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ㄷ】 1622. 短歌 = 19 1623. 短歌別調 단가별조라 = 22 1624. 단셔가 = 25 1625. 달노래 = 29 1626. 달노래 = 33 1627. 달노래 = 36 1628. 담낭젼 = 39 1629. 답산가 = 72 1630. 踏山歌 = 85 1631. 踏山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6958
199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ㄷ】 1622. 短歌 = 19 1623. 短歌別調 단가별조라 = 22 1624. 단셔가 = 25 1625. 달노래 = 29 1626. 달노래 = 33 1627. 달노래 = 36 1628. 담낭젼 = 39 1629. 답산가 = 72 1630. 踏山歌 = 85 1631. 踏山歌 ...
목차
【ㄷ】
1622. 短歌 = 19
1623. 短歌別調 단가별조라 = 22
1624. 단셔가 = 25
1625. 달노래 = 29
1626. 달노래 = 33
1627. 달노래 = 36
1628. 담낭젼 = 39
1629. 답산가 = 72
1630. 踏山歌 = 85
1631. 踏山歌 道跣所著 = 106
1632. 踏山歌 玉容子 = 115
1633. 踏山歌 = 127
1634. 大明復수歌 永川趙友覺撰 = 130
1635. 大明復讐歌 = 146
1636. 大韓五千年歌史(대한오천년가사) = 156
1637. 뎡기사관동팔경이라 = 308
1638. 도덕가 = 335
1639. 道德歌 = 338
1640. 도덕가 토계니션생져 = 341
1641. 도덕가 슈시경셰가 = 343
1642. 권션치덕가 = 356
1643. 츄본슈덕가 = 363
1644. 지본슈련가 = 391
1645. 몽각명심가 = 403
1646. 道德歌 一說셔라 = 416
1647. 도덕가 임슐 = 418
1648. 도덕가 = 422
1649. 도덕가라 = 428
1650. 도덕까 = 434
1651. 도둑가 = 437
1652. 陶山歌 = 441
1653. 陶山別曲 = 443
1654. 도선별곡 = 450
1655. 도수사 신유 = 453
1656. 도슈가 신유일백구 = 462
1657. 도산별곡 = 468
1658. 道治歌 = 472
1659. 동거계사 栗谷先生同입誡詞 = 474
1660. 童蒙訓계라 = 479
1661. 나부탄니라(奈婦嘆) = 488
1662. 광사탄니라(匡士嘆) = 492
1663. 광男가라(匡男歌) = 500
1664. 동유감흥록(東遊感興錄) 제一장 ~ 제十六장 = 505
歷代歌辭文學全集(三十一∼五十) 總目錄
(출처 : http://www.riss.kr/link?id=M7212820)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가사 작품이 유통 전승되는 과정에서 전승자의 의도적 개입이 가해져 나타난 이본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가사 작품에 나타난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가사 작품이 유통 전승되는 과정에서 전승자의 의도적 개입이 가해져 나타난 이본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가사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도맥의 양상과 이본 특징에 대해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도덕가>, <관동별곡>, <황남별곡>과 <황산별곡>, <송비산가>와 <송비산유상가>등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분석하였는데, <도덕가> 관련 자료로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