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기술유출사건 처벌 강화를 위한 피해 금액 특정 방안 연구 : 경찰 수사관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6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기술유출범죄로 인한 피해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상대적으 로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 산업기술유출범죄의 법정형과 양형기준은 수차례 강화되었지만, 여전 히 현장에서 실형을 선고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는 산업기술유출범죄를 통한 피해액을 객관적 으로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여 법정형이 비해 선고형이 현저히 낮은 문제로 이뤄진 결과이다. 따라 서 산업기술 유출 범죄에 대한 피해 금액 특정 방안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유출사건 수사 경험이 있는 경찰 수사관의 질적인터뷰를 통해 산업기술유출범죄의 피해 액 산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선행연구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대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질적 인터뷰는 심층면접기법을 통해 진행하고, Affinity Diagram 방법론을 통해 인터뷰를 분석했다. 인 터뷰 분석을 통해 ① 산업기술유출사건의 전문성을 가진 전문 법원 설립의 필요성, ② 객관적인 피해액 산출을 위한 새로운 공인된 위원회의 필요성, ③ 경영상 영업비밀 판단 여부 기준 상세화 의 필요성이라는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3가지 방안이 개선된다면, 수사의 빠른 진행과 나아 가 산업기술유출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산업기술유출범죄로 인한 피해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상대적으 로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 산업기술유출범죄의 법정형과 양형기준은 수차례 강화되었지만, 여...

      산업기술유출범죄로 인한 피해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상대적으 로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 산업기술유출범죄의 법정형과 양형기준은 수차례 강화되었지만, 여전 히 현장에서 실형을 선고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는 산업기술유출범죄를 통한 피해액을 객관적 으로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여 법정형이 비해 선고형이 현저히 낮은 문제로 이뤄진 결과이다. 따라 서 산업기술 유출 범죄에 대한 피해 금액 특정 방안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유출사건 수사 경험이 있는 경찰 수사관의 질적인터뷰를 통해 산업기술유출범죄의 피해 액 산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선행연구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대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질적 인터뷰는 심층면접기법을 통해 진행하고, Affinity Diagram 방법론을 통해 인터뷰를 분석했다. 인 터뷰 분석을 통해 ① 산업기술유출사건의 전문성을 가진 전문 법원 설립의 필요성, ② 객관적인 피해액 산출을 위한 새로운 공인된 위원회의 필요성, ③ 경영상 영업비밀 판단 여부 기준 상세화 의 필요성이라는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3가지 방안이 개선된다면, 수사의 빠른 진행과 나아 가 산업기술유출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ar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punishment for offenders is relatively lenient in reality. Despite several enhancements to the sentencing standards for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many perpetrators still receive minimal sentences in practice. This outcome is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criteria to assess the extent of damages caused by these crimes,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er sentences compared to the statutory penalties. Therefore, a reevaluation of methods to determine the amount of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is necessary. In this study,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lice investigators who have experience in investigating such cases to gather their opinions on calculating the damages caused by these crimes. The aim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research and propose alternative approaches. The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and the Affinity Diagram methodolog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three improvement proposals were identified: 1)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ourts with expertise in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ases, 2) the necessity of creating a new authorized committee to objectively assess the amount of damages, and 3) the importance of detailed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trade secrets in business operations. If these three proposals are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investigations will proceed more efficiently, ultimately leading to a transformation in societal perceptions of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번역하기

      The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ar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punishment for offenders is relatively lenient in reality. Despite several enhancements to the sentencing standards for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The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ar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punishment for offenders is relatively lenient in reality. Despite several enhancements to the sentencing standards for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many perpetrators still receive minimal sentences in practice. This outcome is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criteria to assess the extent of damages caused by these crimes,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er sentences compared to the statutory penalties. Therefore, a reevaluation of methods to determine the amount of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is necessary. In this study,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lice investigators who have experience in investigating such cases to gather their opinions on calculating the damages caused by these crimes. The aim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research and propose alternative approaches. The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and the Affinity Diagram methodolog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three improvement proposals were identified: 1)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ourts with expertise in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ases, 2) the necessity of creating a new authorized committee to objectively assess the amount of damages, and 3) the importance of detailed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trade secrets in business operations. If these three proposals are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investigations will proceed more efficiently, ultimately leading to a transformation in societal perceptions of industrial technology theft crim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요약 】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 방법
      • Ⅳ. 인터뷰 분석
      • 【 요약 】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 방법
      • Ⅳ. 인터뷰 분석
      • Ⅴ. 개선방안
      • 1. 산업기술유출사건의 전문성을 가진 전문 법원 설립의 필요성
      • 2. 객관적인 피해액 산출을 위한 새로운 공인된 위원회의 필요성
      • 3. 경영상 영업비밀 판단 여부 기준 상세화의 필요성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