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건복지 분야 국정현안과 대응방안 201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6656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8.15 판사항(4)

      • DDC

        362.1/068 판사항(22)

      • ISBN

        9788981878771 93330
        8981878773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보건복지 분야 국정현안과 대응방안 201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

      • 기타서명

        National policy agenda in health and welfare 2011

      • 형태사항

        27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한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미래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사회복지통합관리망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와 과제 = 19
      • 1. 검토 배경 = 20
      • 2.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의 주요 내용 = 21
      • 3. 사회복지통합관리망 운영의 기대효과 = 23
      • 목차
      • Ⅰ. 사회복지통합관리망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와 과제 = 19
      • 1. 검토 배경 = 20
      • 2.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의 주요 내용 = 21
      • 3. 사회복지통합관리망 운영의 기대효과 = 23
      • 4. 향후 추진과제 = 25
      • Ⅱ. 보건복지분야 일자리 창출 및 고용증대 전략 = 29
      • 1. 보건복지 고용현황 분석과 비전 = 30
      • 2. 보건복지 제도 개선을 통한 고용활력 제고 = 33
      • 3. 보건복지 제도 확충을 통한 고용수요 증대 = 35
      • 4. 보건복지 산업진흥을 통한 고용기반 확충 = 36
      • Ⅲ. 보건복지부문 2년 성과와 평가, 향후 과제 39 = 39
      • 1. 보건복지 부문 2년 성과 = 40
      • 2. 보건복지 부문 2년 평가 = 43
      • 3. 보건복지 부문 향후 정책 과제 = 45
      • Ⅳ. 근로빈곤층(Working Poor) 동향 보고(2009년) = 49
      • 1. 근로빈곤층 현황 = 50
      • 2. 근로빈곤층 특성 = 51
      • 3. 소득계층 구성비 및 역동성 = 57
      • Ⅴ. 치료에서 예방중심으로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 61
      • 1.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필요성 = 62
      • 2. 그간의 보건의료정책 평가 = 65
      • 3. 치료에서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기본방향 = 67
      • 4. 치료에서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한 제도개선 = 67
      • Ⅵ. 남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복지개혁 동향과 시사점 = 73
      • 1. 재정위기 동향 = 74
      • 2. 재정위기의 원인 = 76
      • 3. 시사점 = 81
      • Ⅶ. 복지부문 국정현안에 대한 일반국민 의식조사 결과보고 = 83
      • 1. 현 정부의 경제 및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 = 84
      • 2. 증세를 통한 복지수준 향상에 대한 의견 = 85
      • 3. 최우선적 해결과제 = 86
      • 4. 가장 부담되는 생활비 = 87
      • 5. 주택가격에 대한 의견 = 88
      • 6. 향후 보육료 전액지원 확대 = 88
      • 7. 무상급식에 대한 의견 = 89
      • 8. 건강보험료 인상과 본인부담 경감에 대한 의견 = 90
      • 9. 고용보험 인상과 보장수준에 대한 의견 = 91
      • 10. 임금수준 및 일자리 안정성에 대한 의견 = 92
      • 11. 희망급여수준 및 취업희망직종 = 93
      • Ⅷ. 보건복지부문 현안 10대 과제 = 95
      • 1.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 계획 확정 = 96
      • 2. 근로빈곤층(Working Poor) 종합대책 수립 = 97
      • 3. 복지재원의 안정적 조달 = 98
      • 4. 영리의료법인 도입 신중 검토 = 99
      • 5. 의약품 리베이트 근절방안 실효성 제고 = 99
      • 6. 건강보험 재정안정화 = 100
      • 7.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기능 제고 = 101
      • 8. 장애인연금제 보완 발전 = 102
      • 9. 노인장기요양보험제 안착 = 103
      • 10. 4대 사회보험료 통합징수 보완 시행 = 104
      • Ⅸ. 서민인식과 친서민정책의 과제 = 105
      • 1. '서민'의 주관적 기준 = 106
      • 2. 한국인의 '서민' 인식 수준 및 이유 = 107
      • 3. 서민의 생활고 및 친서민정책 이용실태 = 108
      • 4. 가장 중요한 친서민정책 = 110
      • 5. 최우선 친서민정책에 대한 의견 = 111
      • Ⅹ. 담배가격 인상 효과 검토와 추진방안 = 113
      • 1. 논의배경 = 114
      • 2. 담배가격과 흡연율 관계 분석 = 116
      • 3. 담배의 사회적 비용 = 117
      • 4. 담배가격 인상의 제약요인 = 119
      • 5. 정책제언 = 121
      • XI. 프랑스의 연금개혁과 시사점 = 123
      • 1. 프랑스 연금제도의 개요 = 124
      • 2. 2010년 프랑스 연금개혁 = 126
      • 3. 프랑스 연금개혁을 둘러싼 정치ㆍ사회적 갈등의 원인 = 128
      • 4. 정책적 시사점 = 130
      • XII. 2011년 보건복지부문 정책 추진방향과 과제 = 133
      • 1. 2011년 정책 환경 변화 전망 = 134
      • 2. 건강보험 재정 강화 = 136
      • 3. 의원 및 병원 등 의료기관별 역할 및 기능 정립 = 136
      • 4. 지속가능한 복지 재정 = 137
      • 5.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체계 개편을 통한 탈빈곤 = 138
      • 6. 자원봉사 활성화를 통한 나눔문화 확산 = 139
      • 7. 효율적인 전달체계 구축 및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 = 140
      • 8. 보육의 공공성 강화 = 141
      • 9. 건강관리서비스 제도 도입 및 U-Health를 통한 건강산업발전 = 142
      • XIII. 최근 복지담론의 문제점과 한국적 선진복지 모델의 추진방향 = 143
      • 1. 논의 배경 = 144
      • 2. 최근의 복지모델 논의 = 145
      • 3. 최근의 복지담론의 문제점 = 147
      • 4. 한국적 선진복지 모델의 추진방향 = 154
      • XIV. 스웨덴 복지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57
      • 1. 스웨덴 복지모델 분석 배경 = 158
      • 2. 스웨덴 복지모델의 특징 = 159
      • 3. 스웨덴 복지제도의 최근 개혁 동향(2010∼2014년) = 162
      • 4. 스웨덴 복지모델의 시사점 = 164
      • XV. 노인의 연령기준 관련 논점과 정책적 함의 = 167
      • 1. 노인의 연령기준에 대한 검토의 배경 = 168
      • 2. 노화 및 노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 168
      • 3. 노인연령에 대한 인식 = 169
      • 4.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이동 = 171
      • 5. 우리나라의 노인의 정의 = 172
      • 6. 노인 연령기준관련 국제 동향 = 173
      • 7. 정책적 함의 = 175
      • XVI. 100세 시대, 사회보험 재정의 전망과 시사점 = 179
      • 1. 논의배경 = 180
      • 2. 인구전망과 정책과제 = 181
      • 3. 건강보험의 재정전망과 및 정책과제 = 183
      • 4. 국민연금의 재정전망과 정책과제 = 185
      • 5.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전망과 정책과제 = 186
      • 6. 시사점 = 188
      • XVII. 일본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 물질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보고 = 191
      • 1. 조사개요 = 192
      • 2.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 192
      • 3. 향후 대책 = 199
      • XVIII. 인생 100세 시대 미래상과 대응전략 = 203
      • 1. 논의배경 = 204
      • 2. 인생 100세 시대의 인구전망 = 205
      • 3. 인생 100세 시대의 미래상 = 206
      • 4. 인생 100세 시대 대응방안 = 208
      • XIX. 일본의 사회보장 개혁 동향과 시사점 = 213
      • 1. 일본 사회보장 개혁의 추진배경 = 214
      • 2. 사회보장 개혁의 기본방향 = 215
      • 3. 부문별 개혁방향 = 217
      • 4. 시사점 = 222
      • XX. 양극화 현상 국제비교와 진단 = 223
      • 1. 논의 배경 = 224
      • 2. 한국의 양극화 수준 = 225
      • 3. OECD 국가의 양극화 = 227
      • 4. 양극화 정책의 효과성 = 229
      • 5. 시사점 및 정책방향 = 232
      • XXI. 2인 이하 가구의 증가현상 분석 및 정책과제 = 235
      • 1. 논의배경 = 236
      • 2. 2인 이하 가구의 변화 동향 = 237
      • 3. 시사점 및 정책방향 = 242
      • XXII. 가정상비약의 약국외 판매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정책과제 = 245
      • 1. 소비자 인식 조사 개요 = 246
      • 2.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 247
      • 3. 시사점 및 정책방향 = 252
      • XXIII. 20∼40대의 복지의식조사 결과보고 = 255
      • 1. 20∼40대의 복지의식조사 개요 = 256
      • 2. 20∼40대의 복지의식조사 결과 = 256
      • 3. 20∼40대의 복지 의식 = 257
      • 4. 20∼40대의 복지욕구와 취약계층지원에 대한 견해 = 258
      • 5. 20∼40대의 정치적 견해 = 260
      • 6. 20∼40대의 무상복지 재정부담에 대한 의견 = 263
      • 7. 시사점 및 정책방향 = 264
      • XXIIV. 한미 FTA와 보건의료 대응과제 = 267
      • 1. 한미 FTA의 ISD 관련 보건의료 협정 내용 = 268
      • 2. 한미 FTA에 따른 파급효과 = 271
      • 3. 보건의료 대응과제 = 2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