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구 지역 아동문학 연구 = A Research on the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5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verify about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including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was divided 3 phases historically.
      First, form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y Yoon bokjin, Kim seongdo, Shin gosong, etc. Especially Yoon bokjin created a lot of children’s poetry comparable to Yoon seokjung who was famous as a children’s literature. Shin gosong was also a famous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 friend of Yoon bokjin, but the trend of literature between Yoon and Shin was very different. Because Shin’s ideology was based on socialism that was pervaded in colonial period of Korea.
      Second, emancipation period, that is, from 1945 to 1950. This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was reflected by the achievement of Japanese period and recruited new members, like that Choe haetae, Kim jintae, Kim hongseob, Park mokwol and so on. The authors published works at the magazines of 『Adong』 and 『Saessak』 that was typical children’s magazines during that time.
      Third, the period of ‘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 after 1957. Lee eungchang was at the helm of the society for about 20 years. He supported a lot of children’s authors materially and provided space for symposium. He also promoted rookie authors by children’s literature award? Changju Literature Award ? that he established.
      Now, researchers about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have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and commit a deliberate textual criticism.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verify about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including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was divided 3 phases historically. First, formation of ...

      This paper aims to verify about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including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was divided 3 phases historically.
      First, form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y Yoon bokjin, Kim seongdo, Shin gosong, etc. Especially Yoon bokjin created a lot of children’s poetry comparable to Yoon seokjung who was famous as a children’s literature. Shin gosong was also a famous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 friend of Yoon bokjin, but the trend of literature between Yoon and Shin was very different. Because Shin’s ideology was based on socialism that was pervaded in colonial period of Korea.
      Second, emancipation period, that is, from 1945 to 1950. This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was reflected by the achievement of Japanese period and recruited new members, like that Choe haetae, Kim jintae, Kim hongseob, Park mokwol and so on. The authors published works at the magazines of 『Adong』 and 『Saessak』 that was typical children’s magazines during that time.
      Third, the period of ‘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 after 1957. Lee eungchang was at the helm of the society for about 20 years. He supported a lot of children’s authors materially and provided space for symposium. He also promoted rookie authors by children’s literature award? Changju Literature Award ? that he established.
      Now, researchers about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 area, have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and commit a deliberate textual critic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대구 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발전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대구 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발전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인협회, "해방문학 20년" 정음사 1966

      2 오영식,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45-1950" 소명출판 2010

      3 사계이재철 교수 고희기념논총발간위원회, "한국현대아동문학작가작품론II" 청동거울 2001

      4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 작가작품론-사계이재철교수 정년기념논총" 집문당 1997

      6 최덕교, "한국잡지백년(전3권)" 현암사 2004

      7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해방 15년" 중앙대학교 1975

      8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중앙대학교 197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10 이재철, "한국아동문학작가론" 개문사 1992

      1 한국문인협회, "해방문학 20년" 정음사 1966

      2 오영식,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45-1950" 소명출판 2010

      3 사계이재철 교수 고희기념논총발간위원회, "한국현대아동문학작가작품론II" 청동거울 2001

      4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 작가작품론-사계이재철교수 정년기념논총" 집문당 1997

      6 최덕교, "한국잡지백년(전3권)" 현암사 2004

      7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해방 15년" 중앙대학교 1975

      8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중앙대학교 197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10 이재철, "한국아동문학작가론" 개문사 1992

      11 이재철, "한국아동문학작가론" 개문사 1983

      12 사계이재철 선생 화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한국아동문학 작가작품론" 서문당 1991

      1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 아동문학도서" 1980

      14 이응창, "창주선집(유고집)" 일심사 1974

      15 김진태, "짧은 세월에 남겨진 晩山의 자취" 그루출판사 (5) : 1993

      16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와 경북·대구 지역"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27-47, 2005

      17 조선일보 편집국, "조선일보학예기사색인(1920-1940)" 조선일보사 1989

      18 방우영, "조선일보 학예기사 색인(1920-1940)" 조선일보편집국 1989

      19 방응모, "조선아동문학집" 조선일보사출판부 1938

      20 엄필진, "조선동요집" 창문사 1924

      21 홍난파, "조선동요백곡집(하)" 창문당서점 1933

      22 홍난파, "조선동요백곡집(상)" 연악회 1930

      23 정휘창, "젊은 꿈을 안고 밝고 곧게 살으리-아동문학가 이응창 선생의 인간과 문학" 재단법인 대구천주교회 유지재단 대건출판사 46-49, 1987

      24 최용, "이재철론-민족주의자 사계, 한국아동문학의 日月無私照, In 한국현대아동문학작가작품론 Ⅱ" 청동거울 2001

      25 최춘해, "윤운강의 인간과 작품 세계" 28 (28): 136-156, 2003

      26 하청호, "윤복진론-자연친화와 동심적 서정의 謠的 변용, In 한국아동문학작가작품론" 서문당 1991

      27 김성도, "요람지-계성"

      28 임동권, "엄필진저 조선동요집 해설" 한국민속학회 8 : 117-148, 1975

      29 하청호, "어진길, 동심 속에 산 큰 어린이-김성도 2대회장" 대구아동문학회 (49) : 47-52, 2007

      30 이응창, "아동문학의 어제와 오늘-대구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일보사 1 (1): 115-116, 1969

      31 김봉희, "신고송 문학전집1" 소명출판 2008

      32 윤복진, "소학생 문예독본(3학년치)" 아동예술원 1949

      33 세광음악출판사 편집부, "세광동요 1200곡집" 세광음악출판사 1979

      34 이수인, "세광 동요 350곡집" 세광음악출판사 1985

      35 이재철, "세계아동문학사전" 계몽사 1989

      36 윤복진, "세계명작 아동문학선집" 아동예술원 1949

      37 심후섭, "사회계몽의식과 문학의 접목" 향토문학연구회 (10) : 27-73, 2007

      38 박태준, "박태준동요작곡집" 음악사 1949

      39 박태준, "박태준 작곡집" 세광출판사 1975

      40 심후섭, "민족의 소용돌이 속에 사라져버린 향토 아동문학의 선구자 윤복진" 재단법인 대구천주교회 유지재단 대건출판사 76-79, 1986

      41 정영진, "문학사의 길찾기-정영진 문학사론집" 국학자료원 1993

      42 정대호, "만산 김홍섭의 시에 나타난 해방 직후의 현실 인식" 문학과언어연구회 13 : 401-415, 1992

      43 정대호, "만산 김홍섭의 시세계" 그루출판사 (5) : 1993

      44 대구아동문학가협회, "동요작곡집(제1집)" 1957

      45 김진태, "동시감상" 해동문화사 1962

      46 정휘창, "대구의 아동문학 반세기 개관" 대구문인협회 1995

      47 권영세, "대구아동문학회의 어제와 오늘" 12 (12): 157-159, 1987

      48 정휘창, "대구아동문학회와 이응창 회장" 대구아동문학회 (49) : 37-46, 2007

      49 김성도, "대구아동문학회가 걸어온 길-친목과 발전" 아동문학평론사 1 (1): 14-17, 1976

      50 최춘해, "대구아동문학 반세기의 역사" 대구아동문학회 (49) : 16-36, 2007

      51 윤장근, "대구문단인물사" 대구광역시립서부도서관 2010

      52 이수남, "대구문단이야기" 고문당 2008

      53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대구근대문학예술사" 대구직할시 1991

      54 이강언, "대구⋅경북 근대문인 연구" 태학사 1999

      55 김원중, "대구 아동문학계의 대부 이응창 교장, In 사람을 찾습니다-기인이 그리운 세상" 소소리 71-80, 2009

      56 윤복진, "꽃초롱 별초롱" 아동예술원 1949

      57 심후섭, "김홍섭론-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라진 아동문학가" 25 (25): 16-33, 2000

      58 김상삼, "김진태론-인생을 위한 아름다움의 문학, In 한국아동문학작가작품론" 서문당 1991

      59 이재철, "김진태론" (8) : 1973

      60 최용, "김성도의 삶과 문학세계"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4 : 2000

      61 이재철, "김성도론" 대구교육대학 학생회 (1) : 57-63, 1967

      62 윤혜승, "김성도론" 한국일보사 1 (1): 1969

      63 정진채, "김성도론" 한국아동문학학회 (3) : 16-19, 1994

      64 최 용, "김성도 동화연구" 慶山大學校 大學院 1998

      65 이응창, "기다리는 마음" 일심사 1973

      66 윤석중, "그와의 사귐" 1978

      67 문형렬, "그립고 먼 희망 같은 5월" 5 : 65-69, 1985

      68 김상삼, "고마우신 선생님-어진길 선생님의 인간애와 작품 세계" 7 : 144-146, 1987

      69 이응창, "가꾸는 마음" 문화출판사 1969

      70 廉暻燮, "金聖道 硏究:童話와 兒童小說을 中心으로"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71 朝鮮總督府警務局圖書課, "諺文新聞の詩歌, 昭和 五年 五月, In 빼앗긴 冊-1930년대 무명 항일시선집" 단대출판부 1981

      72 신현득, "悟石 金鎭泰 선생님 영전에 올립니다" 31 (31): 134-137, 2006

      73 조향래, "[문단일화 60,70] 아동문학의 선구자"

      74 이응창, "70년대의 역점"

      75 문선영, "1950년대 전쟁기 피난문단과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매체 연구" 한국문학회 (37) : 301-330, 2004

      76 박태일, "1920-1930년대 경북·대구지역 문예지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7) : 335-384, 2005

      77 이수남, "(이수남의 되돌아본 향토문단) 아동문학가 김성도"

      78 박윤규, "(기자가 만난 사람) 수필가 김진태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7 1.0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