidered the practicality of the adverb da in spoken language corpu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rais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ken langu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da ‘all’ in spoken discourse of Korean. To achieve this, The Sejong Spoken Corpus was used to search for the tokens of da. The adverb realizes quantification meaning in Korean. The research is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da ‘all’ in spoken discourse of Korean. To achieve this, The Sejong Spoken Corpus was used to search for the tokens of da. The adverb realizes quantification meaning in Korean. The research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and properties of the adverb da.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frequency of realization of the adverb da as a whole and the type.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and the realization of the adverb da.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provided.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sidered the practicality of the adverb da in spoken language corpu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rais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ken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기초 논의
      • 3. 부사 ‘다’의 실현 빈도 및 분포적 특징
      • 4. 구어의 특징과 부사 ‘다’의 담화적 실현 양상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기초 논의
      • 3. 부사 ‘다’의 실현 빈도 및 분포적 특징
      • 4. 구어의 특징과 부사 ‘다’의 담화적 실현 양상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은주, "한국어의 무표형과 ‘들’-복수형의 의미"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43-62, 2008

      2 채옥자, "한국어 주관적 수량 표현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6 : 351-377, 2014

      3 최재희, "한국어 전칭양화사 구문의구조와 의미 해석" 한글학회 (267) : 89-118, 2005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현지,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접속부사 중첩 구성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29-52, 2015

      6 박소영, "정도부사 아주, 거의, 매우의 의미와 분포: 피수식 형용사의 의미 유형과 사건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8 (8): 85-108, 2001

      7 엄정호, "전칭 양화 부사의 의미" 21 (21): 1-28, 1996

      8 손희연, "일상 대화적 내러티브의 구조 연구: 개념과 방법론 고찰 및 사례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1 (21): 57-81, 2014

      9 김현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하우 2018

      10 이성범, "언어와 의미: 현대의미론의 이해" 태학사 1999

      1 노은주, "한국어의 무표형과 ‘들’-복수형의 의미"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43-62, 2008

      2 채옥자, "한국어 주관적 수량 표현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6 : 351-377, 2014

      3 최재희, "한국어 전칭양화사 구문의구조와 의미 해석" 한글학회 (267) : 89-118, 2005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현지,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접속부사 중첩 구성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29-52, 2015

      6 박소영, "정도부사 아주, 거의, 매우의 의미와 분포: 피수식 형용사의 의미 유형과 사건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8 (8): 85-108, 2001

      7 엄정호, "전칭 양화 부사의 의미" 21 (21): 1-28, 1996

      8 손희연, "일상 대화적 내러티브의 구조 연구: 개념과 방법론 고찰 및 사례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1 (21): 57-81, 2014

      9 김현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하우 2018

      10 이성범, "언어와 의미: 현대의미론의 이해" 태학사 1999

      11 이영혜, "양화사의 의미표시와 해석" 한신문화사 1984

      12 박철우, "양화사와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9 : 1-23, 2012

      13 윤흥섭, "양화사 영향권 관계의 애매성" 39 (39): 211-244, 1997

      14 이영헌, "양화사 아무의 의미분석" 8 (8): 71-87, 1983

      15 김현주, "양화사 ‘다’의 형성과 의미 확장"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6 : 1-29, 2011

      16 구일민, "양화사 ‘다’의 의미와 과장법 기제로서의 화용론적 해석 가능성" 한국어의미학회 23 : 1-20, 2007

      17 장경현, "부사 ‘다’의 의미와 기능" 언어정보연구원 45 : 61-84, 2018

      18 구종남,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67) : 37-59, 2008

      1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인터넷"

      20 Cooper, Robin, "Quantification and syntactic theory" D. Reidel 1983

      21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 말뭉치"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Discourse and Cognitive Linguistic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iscourse and Cogn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담화ㆍ인지언어학회 -> 담화·인지언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4-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담화와 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53 0.84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