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모순율에 대한 연구 1. 거짓말쟁이 문장은 무모순율의 반례인가? 2. 형이상학적 원리로서 무모순율: 모순이 관찰 가능한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5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년차 연구내용
      고전논리학과 단순 진리론(T-inference)을 받아들이면, 거짓말쟁이 문장이 역설을 낳는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로부터 거짓말쟁이 역설을 낳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어떻게 보고 그 역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는 논리학에서 매우 오랜 문제이다. 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은 거짓말쟁이 문장은 동시에 참이면서 거짓인 문장이라고 보는 견해(진리치 과잉 이론: Glut Theory)와 거짓말쟁이 문장은 참도 거짓도 아니라고 보는 견해(진리치 틈새 이론: Gap
      Theory)이다. 전자의 견해에 따르면 거짓말쟁이 문장은, 그 문장과 그 문장의 부정 둘 다 참이라는 점에서 양진문장(dialetheia)이다. 거짓말쟁이 문장을 양진문장으로 보는 견해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무모순율(Law of Non-Contradiction: LNC)에 대한 반례로 여기는 셈이다. 과연 거짓말쟁이 문장은 LNC의 반례인가? 이것이 1차년도 연구과제이다.
      거짓말쟁이 문장이 양진문장이어서 LNC의 반례라는 주장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해서는 거짓말쟁이 역설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진리치 과잉이론에 대한 비판이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이지만, 이에 앞서 진리치 틈새 이론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진리치 틈새 이론이 성공적이라면, 진리치 과잉 이론에 토대하여 거짓말쟁이 문장이 LNC의 반례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을 것이기 때문이다. 진리치 틈새 이론은 크립케(S. Kripke)가 1975년 발표한 “Outline of a Theory of Truth”가 대표적이지만, 최근 2004년 모드린(T. Maudlin)이 출간한 Truth and Paradox와 필드(H. Field)가 2008년에 발표한 Saving Truth from Paradox가 크립케의 틈새 이론의 문제를 보완, 발전시켰다.
      모드린은 토대론적(foundational) 의미론에 기초하여 근거 있는 문장과 근거 없는 문장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로부터 모드린은 거짓말쟁이 문장은 근거 없는 문장임을 논증한다. 그러나 모드린의 의미론에 따르면, 거짓말쟁이 문장이 참이 아니지만, “거짓말쟁이 문장은 참이 아니다”는 주장도 참이 아니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부딪혀서 모드린은 진리와 주장가능성 개념을 구별한다. 한편 필드는 크립케 스타일의 진리치 틈새 이론이, 소박한 진리론(naive theory of truth)을 유지할 수 없거나 (심지어는 동일률도 거부해야 하는 상황에 부딪힌다는 점)과, 강화된 거짓말쟁이 역설(strengthened liar parado
      번역하기

      -1년차 연구내용 고전논리학과 단순 진리론(T-inference)을 받아들이면, 거짓말쟁이 문장이 역설을 낳는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로부터 거짓말쟁이 역설을 낳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

      -1년차 연구내용
      고전논리학과 단순 진리론(T-inference)을 받아들이면, 거짓말쟁이 문장이 역설을 낳는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로부터 거짓말쟁이 역설을 낳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어떻게 보고 그 역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는 논리학에서 매우 오랜 문제이다. 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은 거짓말쟁이 문장은 동시에 참이면서 거짓인 문장이라고 보는 견해(진리치 과잉 이론: Glut Theory)와 거짓말쟁이 문장은 참도 거짓도 아니라고 보는 견해(진리치 틈새 이론: Gap
      Theory)이다. 전자의 견해에 따르면 거짓말쟁이 문장은, 그 문장과 그 문장의 부정 둘 다 참이라는 점에서 양진문장(dialetheia)이다. 거짓말쟁이 문장을 양진문장으로 보는 견해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무모순율(Law of Non-Contradiction: LNC)에 대한 반례로 여기는 셈이다. 과연 거짓말쟁이 문장은 LNC의 반례인가? 이것이 1차년도 연구과제이다.
      거짓말쟁이 문장이 양진문장이어서 LNC의 반례라는 주장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해서는 거짓말쟁이 역설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진리치 과잉이론에 대한 비판이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이지만, 이에 앞서 진리치 틈새 이론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진리치 틈새 이론이 성공적이라면, 진리치 과잉 이론에 토대하여 거짓말쟁이 문장이 LNC의 반례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을 것이기 때문이다. 진리치 틈새 이론은 크립케(S. Kripke)가 1975년 발표한 “Outline of a Theory of Truth”가 대표적이지만, 최근 2004년 모드린(T. Maudlin)이 출간한 Truth and Paradox와 필드(H. Field)가 2008년에 발표한 Saving Truth from Paradox가 크립케의 틈새 이론의 문제를 보완, 발전시켰다.
      모드린은 토대론적(foundational) 의미론에 기초하여 근거 있는 문장과 근거 없는 문장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로부터 모드린은 거짓말쟁이 문장은 근거 없는 문장임을 논증한다. 그러나 모드린의 의미론에 따르면, 거짓말쟁이 문장이 참이 아니지만, “거짓말쟁이 문장은 참이 아니다”는 주장도 참이 아니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부딪혀서 모드린은 진리와 주장가능성 개념을 구별한다. 한편 필드는 크립케 스타일의 진리치 틈새 이론이, 소박한 진리론(naive theory of truth)을 유지할 수 없거나 (심지어는 동일률도 거부해야 하는 상황에 부딪힌다는 점)과, 강화된 거짓말쟁이 역설(strengthened liar parad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년차 연구요약
      Priest attempts to solve the liar paradox by arguing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That is, his para-consistent system claims that the liar sentence is a counter-example of the Law of Non-contradiction. However, this solution has some problems. In this system, the claim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is also a dialetheia. This means that the system contains some inconsistenc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sserting/denying some claims. It may be answered that a way to avoid these problems lies in modifying this system to be able to express ‘being false only’. To express such a phrase, an alternative neg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this system. But the system modified in this way produces the revenge problem. Therefore, it is argued that Priest’s suggestion to solve the liar paradox is not successful and we do not need to regard the liar sentence as a counter-example of the LNC.

      2년차 연구요약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metaphysical dialetheism is a persuasive view or not.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metaphysical dialetheism by answering three questions, whether the dialethesim is compatible with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whether there is an observable contradiction, finally what the status of
      번역하기

      1년차 연구요약 Priest attempts to solve the liar paradox by arguing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That is, his para-consistent system claims that the liar sentence is a counter-example of the Law of Non-contradiction. However, this sol...

      1년차 연구요약
      Priest attempts to solve the liar paradox by arguing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That is, his para-consistent system claims that the liar sentence is a counter-example of the Law of Non-contradiction. However, this solution has some problems. In this system, the claim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is also a dialetheia. This means that the system contains some inconsistenc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sserting/denying some claims. It may be answered that a way to avoid these problems lies in modifying this system to be able to express ‘being false only’. To express such a phrase, an alternative neg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this system. But the system modified in this way produces the revenge problem. Therefore, it is argued that Priest’s suggestion to solve the liar paradox is not successful and we do not need to regard the liar sentence as a counter-example of the LNC.

      2년차 연구요약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metaphysical dialetheism is a persuasive view or not.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metaphysical dialetheism by answering three questions, whether the dialethesim is compatible with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whether there is an observable contradiction, finally what the status of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