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은주, "한국어의 무표형과 ‘들’-복수형의 의미"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43-62, 2008
2 채옥자, "한국어 주관적 수량 표현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6 : 351-377, 2014
3 최재희, "한국어 전칭양화사 구문의구조와 의미 해석" 한글학회 (267) : 89-118, 2005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현지,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접속부사 중첩 구성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29-52, 2015
6 박소영, "정도부사 아주, 거의, 매우의 의미와 분포: 피수식 형용사의 의미 유형과 사건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8 (8): 85-108, 2001
7 엄정호, "전칭 양화 부사의 의미" 21 (21): 1-28, 1996
8 손희연, "일상 대화적 내러티브의 구조 연구: 개념과 방법론 고찰 및 사례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1 (21): 57-81, 2014
9 김현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하우 2018
10 이성범, "언어와 의미: 현대의미론의 이해" 태학사 1999
1 노은주, "한국어의 무표형과 ‘들’-복수형의 의미"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43-62, 2008
2 채옥자, "한국어 주관적 수량 표현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6 : 351-377, 2014
3 최재희, "한국어 전칭양화사 구문의구조와 의미 해석" 한글학회 (267) : 89-118, 2005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현지,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접속부사 중첩 구성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29-52, 2015
6 박소영, "정도부사 아주, 거의, 매우의 의미와 분포: 피수식 형용사의 의미 유형과 사건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8 (8): 85-108, 2001
7 엄정호, "전칭 양화 부사의 의미" 21 (21): 1-28, 1996
8 손희연, "일상 대화적 내러티브의 구조 연구: 개념과 방법론 고찰 및 사례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1 (21): 57-81, 2014
9 김현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하우 2018
10 이성범, "언어와 의미: 현대의미론의 이해" 태학사 1999
11 이영혜, "양화사의 의미표시와 해석" 한신문화사 1984
12 박철우, "양화사와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9 : 1-23, 2012
13 윤흥섭, "양화사 영향권 관계의 애매성" 39 (39): 211-244, 1997
14 이영헌, "양화사 아무의 의미분석" 8 (8): 71-87, 1983
15 김현주, "양화사 ‘다’의 형성과 의미 확장"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6 : 1-29, 2011
16 구일민, "양화사 ‘다’의 의미와 과장법 기제로서의 화용론적 해석 가능성" 한국어의미학회 23 : 1-20, 2007
17 장경현, "부사 ‘다’의 의미와 기능" 언어정보연구원 45 : 61-84, 2018
18 구종남,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67) : 37-59, 2008
1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인터넷"
20 Cooper, Robin, "Quantification and syntactic theory" D. Reidel 1983
21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 말뭉치"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