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의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 적용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음악치료 관련 최종 학력이 학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06823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 임상음악치료전공 , 2017.2
2017
한국어
615.85154 판사항(22)
서울
A survey of music therapy goals and the present state of intervention applications through the main clients of music therapists
v, 69 L. ; 26 cm
지도교수: 황은영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50-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의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 적용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음악치료 관련 최종 학력이 학사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의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 적용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음악치료 관련 최종 학력이 학사 졸업 이상이며 현재 임상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 148명을 대상으로 치료사의 일반적 사항, 음악 치료 시행 환경 및 형태, 대상 별 중재 적용 현황, 치료사의 고려사항 및 어려움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최종학력, 철학에 따라 주력 임상대상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치료 세션 및 환경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실행 공간은 음악치료만 실시하는 독립된 공간이 가장 많았으며, 타 영역 전문가와의 사례회의는 시행하지 않는 기관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 대상의 주된 증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로 치료 목적은 의사소통 향상, 중재 방법은 노래 부르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청소년 대상의 주된 증상은 정서 및 행동 장애로 치료목적은 의사소통 기술 향상, 중재 방법은 음악 감상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성인 대상의 주된 증상은 조현병으로 치료목적은 즐거움 제공, 중재방법은 기악 재창조연주였다. 노인 대상의 주된 증상은 치매로 치료목적은 긍정적 정서 증진, 중재방법은 노래 부르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음악치료 세션에서 치료사가 생각하는 가장 고려할 점은 연령, 인지 수준 등 내담자의 특성이었으며, 치료사가 경험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내담자의 비협조적인 반응과 태도, 음악에 대한 내담자의 부정적인 반응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임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음악치료 세션과 시행 환경을 파악하고 치료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및 고려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음악치료 임상 현장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and the present state of intervention applications through the main clients of active music therapists in Korea. The survey consists of 41 questions which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and the present state of intervention applications through the main clients of active music therapists in Korea. The survey consists of 41 questions which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the execution environment and form of music therapy, the state of intervention applications classified by subjects, and considerations and difficulties of the therapis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active clinical music therapists,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online and offline for a month.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ulation,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each study ques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drawn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the music therapists according to their main clients. Secondly,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usic therapy sessions and environment for the music therapists turned out to be an average of 3.15, which was higher than normal. Furthermore, most of the area in which music therapies were carried out were isolated entirely for therapy sessions and there were more organizations that did not enforce case conferences with specialists in other fields. Thirdly, the main illness of children was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therapy was fo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and the intervention method used was singing out loud. Most teenagers suffered from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goal of the therapy was fo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main intervention method was listening to music. The main illness of adults was Schizophrenia. The main purpose of the treatment was to provide pleasure and the used intervention method was re-creative instrument playing. Most elderly people suffered from dementia. The therapy goal was enhancement in positive emotionality and they used singing as the intervention method. Lastly, the most important aspects that the therapists considered for the therapy sessions were the nature of the clients such as age, and cognitive levels. The aspects that therapists found most difficult were the clients’ uncooperative responses and attitudes, and the clients’ negative reactions towards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of the current clinical music therapy sessions and the difficulties and considerations that the therapists experience. Such knowledge could be used as base line data for improvement plans for better music therapy clinical sit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