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習不振兒(underachiever) 및 學習不振(underachievement)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일반적으로 知能은 자기 학급내에서 上位에 속하면서 學力은 아주 낮은 학생으로 이해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04304
Kang, In-E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nju Technical College )
1988
English
375.000
학술저널
41-7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學習不振兒(underachiever) 및 學習不振(underachievement)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일반적으로 知能은 자기 학급내에서 上位에 속하면서 學力은 아주 낮은 학생으로 이해되고 있...
學習不振兒(underachiever) 및 學習不振(underachievement)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일반적으로 知能은 자기 학급내에서 上位에 속하면서 學力은 아주 낮은 학생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자기 지능에 상응하는 학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동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자기 지능보다 훨씬 높은 학력을 보이는 아동을 過振兒(overachiever, High achiever)라고 한다. 그런데 이 학습부진아가 우리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도 그 비율이나 수가 너무 많다는데 문제가 있다. 미국의 어느 연구(1955)에 의하면 California 州 어떤 고등학교 학생들의 약 42%가 학습부진아였고, 어떤 연구는 美國 학생들의 경우 두 사람중 한사람은 학습부진아였고, 네사람중 한사람은 아주 심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日本의 경우(1963)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조사한 바 어떤 과목에서는 1%, 어떤 과목에서는 30∼40%가 학습부진아였다고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全閏植(1965)은 고등학생의 약 40%가 학습부진아 였으며 이 중 30%가 아주 심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들의 행동특성은 "나는 못한다" "나는 실패할 것이다". 라는 기대나 불안이 바로 실패를 남는 커다란 요인이 된다는 것은 이미 自己 充足的 豫言(self-fulfilling prophecy) 등의 심리학적 개념으로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이들의 성격이나 정서적 특징을 살펴 보면 첫째, 자기의 행동 결과에 대해 변명하고 구실을 찾아 그럴듯하게 합리화 하며,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며 타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둘째로 타인에 대한 적대감이 비교적 강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타인이 진실로 애정이나 호의로 대하여도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결국 학습부진아란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不適應者이며 자아 개념이나 성격에 건전하지 못한 여러가지 버릇이나 습관 등으로 짧은 시일내에 교정이 불가능한 문제아인 것이다.
이러한 학습 부진아의 현장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일원의 52명의 국민학생, 179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와 그들의 학력 점수를 중심으로 하여 희귀방정식에 의한 학습부진 아를 선발한 결과, 국민 학생의 13.46%, 도시중학생의 23.73%, 농촌 중학생의 18.33%가 학습부진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보다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농촌 중학생보다 도시중학생들이 학습부진아가 많은 것이 특기할 사항이다.
국민학교에 있어 학습부진아는 여학생(8.3%)보다 남학생(17.86%)이 많았다. 그리고 도시중학교는 여학생 (26.6%)이 남학생 (20.69) 보다 많았으나 농촌 중학교는 남학생(18.46%)과 여학생 (18.18%)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물론 표집상의 문제로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여러가지 난점이 있겠으나 산업화, 핵가족, 자녀수감소 둥의 사희변화와 더불어 가히 지옥이라 할만한 우리 입시제도에 비추어 학습부진아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견된다. 학습외적인 여러 가지 요인으로 말미암아 이러한 학생들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학교나 가정 그리고 사회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FFT 파우워 스펙트럼 分析器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關한 硏究
Hamming Window Function을 使用한 FIR 디지탈 濾波器의 設計에 關한 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